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29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2128590 
영화 <그녀>를 통해 본 인공지능과 인간의 공존이 주는 의미
= Meaning of Co-existing with A.I. and Human in the Movie <Her>

                                 

  • 저자명

    김미혜(Mi-Hye Kim)                                             

  • 학술지명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권호사항

    Vol.16 No.10 [2016]                                 

  • 발행처

    한국콘텐츠학회(The Korea Contents Society)                                   

  • 발행처 URL

    http://www.koreacontents.or.kr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636-644(9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6년


초록 (Abstract)

  • 영화 <그녀>의 여주인공은 사만다라고 불리는 목소리만 가진 컴퓨터 운영체제이다. 편지 대필가인 남자주인공 테오도르는 아내 캐서린과 별거하고 있는 상태에서 사만다와 접속한다. ...
  • 영화 <그녀>의 여주인공은 사만다라고 불리는 목소리만 가진 컴퓨터 운영체제이다. 편지 대필가인 남자주인공 테오도르는 아내 캐서린과 별거하고 있는 상태에서 사만다와 접속한다. 두사람은 오랜 연애기간을 가진 후 결혼했지만 거리를 두고 성장하는데 실패했다. 고정된 패턴도 없고 능력의 한계도 없는 이 학습형 운영체제는 테오도르에게는 가장 이상적 여성상이 된다. 테오도르와 처음으로 접속한 후 사만다는 리좀적 확장을 하여 인간과 섹스도 할 수 있고 의식의 변화에 대한 적절한 해답을 찾기 위해 철학적 토론도 벌인다. 사만다와 이성적 관계를 유지하는 동안 테오도르도 의식의 확장을 경험한다. 사랑이란 고정된 틀 속에서 갇혀있는 것이 아니라 더 큰 사랑을 담기 위해서는 상자의 크기를 늘려야 한다는 것을 그도 이해한다. 그래서 마지막에는 캐서린에게 진심으로 사랑한다는 편지를 보낸다. 인공지능과 인간의 관계가 우리 자신의 내면을 좀 더 깊게 성찰하는 계기를 마련해 주었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I. 들어가는 말
  • II. 테오도르-욕망하는 기계
  • III. 사만다-리좀적 존재
  • IV. 나가는 말
  • 참고문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29 5 과학 기술 사회 최첨단 생명과학기술의 위험과 규범 / 고봉진 2009  630
28 5 과학 기술 사회 로봇윤리의 이론적 기초 연구 / 변순용, 송선영, 김현수 2012  690
27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의 위험의 특성과 법적 규제방안 /양종모 2016  723
26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 지능에서 인공 감정으로/천현득 2017  732
25 5 과학 기술 사회 뇌졸중 환자의 엄지손가락 재활운동을 위한 직교형 엄지손가락 재활로봇 개발/김현민 외 2012  758
24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AI)과 사회 변화, 그리고 당신이 바라는 미래 / 박성원 2016  777
» 5 과학 기술 사회 영화 <그녀>를 통해 본 인공지능과 인간의 공존이 주는 의미 / 김미혜 2016  806
22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 시대, 지능정보기술의 사회적 영향과 법적 과제 / 이시직 2017  847
21 5 과학 기술 사회 과학기술자의 사회적 책임과 윤리/송성수 2001  857
20 5 과학 기술 사회 후쿠시마원전사고와 전문가 윤리- 공학윤리적 관점에서/이재숭 2014  938
19 5 과학 기술 사회 인간-로봇 소통의 인식론적 기초와 윤리 / 조광제 2011  980
18 5 과학 기술 사회 특허분석을 통한 인공지능 기술분야의 연구동향 / 노승민 2017  1063
17 5 과학 기술 사회 로봇의 권리 / 이창민 2016  1087
16 5 과학 기술 사회 AI시대의 정신과학적 통합심신치유/ 조효남 2019  1179
15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의 빅데이터 활용을 위한 법적 연구 : 저작물과 개인정보를 포함한 빅데이터를 중심으로 / 양관석 2019  1223
14 5 과학 기술 사회 로봇윤리의 기본 원칙: 로봇 존재론으로부터 / 고인석 2014  1362
13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에 관한 법적 규율방안 / 임경숙 2019  1385
12 5 과학 기술 사회 윤리적 인공지능은 가능한가? - 인공지능의 도덕적, 법적 책임 문제 / 이상형 2016  1466
11 5 과학 기술 사회 지능형 로봇의 범죄주체성과 형사책임 / 류화진 2016  1492
10 5 과학 기술 사회 나노생명공학에 대한 윤리적 고찰 / 박은진 2007  15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