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29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産業關係硏究 
관련링크 :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07185800 

제4차 산업혁명과 사회보장법의 과제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Problem of the Social Security Law


  • 제어번호 103209748
  • 저자명 노상헌(Sang-Heon Roh)
  • 학술지명 産業關係硏究
  • 발행처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33-55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7년
  • 등재정보 등재
  • 주제어 4차 산업혁명,사회보장법,사회보험,사회연대원리,불평등 확대,건강보험법,사회안전망,사회보험료,조세,Fourth Industrial Revolution,Social Security Law,Social Insurance,social solidarity principle,expansion of the inequity,Health Insurance Law,social safety net,social insurance premium,tax


  • 초록
  • 4차 산업혁명은 정보통신과 고도의 기술융합으로 생산성을 높이고, 생산 및 거래비용을 낮추어 소득 증가와 삶의 질 향상이라는 긍정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생산과 유통이 인공지능과 로봇으로 대체되면서 향후 ‘고기술 고임금’과 ‘저기술 저임금’ 간의 격차가 확대될 뿐만 아니라 일자리 양극화로 중간층의 범위가 축소되어 종국에는 노동시장에서 고용 붕괴의 원인이 될 수 있는 부정적 요소를 내포하고 있다. 이 때문에 4차 산업혁명은 현안 과제인 저출산 고령화와 소득불평등을 더욱 심화시킬 것이다.
    국민의 생활보장에 대하여는 사회보장제도가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미래에도 그 역할의 중요성은 더욱 커질 것이다. 이를 규범적으로 표현하면 구빈을 넘어 ‘모든 국민은 건강하고 문화적인 최저생활’이 보장되어야 하고, 이를 사회보장제도를 통해 실현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4차 산업혁명의 미래에도 변함없다.
    사회보장제도의 기본원리는 사회연대를 바탕으로 사회위험의 분산과 소득재분배이다. 사회위험 분산은 보험의 원리이고, 소득의 재분배는 경제능력에 따른 공평 부담이다. 증가하는 사회보장 재원을 확보하고, 소득재분배의 공평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사회보험료를 임금총액에 따라 원천징수하는 방안으로 일원화하고, 또 부족한 재원은 직접세로 충당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특히 사회보장을 위한 세금의 목적을 명확히 하여 조세에 대한 국민의 거부감과 불신을 줄이는 노력이 함께 해야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한 성공적인 사회보장제도가 될 수 있다.
  •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can be expect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f increasing income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by enhancing productivity through information technology and high technology convergence, lowering production and transactio...

  • 목차
  • Ⅰ. 문제의 제기
    Ⅱ. 4차 산업혁명이 초래하는 불평등 확대
    Ⅲ. 사회보장법의 담론과 과제
    Ⅳ. 결론에 갈음하여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209 5 과학 기술 사회 임상연구 논문의 질 평가를 위한 도구들 / 신철민 외 2011  166
208 5 과학 기술 사회 초연결사회의 도래와 빅데이터 -법제도적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 장완규 2018  165
207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AI) 관련 유망산업 동향 및 시사점 / 현대경제연구원 2014  164
206 5 과학 기술 사회 빅데이터 기반 의료정보 종합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 권의정 외 2017  164
205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시대에서의 의사 역할(윤리적 측면) / 고인석 2016  163
204 5 과학 기술 사회 차세대 인공지능의 특허대상 범위에 대한 도전 - 미국의 법리를 중심으로 - /이상미 2017  162
203 5 과학 기술 사회 현대 사회의 과학 기술과 책임의 문제 / 구인희 2003  159
202 5 과학 기술 사회 AI 인공지능과 인간지능 “인간만의 고유한 역할 교육 필요하다” / 강나리 2016  158
201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요구되는 인성 - 상상력과 공감에 기반 한 감수성 - / 양선이 2017  158
200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기반 과학기술과 국민의 권익구제- 자율주행차, 드론 및 의료기기를 중심으로 / 김광수 2019  157
199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시대에 살아남는 법 / 고인석 2016  155
198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과 의료자원분배 / 장운혁, 정창록 2017  155
197 5 과학 기술 사회 빅데이터 시대의 잊힐 권리에 관한 최근의 입법 동향과 법적 과제 / 김나루 2018  155
196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과 계약법 / 이상용 2016  153
195 5 과학 기술 사회 SNS 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인공지능에 대한 인식 변화 비교 분석/윤유동 외 2016  153
194 5 과학 기술 사회 머신러닝 인공지능과 인간전문직의 협업의 의미와 법적 쟁점 / 설민수 2017  153
193 5 과학 기술 사회 법률상 사이버재물개념과 철학적 근거 / 송문호 2017  152
192 5 과학 기술 사회 시스템 다이내믹스를 활용한 나노기술의 사회영향평가 / 배성훈 2015  151
191 5 과학 기술 사회 신무기기술의 사용과 국제인도법의 적용 문제 / 이장희 2013  151
190 5 과학 기술 사회 의약품 리베이트의 법인세법상 손금산입 여부 - 대법원 2015. 1. 15. 선고 2012두7608 판결 / 조준현 2017  1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