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175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형사법의 신동향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3524049 

의료사고 피해구제제도에서의 입증책임 연구- 의료형사사건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Burden of Proof in the Remedy System for Damage from Medical Accident - Focusing on A Medical Criminal Case

 


  • 저자명 하신욱(HA SHIN WOOK)
  • 학술지명 형사법의 신동향
  • 권호사항 Vol.56 No.- [2017]
  • 발행처 대검찰청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273-307(35)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7
  • KDC 364
  • 주제어
  • 의료형사사건 ,의료과실 ,인과관계 ,입증책임 ,엄격한 증명 ,병원 감염사건 ,염기서열분석 ,의료피해 구제제도

  • 초록

의료인이 의료행위를 행하면서 당시의 의학지식 또는 의료기술에 기반한 주의의무를 게을리 하여 환자에게 적절한 조치를 하지 못하였고, 이로 인하여 환자에게 상해나 사망의 결과가 발생하거나 재산상 피해가 발생한 경우에 우리나라에서 환자나 유족을 구제할수 있는 제도에는 화해계약, 민법상 손해배상청구소송, 한국소비자원의 소비자분쟁조정, 한국의료분쟁조정중재원(약칭 조정중재원’)의 의료분쟁조정중재제도, 형사고소 등이있다. 이중 민법상 손해배상청구소송은 분쟁을 최종적확정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제도이나 의료인의 과실에 대한 입증책임을 환자 측이 지는 부담이 있고, 한국소비자원의 소비자분쟁조정은 의료 소비자인 환자의 입장이 충분히 고려될 수 있으나 의료사건에 대한전문성이 결여되어 있으며, 형사고소는 수사기관이 범죄혐의 입증에 필요한 증거를 수집하는 과정에서 의료인의 과실을 입증할 자료가 확보될 수 있으나 고소로 인해 당사자의감정이 격화되어 원만한 해결이 어려워질 수 있고, 조정중재원의 의료분쟁조정중재제도는 의료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감정부에서 사실관계와 분쟁 관련 쟁점을 정리하고 이에 대한 의학적인 검토까지 해주는 장점이 있으나 당사자가 조정결정에 동의하지 않으면조정이 성립하지 않는 임의적 조정기구의 한계가 있다.

 

  • 목차

. 서 론

. 의료행위의 의의와 특성

. 의료과실의 정의와 유형

. 우리나라 의료사고 피해자구제제도

1. 개 관

2. 현 황

. 의료민사, 의료형사사건에서의과실과 인과관계의 증명

1.

2. 의료민사사건

3. 의료형사사건

. 의료형사사건에서 과실과 인과관계 입증 사례

1.

2. 사안의 개요

3. 의료과실의 입증

4. 인과관계의 입증

5. 소 결

. 결 론

참고문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적 결정'에 대한 윤리적 정당성의 근거 / 정재우

발행년 2015 

  • 조회 수 124

8 환자 의사 관계 임상시험심사위원회(IRB)의 리베이트 통제 역할에 관한 소고 / 강한철

발행년 2013 

  • 조회 수 127

8 환자 의사 관계 사회행동과학연구(SBR)의 연구자-연구대상자 관계에서 도덕 판단 원리로서 ‘공감’의 의의 / 김진경 외

발행년 2016 

  • 조회 수 130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 중과실(重過失)에 대한 법적 고찰 / 백경희 외

발행년 2017 

  • 조회 수 131

8 환자 의사 관계 미국에서의 의료과오상 손해배상제도의 개혁과 시사점 / 봉영준

발행년 2017 

  • 조회 수 132

8 환자 의사 관계 커뮤니티케어에서 의사의 역할이 왜 중요한가? / 이건세

발행년 2019 

  • 조회 수 134

8 환자 의사 관계 분업적 의료행위에 따른 형사책임관계/정웅석

발행년 2014 

  • 조회 수 137

8 환자 의사 관계 변화하는 의료 환경 속에서 개인의료, 건강정보 보호의 중요성 / 이상윤

발행년 2016 

  • 조회 수 137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분쟁의 실태와 해결에 관한 연구

발행년 2017 

  • 조회 수 137

8 환자 의사 관계 임플란트 시술상 의료과오의 소송상 쟁점에 관하여 / 한태일

발행년 2018 

  • 조회 수 137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분쟁조정제도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 : 절차 및 재원조달을 중심으로 / 김효영

발행년 2008 

  • 조회 수 139

8 환자 의사 관계 보건의료법제 하에서 인공지능기술의 의료영역 도입의 의의와 법적 문제 / 배현아

발행년 2017 

  • 조회 수 139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 위기 발생 시 위기 요인 및 커뮤니케이션 전략이 공중의 의료기관 신뢰도, 이용의도, 사태 심각성 인식정도에 미치는 영향 / 조윤진

발행년 2018 

  • 조회 수 141

8 환자 의사 관계 안과 의료소송 판결문 분석을 통한 원인파악과 재발방지에 대한 연구 / 류영주

발행년 2017 

  • 조회 수 142

8 환자 의사 관계 의사의 설명의무에 관한 연구 / 심소의

발행년 2017 

  • 조회 수 143

8 환자 의사 관계 급성 충수염과 관련된 의료 소송 : 판례 중심의 의료법학적 접근 / 배현아, 노현, 장혜영, 정구영

발행년 2007 

  • 조회 수 152

8 환자 의사 관계 중국의 의료분쟁 조정제도 : 의료분쟁 조정제도 / 조도환

발행년 2005 

  • 조회 수 155

8 환자 의사 관계 병원간호사가 지각한 환자안전관리 중요성 인식, 환자안전문화 및 안전수행이 병원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박미연 외

발행년 2018 

  • 조회 수 156

8 환자 의사 관계 의사의 환자중심적 커뮤니케이션이 만성질환 환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건강행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이정선 외

발행년 2018 

  • 조회 수 159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계약에 있어서 비밀유지의무위반의 민법상 책임 / 김세준

발행년 2014 

  • 조회 수 1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