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175
발행년 : 2018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 (박사)-- 경북대학교 대학원 : 의학과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744767 
의료사고 사건수사의 개선방향 : 부검의 중요성과 법의학자의 역할 

= Proposal to Improve Medical Malpractice Investigation

  • 저자[authors] 장준혁

  • 발행사항 대구 :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8

  • 형태사항[Description] i, 41 p.    : 삽화    ; 26 cm

  • 일반주기명[Note] 지도교수: 이상한<br>참고문헌 수록

  • 학위논문사항[Dissertation] 학위논문 (박사)-- 경북대학교 대학원    : 의학과 2018. 2

  • DDC[DDC] 614.1 23

  • 발행국(발행지)[Country] 대구

  • 출판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 의료사고,의료과실,수사,법의학자,부검

  • 소장기관[Holding] 경북대학교 중앙도서관 (222001)


초록[abstracts] 
최근 다양한 원인으로 인하여 의료분쟁은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대구지방검찰청, 서울지방경찰청 통계자료 등에 의하면 의사 또는 간호사가 피의자인 의료사고 사건(업무상과실치상 또는 업무상과실치사의 죄명으로 입건된 사건)이 매년 증가추세에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이와 비슷한 비율로 전국적으로 의료분쟁이 형사사건화 되고 있는 빈도도 계속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의료분쟁의 해결과정에 있어 수사기관에서의 의료사고 사건수사가 매우 큰 부분을 담당하고 있으며 행정처분 및 민사소송도 형사사건의 처분결과나 증거확보 여부에 의존하고 있는 상황이다.    의료사고 사건 수사에 있어 부검이 가장 중요하고 의료인의 과실 및 인과관계 입증에 있어 법의학자의 역할이 요구된다. 의료분쟁 사건이 증가하고 부검율은 감소하고 있는 상황에서, 과실 및 과실과 사망 사망사이의 인과관계를 밝히기 위해서는 부검은 필수적이다. 주요 의료사망사건에서 법의학자들이 의료과실과 인과관계를 밝혀낸 국내 사례가 다수 있다. 현행 의료사고 사건 수사절차의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외국의 의료분쟁 해결절차에는 일본의 의료사고 조사제도, 미국의 재판 전 심사패널 제도 등이 있다.    현행 의료사고 사건 수사에는 과실과 인과관계의 불명확성 등 사건 자체의 어려움, 수사기간 지연, 부검율 저하, 전문가의 부재, 증거 조작 등의 문제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광역수사대 의료수사팀과의 유기적 연계를 통한 사건수사, 조기 의료사고 형사조정의 시행, 복수의 감정기관에 대한 감정의뢰, 의료 사망사고 발생 시 부검을 적극적으로 실시하는 방안 및 법의학자의 관여, 의료사고 사건 심의위원회 등을 개선안을 통해 의료사고 사건수사의 기간의 단축하고 실체적 진실 발견에 더욱 다가갈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의료분쟁과 관련된 사회적 비용을 최대한 절감할 수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9
155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과오소송에서 손해배상에 관한 연구 / 조민석 2016  75
154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기관과 보험회사 종사자의 의료정보보호 인식도 및 실천도 분석 / 이효연 2019  79
153 8 환자 의사 관계 임상시험 실시 기관 내 시험대상자 보호 업무의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 이소형 2015  80
152 8 환자 의사 관계 자녀의 의료사고에 대한 어머니의 경험 / 주은경 2018  82
151 8 환자 의사 관계 응급의료현장에서 질적 확률표현에 대한 의료인-환자 간의 인식 비교 / 오제혁 외 2014  87
150 8 환자 의사 관계 응급환초록 (Abstract)자 전원에 관한 판례의 태도 / 이재열 2009  94
149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과오소송에서의 치료비 청구와 ‘책임제한’ 법리의 재검토 / 장재형 2018  96
148 8 환자 의사 관계 분만 의료사고에 대한 보상사업 : 의료사고 피해구제 및 분쟁조정 등에 관한 법률 제46조에 관하여 / 백경희, 안법영 2011  97
147 8 환자 의사 관계 인터넷 건강정보가 의사-환자 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의사들의 인지도 조사 / 김정은 외 2007  98
146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과오소송에 있어서 과실의 입증 / 신은주 2016  102
145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 맞춤형 모바일 의료정보 서비스 시스템 설계 및 구현 2016  104
144 8 환자 의사 관계 의사의 비밀유지의무와 정보의 자기결정권 - 지정토론문 / 주호노 2018  105
143 8 환자 의사 관계 의사의 환자 지향적 커뮤니케이션과 만성질환자의 삶의 질과의 관계: 건강행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이정선 외 2018  107
142 8 환자 의사 관계 보건의료전공 대학생들의 환자안전에 대한 태도와 수행자신감 / 위성욱 2019  107
141 8 환자 의사 관계 일본에서의 의료과오에 대한 형사책임 / 배상균 2017  112
140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행위와 환자의 자기결정권에 관한 고찰/김영태 2014  114
139 8 환자 의사 관계 응급의료체계 내에서 진료정보교류의 법제 / 배현아 2016  114
138 8 환자 의사 관계 의과대학생을 위한 환자안전 교육의 국제적 동향 및 국내 현황 / 노혜린 2019  116
137 8 환자 의사 관계 제소 전 의료분쟁 해결에 관한 연구 : 한국소비자원 의료분쟁 조정을 중심으로 / 김경례 2012  117
136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적 결정'에 대한 윤리적 정당성의 근거 / 정재우 2015  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