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175
발행년 : 2009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동아대학교 대학원 : 윤리문화학과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1567536 

배려윤리에 근거한 환자-의사관계의 윤리


  • 저자 : 유수정
  • 형태사항 : iv, 46 p. ; 26 cm
  • 일반주기 :

    참고문헌: p. 42-44
    설명적,서지적 각주수록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 (석사)-- 동아대학교 대학원 : 윤리문화학과 2009. 2
  • KDC : 510.19 4
  • 발행국 : 부산
  • 언어 : 한국어
  • 출판년 : 2009


초록 ( Abstract )

  • 현대의학에서 발생하는 다양하고 복잡한 윤리적 문제는 전통적 규범윤리의 보편적 원칙이나 규칙만을 통해 해결할 수 없다. 이에 반해 배려윤리는 인간과 인간의 구체적인 관계 속에서 무...
  • 현대의학에서 발생하는 다양하고 복잡한 윤리적 문제는 전통적 규범윤리의 보편적 원칙이나 규칙만을 통해 해결할 수 없다. 이에 반해 배려윤리는 인간과 인간의 구체적인 관계 속에서 무엇이 최선인지를 숙고하고 실천하는 윤리로서, 특히 환자와 의사의 관계에 대한 새로운 접근방식으로 대두되고 있다. 배려윤리에서 나란 한 개인으로서의 나가 아니라 하나의 관계로서의 나이며, 이러한 나는 내 육체적 자아가 놓여 있는 관계들로 정의된다는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환자와 의사의 배려관계는 상호성을 가지는데 현실적으로 대부분 의사가 배려자로서 역할을 하게 된다. 배려는 이성적 능력보다 타자에 대한 따뜻한 공감능력을 중시하며 공감은 타자를 객관적으로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 타자를 수용하고 타자의 요구에 먼저 민감하게 반응하는 행위로 규정한다.
    배려윤리는 배려하는 사람이 배려를 행했다고 해서 배려의 행위가 완성되는 것은 아니다. 의사의 배려를 받는 환자에게도 수용과 반응의 상호작용이 요구된다. 배려관계는 상호 교류하며 반응하고 서로에게 기여할 때 완성된다. 이에 본 연구는 환자의 건강 신념과 역할행위를 고찰하여 환자가 가지는 질병에 대한 민감성과 심각성, 장애성, 유익성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환자 스스로 긍정적인 건강신념을 가지고 자신에게 주어진 역할행위를 잘 이행할 경우 더 건강한 삶을 지속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의사와의 공조관계가 질병의 완화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살펴보았다.




    목차 ( Index )

    Ⅰ. 서론 = 1

    Ⅱ. 배려자로서 의사와 배려 받는 자로서 환자 = 3

    1. 환자-의사관계 = 3

    2. 배려자와 배려 받는자 = 5

    가. 배려의 개념 = 5

    나. 배려자 = 9

    다. 배려 받는 자 = 11

    라. 배려의 범위와 의무 = 12

    3. 의사의 자기배려와 환자역할행위 = 14

    가. 의사의 자기배려 = 14

    나. 환자의 건강신념과 역할행위 = 16

    Ⅲ. 환자-의사의 신뢰적 관계 = 21

    1. 관계의 윤리 = 21

    2. 배려적 환자-의사관계 = 23

    Ⅳ. 공감적 이해로서 환자-의사관계 = 28

    1. 감정의 윤리 = 28

    2. 환자-의사의 공감적 이해 = 31

    Ⅴ. 환자-의사의 내러티브 = 35

    1. 내러티브의 윤리 = 35

    2. 이야기적 이해 = 38

    Ⅵ. 결론 = 41

    참고문헌 = 42

    Abstract = 45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8 환자 의사 관계 외래환자와 의료진의 공유의사결정과 의사소통에 대한 의료진의 인식 : 'S' 대학병원 일부 외래 의료진의 인식 / 김미선

    발행년 2010 

    • 조회 수 290

    8 환자 의사 관계 독일의 환자사전의사표시법 / 이석배

    발행년 2010 

    • 조회 수 19877

    8 환자 의사 관계 의대생의 임상 실습에 따른 환자-의사 관계 평가 비교 / 윤희정

    발행년 2010 

    • 조회 수 205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정보 이용 및 공개에 관한 법적기준 : 미국 프라이버시 규칙과 피험자보호 규칙의 검토 / 김진경, 한우석

    발행년 2009 

    • 조회 수 491

    8 환자 의사 관계 배려윤리에 근거한 환자-의사관계의 윤리 / 유수정

    발행년 2009 

    • 조회 수 416

    8 환자 의사 관계 보건의료정보 보호에 관한 법제 연구 / 이진영

    발행년 2009 

    • 조회 수 172

    8 환자 의사 관계 종합병원에 내원하는 환자와 가족의 사전의사결정에 대한 지식 정도, 경험, 태도, 선호도에 관한 연구 / 윤은숙

    발행년 2009 

    • 조회 수 426

    8 환자 의사 관계 응급의료거부죄의 해석과 정책 / 이석배

    발행년 2009 

    • 조회 수 7302

    8 환자 의사 관계 응급환초록 (Abstract)자 전원에 관한 판례의 태도 / 이재열

    발행년 2009 

    • 조회 수 94

    8 환자 의사 관계 헌법상 유전정보보호와 의사의 고지의무 : 미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 허전, 정덕영

    발행년 2009 

    • 조회 수 195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 전문직 윤리교육과 합리적인 의료오류보고 체계 마련을 통한 의료분쟁의 예방 -일개 지역응급의료센터 의료오류보고 체계를 통한 민원 분석 /

    발행년 2008 

    • 조회 수 203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소송실무상 감정의 현황 및 개선방향 : 한 의료소송전문 법률사무소의 최근 10년간 사례를 중심으로 / 진수현

    발행년 2008 

    • 조회 수 322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분쟁 발생 현황 및 진료과목별 분쟁 특성 분석 : 2006년 한국소비자원 자료를 중심으로 / 신은하

    발행년 2008 

    • 조회 수 650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분쟁조정제도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 : 절차 및 재원조달을 중심으로 / 김효영

    발행년 2008 

    • 조회 수 139

    8 환자 의사 관계 장애아의 출생과 의사의 민사책임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 / 황덕영

    발행년 2008 

    • 조회 수 311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행위에 대한 형법적 고찰 : 환자의 승낙을 중심으로 / 이홍석

    발행년 2008 

    • 조회 수 572

    8 환자 의사 관계 한방의료분쟁의 합리적인 해결방안 연구 / 정미영

    발행년 2008 

    • 조회 수 38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과오소송 입증책임 관련 입법의 동향 /조형원

    발행년 2008 

    • 조회 수 47

    8 환자 의사 관계 급성 충수염과 관련된 의료 소송 : 판례 중심의 의료법학적 접근 / 배현아, 노현, 장혜영, 정구영

    발행년 2007 

    • 조회 수 152

    8 환자 의사 관계 응급 환자 진료에서 설명 의무와 환자 사생활 보호 의무가 상충될 때의 대처 / 배현아, 이석배, 장혜영

    발행년 2007 

    • 조회 수 1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