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175
발행년 : 2014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의료법학회지 Vol.22 No.1 
관련링크 :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3531814 

의사의 경제적 설명의무 = A Physician"s Duty to Economic Explanation





초록 ( Abstract )

  • 최근 대법원 판결에서는 경제적인 관점이 진료계약에서 점차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점을 보여주고 있는바, 의사의 설명의무는 순수한 의료적 문제에만 한정되지 않는다고 볼 것이다. 의...
  • 최근 대법원 판결에서는 경제적인 관점이 진료계약에서 점차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점을 보여주고 있는바, 의사의 설명의무는 순수한 의료적 문제에만 한정되지 않는다고 볼 것이다. 의사는 환자와의 진료비용의 범위를 상의해야 할 의무를 부담한다. 이러한 의무는 국민건강보험공단의 급부제도의 시행과 관련해서 더욱 분명해지고 계속해서 의료공단의 급부제도로 시행되게 된다. 이에 대한 사례로서 의약품에서와 의료영역에서의 본인부담금이나 본인부담금비율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진료비용의 보상가능성에 대한 의사의 설명의무는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여기서 진료비용의 보상가능성에 대한 의사의 설명의무에 대한 한계를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행정법적 측면이 아니라 민법상 의료계약에 있어서 의사는 건강보험환자에 대해 어느 범위까지 설명해야 하는지 그리고 책임범위에 관해서도 언급하고자 한다. 의사의 조언은 가능한 한 의학적 관점 이외에도 경제적 관점도 고려해야 한다. 여러 가지 진료방법의 경제적 배경에 대한 설명의무는 아주 엄격한 한계에서만 이루어져야 한다. 의사는 건강보험공단이 부담할 수 없지만 위험이 적고 결과가 더 좋은 치료방법의 가능성과 재정부담가능성에 대해 설명해야 한다.
    경제적 조언의무의 정확한 범위에 대해 유용한 정의는 불가능하다고 생각된다. 진료계약에서 경제적 조언의무는 상사계약이나 변호사계약에서와 같이 확대되지 않는 것은 분명하다. 결국 실무에서 건강보험법상의 치료행위와 의학적으로 필요한 치료행위 사이의 비용 차이는 경제적 자문의무의 성립에 대한 기준이 될 것이다. 이는 비용이 많이 드는 진료일수록 의사는 비용이 적은 방법으로 동일한 결과를 가져올 수 있는지에 대해 답변을 해야 하는 점에서 경제적 자문의무의 인정은 바람직하다. 후자가 적용된다면 환자에 대한 설명이 필요하고 이를 하지 않는 것은 진료를 받는 사람의 손해배상청구권이 성립할 수 있다고 본다. 이는 건강보험급부와 상관없이 적용되어야 하는 원칙으로 볼 수 있다.





    목차 ( Index )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최근 대법원의 판결동향과 전원합의체 판결의 내용과 의미

    Ⅲ. 경제적 설명의무의 중요성과 체계적 지위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0
    35 8 환자 의사 관계 일본에서의 의료과오에 대한 형사책임 / 배상균 2017  112
    34 8 환자 의사 관계 의사의 환자 지향적 커뮤니케이션과 만성질환자의 삶의 질과의 관계: 건강행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이정선 외 2018  107
    33 8 환자 의사 관계 보건의료전공 대학생들의 환자안전에 대한 태도와 수행자신감 / 위성욱 2019  107
    32 8 환자 의사 관계 의사의 비밀유지의무와 정보의 자기결정권 - 지정토론문 / 주호노 2018  105
    31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 맞춤형 모바일 의료정보 서비스 시스템 설계 및 구현 2016  104
    30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과오소송에 있어서 과실의 입증 / 신은주 2016  104
    29 8 환자 의사 관계 인터넷 건강정보가 의사-환자 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의사들의 인지도 조사 / 김정은 외 2007  98
    28 8 환자 의사 관계 분만 의료사고에 대한 보상사업 : 의료사고 피해구제 및 분쟁조정 등에 관한 법률 제46조에 관하여 / 백경희, 안법영 2011  97
    27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과오소송에서의 치료비 청구와 ‘책임제한’ 법리의 재검토 / 장재형 2018  96
    26 8 환자 의사 관계 응급환초록 (Abstract)자 전원에 관한 판례의 태도 / 이재열 2009  94
    25 8 환자 의사 관계 응급의료현장에서 질적 확률표현에 대한 의료인-환자 간의 인식 비교 / 오제혁 외 2014  87
    24 8 환자 의사 관계 자녀의 의료사고에 대한 어머니의 경험 / 주은경 2018  82
    23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기관과 보험회사 종사자의 의료정보보호 인식도 및 실천도 분석 / 이효연 2019  81
    22 8 환자 의사 관계 임상시험 실시 기관 내 시험대상자 보호 업무의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 이소형 2015  80
    21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과오소송에서 손해배상에 관한 연구 / 조민석 2016  75
    20 8 환자 의사 관계 의사들의 호스피스 관리에 대한 임상적인 접근 1999  74
    19 8 환자 의사 관계 의사-환자 관계성 측정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 박진영 외 2014  71
    18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안전에 관한 문헌 연구: 국내연구를 중심으로 / 황지영 외 2018  68
    17 8 환자 의사 관계 우리나라 의료기기 부작용에 따른 피해구제시스템 도입방안 연구 / 최철호 2017  65
    16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소송과 실질적인 환자의 권리보호에 관한 소고 / 손연우 2016  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