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175
발행년 : 2014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생명윤리 Vol.15 No.2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261017 

환자의 자기 이해와 내러티브적 참 = Self-understanding of the patient and narrative truth


  • 제어번호 : 100261017
  • 저자명 : 조선우(Sunwoo Cho)
  • 학술지명 : 생명윤리
  • 권호사항 : Vol.15 No.2 [2014]
  • 발행처 : 한국생명윤리학회
  • 자료유형 : 학술저널
  • 수록면 : 53-68(16쪽)
  • 언어 : Korean
  • 발행년도 : 2014년
  • KDC : 570
  • 등재정보 : KCI등재후보
  • 주제어 : 내러티브 ,자기 이해 ,자율성 ,내러티브적 참 ,narrative ,self-understanding ,autonomy ,narrative truth


DB피아 링크 :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3552473




초록 (Abstract)

오늘날 다양한 학문영역에서 내러티브를 활용한 연구 및 내러티브 윤리에 대한 논의들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내러티브의 활용은 특히 환자의 자율성 존중이라는 생명윤리의 중요한 원칙과 관련하여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왜냐하면 환자의 어떤 결정이 정말로 자율적인 결정이며 환자의 진정한 욕구를 반영하는 결정인지 분별해내기 쉽지 않은 상황들이 빈번하게 발생하기 때문이다. 질병과 관련된 자신의 경험에 대한 환자의 내러티브를 분석함으로써 환자의 자기 이해에 대한 단서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면, 그것이 의료진이나 환자의 가족으로 하여금 의료상의 중요한 선택들과 관련하여 환자의 자율적 뜻을 보다 잘 고려할 수 있도록 도울 것이라고 기대하는 것은 타당할 것이다. 그러나 내러티브의 활용 가능성을 모색하기에 앞서 선행되어야 할 것은 내러티브가 신뢰할 만한 것인지에 대한 고찰이다. 내러티브가 본성상 선택적이고 해석적이라는 사실이 내러티브의 오류 가능성으로 쉽게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고려할 때, 이에 대한 고찰 없이 내러티브의 가치나 활용도를 이야기하는 것은 무의미할 수 있기 때문이다. 국내에서는 아직 내러티브의 신뢰성에 대한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지만, 미국, 영국, 네덜란드 등의 국가에서는 그러한 연구가 내러티브적 참개념을 중심으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 글은 이와 관련된 논의들 및 연구들을 검토하면서 내러티브의 오류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생명의료윤리의 맥락에서 환자의 내러티브에 주목해야 할 이유를 밝히고, 그러한 내러티브가 우리에게 환자에 대한 어떤 종류의 이해를 줄 수 있는지에 대해 논의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Ⅱ. 내러티브적 자기 이해와 오류 가능성의 문제

    Ⅲ. 내러티브에 대한 변호

    Ⅳ. 내러티브적 참

    Ⅴ. 내러티브의 활용을 위해 남아있는 과제

    Ⅵ. 결론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8 환자 의사 관계 소아청소년과 의료소송 판결문 분석을 통한 의료사고 원인파악과 재발방지 대책 / 이동엽

    발행년 2014 

    • 조회 수 499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의 자기 이해와 내러티브적 참 / 조선우

    발행년 2014 

    • 조회 수 523

    8 환자 의사 관계 노인 암 환자에서 공유의사결정 인식정도와 수술의사결정 갈등 요인 / 윤영신, 김명희, 박정하

    발행년 2014 

    • 조회 수 247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법 제17조 제1항의 '직접 진찰' 과 대면진료의무를 위반한 의사의 형사책임

    발행년 2014 

    • 조회 수 1338

    8 환자 의사 관계 치위생학생의 윤리성향과 자아존중감이 환자 의료정보보호 인지에 미치는 영향 / 김영인

    발행년 2014 

    • 조회 수 516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 고통의 의미와 의사의 바람직한 대응 및 태도 / 유호종

    발행년 2014 

    • 조회 수 249

    8 환자 의사 관계 '선한 사마리아인 법'에 따른 민사책임의 감경 - 응금의료에 관한 법률 제5조의2을 중심으로 -/김천수

    발행년 2014 

    • 조회 수 730

    8 환자 의사 관계 간호사의 법적 책임에 관한 연구/범경철

    발행년 2014 

    • 조회 수 596

    8 환자 의사 관계 간호사의 의료과오 책임에 관한 연구/장미희

    발행년 2014 

    • 조회 수 425

    8 환자 의사 관계 병원감염 사건에서 사실상 증명책임 전환의 필용성 및 그 근거로서 안전배려의무에 관한 검토/유현정

    발행년 2014 

    • 조회 수 209

    8 환자 의사 관계 분업적 의료행위에 따른 형사책임관계/정웅석

    발행년 2014 

    • 조회 수 137

    8 환자 의사 관계 선택진료제를 위반한 의료행위의 민사책임에 관한 고찰/백경희 외

    발행년 2014 

    • 조회 수 173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기기의 결함으로 인한 손해배상책임과 미국 연방법 우선 적용 이론에 관하여/김장한

    발행년 2014 

    • 조회 수 167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법상 의료기관 개설제한의 위반유형에 관한 연구/김준래

    발행년 2014 

    • 조회 수 264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분쟁조정제도 운영상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최장섭

    발행년 2014 

    • 조회 수 201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행위와 환자의 자기결정권에 관한 고찰/김영태

    발행년 2014 

    • 조회 수 114

    8 환자 의사 관계 의사에게 치료상의 과오를 설명할 의무가 있는가?/김민중

    발행년 2014 

    • 조회 수 176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의 자기결정권에 관한 연구-의사,환자관계의 유형을 중심으로 / 박태신

    발행년 2014 

    • 조회 수 210

    8 환자 의사 관계 응급의료현장에서 질적 확률표현에 대한 의료인-환자 간의 인식 비교 / 오제혁 외

    발행년 2014 

    • 조회 수 87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소송에서 과실과 인과관계의 증명 : 병원감염 판결을 중심으로/유현정

    발행년 2014 

    • 조회 수 3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