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175
발행년 : 2010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원광법학 Vol.26 No.4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99695929 

독일의 환자사전의사표시법 = Das deutsche Patientenverfügungsgesetz


  • 제어번호 : 99695929
  • 저자명 : 이석배
  • 학술지명 : 圓光法學
  • 권호사항 : Vol.26 No.4 [2010]
  • 발행처 :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
  • 자료유형 : 학술저널
  • 수록면 : 337-357(21쪽)
  • 언어 : -
  • 발행년도 : 2010년
  • KDC : 360
  • 등재정보 : KCI등재
  • 주제어 : 사전의료지시 ,연명치료중단 ,환자의 자기결정권 ,세브란스병원 사건 ,추정적 의사 ,독일 후견법 제3차 개정법 ,Patientenverfü ,gung ,Behandlungsabbruch ,Severance Uni-Klinikum Fall ,mutmaßlicher Wille ,Drittes Gesetz zur Änderung des Betreuungsrechts ,Selbstbestimmungsrecht des Patienten


초록 (Abstract)

Wie weit die rechtliche Verpflichtung zur Lebenserhaltung geht, ist nunmehr mittelbar aus dem sog. Patientenverfügungsgesetz (d.h. Drittes Gesetz zur Änderung des Betreuungsrechts) vom 29. 7. 2009 zu entnehmen. Es ist am 1. 9. 2009 in Kraft getreten. das die Bindungskraft von Patientenverfügungen festlegt, Außerdem lassen sich diesem Gesetz wichtige Entscheidungsgrundlagen fur lebenserhaltende Maßnahmen auch fur den Fall entnehmen, dass keine Patientenverfügung vorliegt oder die Festlegungen einer Patientenverfügung nicht auf die aktuelle Lebens- und Behandlungssituation zutreffen. Dies sind u.a. die ärztliche Indikation, Behandlungswünsche oder der mutmaßliche Wille des entscheidungsunfähigen Patienten sowie die Notwendigkeit, Einwilligungen oder Nichteinwilligungen des Betreuers oder Bevollmächtigten in schwerwiegende ärztliche Maßnahmen gerichtlich genehmigen zu lassen, soweit Patientenvertreter und Arzt den Patientenwillen unterschiedlich auslegen. Dadurch wird die rechtliche Verantwortlichkeit des Arztes gestärkt. Er trägt nicht nur die Alleinverantwortung für die von ihm zu stellende ärztliche Indikation. Er ist auch mitverantwortlich für die Auslegung einer Patientenverfügung oder die Ermittlung des mutmaßlichen Behandlungswillens durch den Patientenvertreter; ihm kommt diesem gegenüber eine Kontrollfunktion zu. Denn das Gesetz hat die Pflicht des Patientenvertreters, das Betreuungsgericht zur Genehmigung seiner Erklärungen anzurufen, an das Verhalten des Arztes geknüpft. Der Arzt darf sich nicht den Entscheidungen des Patientenvertreters quasi blindlings fügen, sondern muss eigenverantwortlich prüfen, ob der Arzt seine Zustimmung zu dem vom Vertreter des Patienten angenommenen Inhalt des Willens des Patienten geben kann. Seine Entscheidung muss in der Krankenakte dokumentiert werden. Denn nur im Falle eines Einvernehmens zwischen Arzt und Vertreter des Patienten über den wirklichen oder mutmaßlichen Willen des Patienten ist der Patientenvertreter von der Pflicht, schwerwiegende Entscheidungen gerichtlich genehmigen zu lassen, befreit (§1904 BGB n.F.). Das neue Patientenverfügungsgesetz redet somit keineswegs, wie von der Bundesärztekammer befürchtet einem am schriftlichen Wort klebenden Automatismus bei der Anwendung von Patientenverfügungen das Wort. Jede Patientenverfügung ist vielmehr unter Beachtung des §133 BGB im Hinblick auf die konkrete Behandlungssituation auszulegen. Dabei kommt dem Arzt eine wichtige Kontrollfunktion gegenüber dem Patientenvertreter zu. Das gleiche gilt, wenn es nicht um die Anwendung einer Patientenverfügung, sondern die Ermittlung des mutmaßlichen Behandlungswillens geht. In Zweifelsfallen hat der Schutz des Lebens Vorrang (in dubio pro vita).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 Ⅱ. 개정 민법(후견법)의 내용

    Ⅲ. 개정민법에 따른 결정모델

    Ⅳ. 결 론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8 환자 의사 관계 외래환자와 의료진의 공유의사결정과 의사소통에 대한 의료진의 인식 : 'S' 대학병원 일부 외래 의료진의 인식 / 김미선

    발행년 2010 

    • 조회 수 290

    8 환자 의사 관계 독일의 환자사전의사표시법 / 이석배

    발행년 2010 

    • 조회 수 19877

    8 환자 의사 관계 의대생의 임상 실습에 따른 환자-의사 관계 평가 비교 / 윤희정

    발행년 2010 

    • 조회 수 205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정보 이용 및 공개에 관한 법적기준 : 미국 프라이버시 규칙과 피험자보호 규칙의 검토 / 김진경, 한우석

    발행년 2009 

    • 조회 수 491

    8 환자 의사 관계 배려윤리에 근거한 환자-의사관계의 윤리 / 유수정

    발행년 2009 

    • 조회 수 416

    8 환자 의사 관계 보건의료정보 보호에 관한 법제 연구 / 이진영

    발행년 2009 

    • 조회 수 172

    8 환자 의사 관계 종합병원에 내원하는 환자와 가족의 사전의사결정에 대한 지식 정도, 경험, 태도, 선호도에 관한 연구 / 윤은숙

    발행년 2009 

    • 조회 수 426

    8 환자 의사 관계 응급의료거부죄의 해석과 정책 / 이석배

    발행년 2009 

    • 조회 수 7302

    8 환자 의사 관계 응급환초록 (Abstract)자 전원에 관한 판례의 태도 / 이재열

    발행년 2009 

    • 조회 수 94

    8 환자 의사 관계 헌법상 유전정보보호와 의사의 고지의무 : 미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 허전, 정덕영

    발행년 2009 

    • 조회 수 195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 전문직 윤리교육과 합리적인 의료오류보고 체계 마련을 통한 의료분쟁의 예방 -일개 지역응급의료센터 의료오류보고 체계를 통한 민원 분석 /

    발행년 2008 

    • 조회 수 203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소송실무상 감정의 현황 및 개선방향 : 한 의료소송전문 법률사무소의 최근 10년간 사례를 중심으로 / 진수현

    발행년 2008 

    • 조회 수 322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분쟁 발생 현황 및 진료과목별 분쟁 특성 분석 : 2006년 한국소비자원 자료를 중심으로 / 신은하

    발행년 2008 

    • 조회 수 650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분쟁조정제도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 : 절차 및 재원조달을 중심으로 / 김효영

    발행년 2008 

    • 조회 수 139

    8 환자 의사 관계 장애아의 출생과 의사의 민사책임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 / 황덕영

    발행년 2008 

    • 조회 수 311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행위에 대한 형법적 고찰 : 환자의 승낙을 중심으로 / 이홍석

    발행년 2008 

    • 조회 수 572

    8 환자 의사 관계 한방의료분쟁의 합리적인 해결방안 연구 / 정미영

    발행년 2008 

    • 조회 수 38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과오소송 입증책임 관련 입법의 동향 /조형원

    발행년 2008 

    • 조회 수 47

    8 환자 의사 관계 급성 충수염과 관련된 의료 소송 : 판례 중심의 의료법학적 접근 / 배현아, 노현, 장혜영, 정구영

    발행년 2007 

    • 조회 수 152

    8 환자 의사 관계 응급 환자 진료에서 설명 의무와 환자 사생활 보호 의무가 상충될 때의 대처 / 배현아, 이석배, 장혜영

    발행년 2007 

    • 조회 수 1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