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175
발행년 : 201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의료윤리학회지 
관련링크 : http://kiss.kstudy.com/journal/thesis_na...ey=3384422 


[KISS 한국학술정보 : 연구원내 무료 열람 가능]



의학적 인간학과 윤리학의 관점에서 바라 본 의사-환자 관계



정대성 ( Daesung Jeong )

한국의료윤리학회, <한국의료윤리학회지> 18권4호 (2015), pp.442-456




한국어 초록

  •    의료윤리를 위협하는 일련의 사건들은 의사-환자 관계의 고찰 필요성을 제기한다. 본고는 의학적 인간학과 윤리학의 관점에서 의사-환자 관계를 조명한다. 그리고 의사로서의 직업윤리 준수를 위협하는사회의 구조적 측면에 대해서 사회 윤리적 관점에서 고찰한다. 의사-환자 관계는 본질적으로 ‘나와 그것’의 관계가 아니라 ‘나와 너’의 관계이다. 그리고 질병이란 실존적 위기와 고난 상황에 대하여 정신의주체인 인간의 신체적, 정신적 대응 방식의 하나임을 의학적 인간학은 규명한다. 따라서 환자에게 주체의 지위를 부여해야 하며 환원주의적 병인론의 한계가 지적되어야 한다. 환자는 인간, 즉 더 높은 가치를 지향하는 세계 개방적 존재인 인격으로 대우되어야 한다. 그리고 환자는 실존적 지향성을 지닌인간으로 대우되어야 하며, 의사-환자 관계는 사랑의 공동체가 되기 위해 신뢰와 배려의 덕이 요구된다. 한편 의사와 환자는 모두 습관적 의식에 대해 반성하고 경향성을 초월하기 위해 노력해야 하며 그들 모두 의지의 자유를 지닌 존엄한 이성적 존재자로서 대우되어야 한다. 또한 의사와 환자는 자신의태도를 정언명법에 비추어 반성해야 한다. 그리고 인간은 불가해한 존재이므로 인간에 대한 경외심을잃어서는 안 되며, 감성적 동기가 도덕적 동기를 지배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다른 한편으로 사회윤리적 차원에서 실적주의와 물질만능주의가 의료윤리를 훼손하지 않도록 관련된 사회 구조적 문제점을 밝혀내 개선해야 한다. 질병의 치료는 심신상관성에 대한 이해에 기초해야 한다. 즉 의학은 인간을지속적 의미 생산의 주체이자 심신상관체로 바라보는 새로운 차원을 열어가야 한다. 그러므로 이제 의사는 환자의 신체뿐만 아니라 정신적 측면까지 진단하여 치료에 활용하는 수준으로 나아가야 한다. 뿐만 아니라 의사는 기계가 아닌 인간을 마주하는 직업인으로서 자신의 가치관과 윤리의식을 혁신해야한다. 마지막으로 환자의 실존적 상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환자의 인격적 특질에 다가가야 한다. 환자의 인격을 이해하는 궁극적인 방법은 사랑이다.
  • 키워드
  • 의사-환자 관계, 인간 존엄성, 사회윤리, 심신상관성, 인격, 직업윤리, doctor-patient relations, human dignity, social ethic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body and the soul, character, vocational ethics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8 환자 의사 관계 의사는 적응증이 아닌데도 수술을 원하는 환자를 어떻게 대해야 할까?: 닥터링 통합과정의 설명의무 사례를 중심으로/정창록, 김소윤

    발행년 2015 

    • 조회 수 209

    8 환자 의사 관계 의학적 의사결정에 관한 우리나라 성인의 인식 조사/권복규

    발행년 2015 

    • 조회 수 241

    8 환자 의사 관계 의학적 인간학과 윤리학의 관점에서 바라 본 의사-환자 관계/정대성

    발행년 2015 

    • 조회 수 317

    8 환자 의사 관계 일개병원 수술 예정 환자의 수술동의서 용어에 대한 인지, 용어이해도와 설명만족도에 대한 조사 연구/김영경, 정인숙

    발행년 2015 

    • 조회 수 549

    8 환자 의사 관계 공동의사결정에서 의사결정 코칭(Decision Coaching)의 함의/이은영

    발행년 2015 

    • 조회 수 221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의 자기결정권의 한계에 관한 연구 -여호와 증인의 수혈거부사건을 둘러싸고-/박태신

    발행년 2015 

    • 조회 수 431

    8 환자 의사 관계 미검증 의료행위의 규제에 관한 법정책학적 연구 / 채규현

    발행년 2015 

    • 조회 수 252

    8 환자 의사 관계 자기결정능력 흠결 상태의 환자에 대한 의료행위의 동의에 관한 소고(小考) / 백경희

    발행년 2015 

    • 조회 수 240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과오소송에서 증인인 담당의사의 신문 등에 관한 연구 -환자 측 소송대리인의 입장에서- / 박태신

    발행년 2015 

    • 조회 수 340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과실로 인한 의료사고와 환자안전법에 대한 고찰 / 성은정

    발행년 2015 

    • 조회 수 1248

    8 환자 의사 관계 영국의 개인정보보호 법제와 개인정보 보호기관의 법적 실태에 관한 소고 / 김종호

    발행년 2015 

    • 조회 수 122

    8 환자 의사 관계 의사-환자 관계성에 관한 상호이해도 분석 / 박진영 외

    발행년 2015 

    • 조회 수 52

    8 환자 의사 관계 임상시험 실시 기관 내 시험대상자 보호 업무의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 이소형

    발행년 2015 

    • 조회 수 80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의 동의와 자율성의 법적ㆍ윤리적 고찰 / 이한주

    발행년 2014 

    • 조회 수 3974

    8 환자 의사 관계 임상적 의사결정과 생명의료윤리에 대한 환자, 가족, 간호사와 의사의 인지도 / 박애란, 소향숙, 채명정

    발행년 2014 

    • 조회 수 542

    8 환자 의사 관계 의학적 의사결정으로써 공동의사결정 실현을 위한 환자의사결정도구(PtDAs) 연구 / 이은영

    발행년 2014 

    • 조회 수 561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사고 재발 방지를 위한 의료소송 판결문의 원인분석 방법의 활용 / 이원, 김소윤, 이미진

    발행년 2014 

    • 조회 수 329

    8 환자 의사 관계 양방의료행위와 한방의료행위의 의의 및 중첩 양상에 관한 판례의 태도에 대한 고찰 / 백경희, 장연화

    발행년 2014 

    • 조회 수 338

    8 환자 의사 관계 개인의료정보보호법 제정의 필요성과 입법방향 / 이한주

    발행년 2014 

    • 조회 수 395

    8 환자 의사 관계 의사의 경제적 설명의무 / 최행식

    발행년 2014 

    • 조회 수 2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