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175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刑事法硏究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1823052 

제목 환자의 수혈거부와 자기결정권의 한계


영문명 The refusal of a blood transfusion by a patient and 2)socialethical limitation of the self-determination right - focused on the Supreme Court Decision 2009do14407 Decided June 26, 2014
저자 원형식(Won, Hyung-Sig)
학술지명 刑事法硏究
권호사항 Vol.28No.1[2016]
발행처 韓國刑事法學會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99-220
발행년도 2016
KDC 360
주제어 refusal of a blood transfusion,consent of an injured person,presumptive withdrawl of a consent,collision of obligations,law free zone




초록 

여호와의 증인인 환자가 수술 전에 표시한 수혈거부 의사에 따라 수술도중 생명을 구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수혈을 행하지 않아 환자가 사망한 경우 의사의 형사책임에 대하여 대법원은 (1) 환자의 생명 보호 의무와 자기결정권을 존중하여야 할 의 무가 대등한 가치를 가지는 경우 그리고 (2) 환자의 생명과 자기결정권을 비교형량하기 어려운 특별한 사정이 있다고 인정되는 경우에 의사가 자신의 직업적 양심에 따라 환자의 양립할 수 없는 두 개의 가치 중 어느 하나를 존중하는 방향으로 행위 한 경우 그 의사의 행위는 불가벌이라고 판단하였다. 대법원은 (1)의 경우 피해자의 승낙을 적용한 것으로 보인다. 환자의 생명 보호의무와 자기결정권을 존중하여야 할 의무가 '대등한 가치'를 가지는 경우에도 피해자의 승낙에 의한 행위가 사회윤리에 부합하는가에 대하여는 논란이 있지만 다음과 같은 이유에서 판례의 견해가 타당하다: ➀ 피해자의 승낙에서 이익교량은 사전판단에 의하므로 이익교량의 부정적 요소는 현실적으로 실현된 사망의 결과(생명의 침해)가 아니라 수술 당시 ‘생명의 위험’이다. ➁ 승낙에 의한 행위가 사회윤리에 반한 다는 평가는 이익교량의 결과 부정적 요소(생명의 위험)가 긍정적 요소(환자의 종교적신념에 근거한 자기결정의 자유, 고관절 수술을 통한 건강의 개선)보다 우위에 있는 경우에만 가능하다. 이러한 이익교량의 척도에 의하면 전자와 후자가 ‘대등한 가치’를 갖 는 경우에 피해자의 승낙에 의한 행위는 사회윤리에 반한다고 할 수 없다. (2)에서 대법원은 환자의 생명과 자기결정권을 비교형량하기 어려운 경우 의사가 '어느 하나의 가치를 선택하더라도' 불가벌이라고 판단하였다. 그러나 본고에서 제시한 이익형량의 기준에 의하면 승낙에 의한 행위는 부정적 요소가 긍정적 요소보다 우위에 있는 경우에만 사회윤리에 반하므로 ‘이익형량이 불가능’한 경우에도 사회윤리에 반하지 않는다. 따라서 (2)의 경우를 굳이 (1)의 경우, 즉 양자가 '대등한 가치'를 가지는 경우와 구분하여 취급할 필요 없이 두 경우 모두 피해자의 승낙에 의하여 위법성이 조각된다고 보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생각된다.



목차 

Ⅰ. 머리말
 Ⅱ. 자기결정권 행사의 효력과 한계
 Ⅲ. 결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적 결정'에 대한 윤리적 정당성의 근거 / 정재우

발행년 2015 

  • 조회 수 124

8 환자 의사 관계 임상시험심사위원회(IRB)의 리베이트 통제 역할에 관한 소고 / 강한철

발행년 2013 

  • 조회 수 127

8 환자 의사 관계 사회행동과학연구(SBR)의 연구자-연구대상자 관계에서 도덕 판단 원리로서 ‘공감’의 의의 / 김진경 외

발행년 2016 

  • 조회 수 130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 중과실(重過失)에 대한 법적 고찰 / 백경희 외

발행년 2017 

  • 조회 수 131

8 환자 의사 관계 미국에서의 의료과오상 손해배상제도의 개혁과 시사점 / 봉영준

발행년 2017 

  • 조회 수 132

8 환자 의사 관계 커뮤니티케어에서 의사의 역할이 왜 중요한가? / 이건세

발행년 2019 

  • 조회 수 134

8 환자 의사 관계 분업적 의료행위에 따른 형사책임관계/정웅석

발행년 2014 

  • 조회 수 137

8 환자 의사 관계 변화하는 의료 환경 속에서 개인의료, 건강정보 보호의 중요성 / 이상윤

발행년 2016 

  • 조회 수 137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분쟁의 실태와 해결에 관한 연구

발행년 2017 

  • 조회 수 137

8 환자 의사 관계 임플란트 시술상 의료과오의 소송상 쟁점에 관하여 / 한태일

발행년 2018 

  • 조회 수 137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분쟁조정제도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 : 절차 및 재원조달을 중심으로 / 김효영

발행년 2008 

  • 조회 수 139

8 환자 의사 관계 보건의료법제 하에서 인공지능기술의 의료영역 도입의 의의와 법적 문제 / 배현아

발행년 2017 

  • 조회 수 139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 위기 발생 시 위기 요인 및 커뮤니케이션 전략이 공중의 의료기관 신뢰도, 이용의도, 사태 심각성 인식정도에 미치는 영향 / 조윤진

발행년 2018 

  • 조회 수 141

8 환자 의사 관계 안과 의료소송 판결문 분석을 통한 원인파악과 재발방지에 대한 연구 / 류영주

발행년 2017 

  • 조회 수 142

8 환자 의사 관계 의사의 설명의무에 관한 연구 / 심소의

발행년 2017 

  • 조회 수 143

8 환자 의사 관계 급성 충수염과 관련된 의료 소송 : 판례 중심의 의료법학적 접근 / 배현아, 노현, 장혜영, 정구영

발행년 2007 

  • 조회 수 152

8 환자 의사 관계 중국의 의료분쟁 조정제도 : 의료분쟁 조정제도 / 조도환

발행년 2005 

  • 조회 수 155

8 환자 의사 관계 병원간호사가 지각한 환자안전관리 중요성 인식, 환자안전문화 및 안전수행이 병원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박미연 외

발행년 2018 

  • 조회 수 156

8 환자 의사 관계 의사의 환자중심적 커뮤니케이션이 만성질환 환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건강행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이정선 외

발행년 2018 

  • 조회 수 159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계약에 있어서 비밀유지의무위반의 민법상 책임 / 김세준

발행년 2014 

  • 조회 수 1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