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175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의료법학회지 
관련링크 : http://www.dbpia.co.kr/Article/NODE06726170 

비뇨기과의 영역에서 의료책임과 최근동향
=Medical Malpractice Liability In Urology And Recent Tendencies In Ruling Of The Court



저자사항 김기영, 박경기, 허정식
권호사항 한국의료법학회지 제24권 제1호, 2016.6, 117-143 (27 pages)DOI :10.17215/kaml.2016.06.24.1.117
간행물명 한국의료법학회지
ISSN 1598-9178
등재정보 KCI등재
간행물유형 학술저널
DBpia주제분류 사회과학
발행기관 한국의료법학회
발행연월 2016.6
DOI 10.17215/kaml.2016.06.24.1.117
URL http://www.dbpia.co.kr/Article/NODE06726170
자료유형 전자저널
논문작성언어 한국어
파일형식TextPDF



 
초록
의사들은 환자에게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해야 하는 의무가 있다. 일부 연구가 보여준 것처럼 전문적인 지식과 의료 서비스의 사회 경제적 특성으로 환자와 의사 모두를 만족시키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특히 비뇨기과의 진료 과실에 대한 최근 법원의 결정에 근거하여 우리의 기대와 맞지 않게 의료책임의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진료과실에 대한 손해배상책임은 우리나라의 의료책임법의 가장 논쟁적인 측면 중 하나이다.
환자를 직접 진료하는 경우, 정확한 진단은 알맞은 치료를 위한 가장 중요한 요소이며 이러한 진단의 잘못으로 인한 오진이 주된 것이며 날로 증가되는 추세이다. 비뇨기과의 경우 방광암, 전립선암, 신장암 등과 같은 진단이 지연되거나 진단을 못하는 오진도 마찬가지로 많이 발생되고 있다. 또한 시술 혹은 수술 등도 이와 같은 진단이 잘못과 연관이 되는 경우가 흔하게 나타난다. 가장 일반적인 수술적 문제는 비뇨기계종양의 치료와 관련된 경우가 많다. 수술실패. 특히 전립선, 고환 및 신장의 악성 종양은 부적절한 수술, 진단 오류 및 환자의 상태확인 등의 문제와 청구범위에 일관되게 나타났다. 의사는 환자에게 모든 문제를 설명하고 환자와 가족들의 질문에 대답해야 한다. 의사는 최신의 지식을 이용하여 환자에게 조언하는 것이 의료진의 의무이다. 일반적으로, 불완전한 정보와 증명되지 않은 시술을 하는 경우도 있다.
진료과실이 입증되지 않았다고 하더라도 설명의무위반에 대한 책임도 인정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중요한 것은 의사의 설명의무가 서면으로 기록되고 모든 사례에서 환자가 응답해야하는 내용이며 상담과정에서 상담내용을 기록할 수 있는 증인이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수술후유증이나 부작용에 대한 위험설명이 법적인 측면에서 중요시되고 있지만 손해배상의 범위에서 일반적으로 위자료만 인정되기 때문에 환자로서는 손해의 회복에는 미흡한 점이 있다.


목차
국문초록
I. 들어가는 말
II. 의료책임의 근거
III. 비뇨기과의 영역에서 판례
IV.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의사, 책임, 의료과실, 비뇨기과, 손해배상, Physician, Liability, Malpractice, Urology, damages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사고 피해구제제도에서의 입증책임 연구 / 하신욱

발행년 2017 

  • 조회 수 188

8 환자 의사 관계 보건의료법제 하에서 인공지능기술의 의료영역 도입의 의의와 법적 문제 / 배현아

발행년 2017 

  • 조회 수 139

8 환자 의사 관계 마취 관련 의료사고 시 주의의무 - 법원 판결 사례를 중심으로 - / 최규연

발행년 2017 

  • 조회 수 314

8 환자 의사 관계 의사의 설명의무와 인신사고의 소멸시효에 관한 고찰 / 백경희

발행년 2017 

  • 조회 수 175

8 환자 의사 관계 미국에서의 의료과오상 손해배상제도의 개혁과 시사점 / 봉영준

발행년 2017 

  • 조회 수 132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 중과실(重過失)에 대한 법적 고찰 / 백경희 외

발행년 2017 

  • 조회 수 131

8 환자 의사 관계 일본에서의 의료과오에 대한 형사책임 / 배상균

발행년 2017 

  • 조회 수 112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소송상 환자보호를 위한 방안의 검토 : 입증부담의 경감방안 및 적극적 위자료 인정의 필요성을 중심으로 / 한태일

발행년 2017 

  • 조회 수 36

8 환자 의사 관계 우리나라 의료기기 부작용에 따른 피해구제시스템 도입방안 연구 / 최철호

발행년 2017 

  • 조회 수 65

8 환자 의사 관계 개정 의료분쟁조정법 시행에 따른 의료분쟁조정제도에 관한 현황과 과제 / 신현호 외

발행년 2017 

  • 조회 수 48

8 환자 의사 관계 의사의 설명의무에 관한 연구 / 심소의

발행년 2017 

  • 조회 수 143

8 환자 의사 관계 개정된 의료사고 피해구제 및 의료분쟁 조정 등에 관한 법률 시행에 따른 의사의 진료행태 변화에 관한 연구 / 강유평

발행년 2017 

  • 조회 수 169

8 환자 의사 관계 The Obligation to Provide Information where Valid Consent is Not Needed / Walker, Tom

발행년 2017 

  • 조회 수 36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 자기결정권과 충분한 정보에 근거한 치료거부(informed refusal) : 판례 연구 / 배현아

발행년 2017 

  • 조회 수 305

8 환자 의사 관계 안과 의료소송 판결문 분석을 통한 원인파악과 재발방지에 대한 연구 / 류영주

발행년 2017 

  • 조회 수 141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사고 환자들의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PTSD) 실태: 의료진의 설명 및 태도와 사회적 지지의 상호작용 / 김나연 외

발행년 2017 

  • 조회 수 340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의 모를 권리와 의사의 배려의무 / 석희태

발행년 2016 

  • 조회 수 582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와 자율성의 한계/이인국

발행년 2016 

  • 조회 수 289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의 수혈거부와 자기결정권의 한계/원형식

발행년 2016 

  • 조회 수 655

8 환자 의사 관계 비뇨기과의 영역에서 의료책임과 최근동향 / 김기영 외

발행년 2016 

  • 조회 수 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