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175
발행년 : 2010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1989808 

의대생의 임상 실습에 따른 환자-의사 관계 평가 비교

= The Evaluation of Patient-Physician Interaction(PPI) in Medical Students Before and After Clinical Clerkship

                                             

  • 저자

    윤희정                                       

  • 형태사항

    ⅱ,21 ; 26cm

  • 일반주기

    지도교수 :김대현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계명대학교 대학원 : 의학과 2010. 2

  • 발행국

    대구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10

  • 주제어

    임상실습

초록 (Abstract)

  • 바람직한 면담 태도는 환자와 의사간의 좋은 관계를 형성하고, 치료 효과를 높일 뿐 아니라 의료 분쟁을 예방한다. 2009년 의사국가고시에 수기와 태도를 평가하는 임상 수행 능력 평가시험...
  • 바람직한 면담 태도는 환자와 의사간의 좋은 관계를 형성하고, 치료 효과를 높일 뿐 아니라 의료 분쟁을 예방한다. 2009년 의사국가고시에 수기와 태도를 평가하는 임상 수행 능력 평가시험을 보게 되므로 임상 실습 전 3학년 군과 실습 후 4학년 군 간의 환자-의사 관계(Patient Physician Interaction : PPI)평가 항목의 중요도를 평가하였다.
    2008년 의학 면담 수업을 마친 1개 의과대학생 151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국내외 환자-의사 관계 평가 지침서에 따라 각 항목의 중요도를 임상 실습 전 3학년(73명)과 임상 실습 후 4학년(78명)을 대상으로 평가 비교하였다.
    연구에 참가한 학생 151명의 평균 나이는 25.4 ± 3.4세였다. 임상 실시 시험 평가 분야 중요도를 실습 전 3학년 군과 실습 후 4학년 군을 비교한 결과 19.0 ± 8.7% vs 23.6 ± 10.2%로 4학년 군이 유의하게 높았다(p=0.004). 국내외 환자-의사 관계 평가 권고안에 관한 학생 인식에 대한 결과에서는 캘거리 캠브리지 지침서에 대한 평가에서는 설명과 교육항목이 18.8 ± 6.7%에서 22.0 ± 5.2%로 중요도가 유의하게 높았다(p=0.001). Macy 전문가 지침서에 대한 평가에서는 관계형성 항목 또한 4학년 군이 3학년군에 비해 11.4 ± 4.8 vs 14.1 ± 7.0%로 유의하게 높았다(p=0.006). 대구경북 컨소시엄에 대한 평가에서는 관계 형성 항목은 3학년 군이 4학년 군에 비해 높았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결론적으로 의료 커뮤니케이션 항목 중 환자-의사 관계 항목에 대한 중요도가 실습 전 3학년 군에 비해 실습 후 4학년 군이 높았다. 또한 국내외 환자-의사 관계를 평가하는 지침서에서는 설명과 교육, 관계 형성 등의 항목들을 실습을 마친 4학년 군이 더 높이 평가하여 환자 중심적 접근을 평가 할 수 있는 항목을 더 높이 평가함을 알 수 있었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 1
  • 2. 대상 및 방법 = 3
  • 3. 결과 = 5
  • 4. 고찰 = 12
  • 5. 요약 = 14
  • 참고문헌 = 15
  • Abstract = 18
  • 국문초록 = 20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8 환자 의사 관계 소아청소년과 의료소송 판결문 분석을 통한 의료사고 원인파악과 재발방지 대책 / 이동엽

발행년 2014 

  • 조회 수 499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에 대한 설명의무와 임상윤리 / 박재훈

발행년 2013 

  • 조회 수 516

8 환자 의사 관계 치위생학생의 윤리성향과 자아존중감이 환자 의료정보보호 인지에 미치는 영향 / 김영인

발행년 2014 

  • 조회 수 516

8 환자 의사 관계 요양보호사의 환자안전행위에 관한 영향요인 / 문명자, 이선혜

발행년 2019 

  • 조회 수 517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의 자기 이해와 내러티브적 참 / 조선우

발행년 2014 

  • 조회 수 523

8 환자 의사 관계 임상적 의사결정과 생명의료윤리에 대한 환자, 가족, 간호사와 의사의 인지도 / 박애란, 소향숙, 채명정

발행년 2014 

  • 조회 수 542

8 환자 의사 관계 일개병원 수술 예정 환자의 수술동의서 용어에 대한 인지, 용어이해도와 설명만족도에 대한 조사 연구/김영경, 정인숙

발행년 2015 

  • 조회 수 549

8 환자 의사 관계 의학적 의사결정으로써 공동의사결정 실현을 위한 환자의사결정도구(PtDAs) 연구 / 이은영

발행년 2014 

  • 조회 수 561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행위에 대한 형법적 고찰 : 환자의 승낙을 중심으로 / 이홍석

발행년 2008 

  • 조회 수 573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의 모를 권리와 의사의 배려의무 / 석희태

발행년 2016 

  • 조회 수 582

8 환자 의사 관계 형법상 자기결정권에 관한 연구 / 이얼

발행년 2013 

  • 조회 수 588

8 환자 의사 관계 의과대학생의 실습할 권리와 환자의 개인 보호 / 김현주, 허정식

발행년 2013 

  • 조회 수 594

8 환자 의사 관계 간호사의 법적 책임에 관한 연구/범경철

발행년 2014 

  • 조회 수 596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 윤리에서의 환자의 권리에 관한 연구 / 송현미

발행년 2000 

  • 조회 수 600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안전 교육에서 팀 의사소통과 전문직 간 협업 / 박귀화, 박경혜

발행년 2019 

  • 조회 수 608

8 환자 의사 관계 의사의 설명의무위반과 손해배상범위에 관한 연구 / 손연우

발행년 2015 

  • 조회 수 623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분쟁 발생 현황 및 진료과목별 분쟁 특성 분석 : 2006년 한국소비자원 자료를 중심으로 / 신은하

발행년 2008 

  • 조회 수 650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의 수혈거부와 자기결정권의 한계/원형식

발행년 2016 

  • 조회 수 655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윤리에 있어서 충분한 설명 후 동의(informed consent)원칙의 진보와 향후의 과제 / 이정현

발행년 2012 

  • 조회 수 671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의 프라이버시 및 정보보호의 법적 근거 고찰 / 박지용

발행년 2012 

  • 조회 수 7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