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869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사회보장법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3225966 


우리나라 공공후견제도의 현황 및 향후 개선 과제

= Current Conditions and Future Improvement Problems of the Public Guardianship System in Korea- Focused on elderly persons with low income and dementia (living in facilities and at home alone) -


http://www.riss.kr/link?id=A103225966 


  • 저자명 : 송영신(宋永信)

  • 학술지명 : 사회보장법연구

  • 권호사항 : Vol.6 No.1 [2017]

  • 발행처 : 서울대학교 사회보장법연구회

  • 자료유형 : 학술저널

  • 수록면 : 211-242(32쪽)

  • 언어 : Korean

  • 발행년도 : 2017년

  •  주제어 : 공공후견제도 ,저소득 치매노인 ,치매관리법 ,성년후견제도 ,고령사회 ,Public guardianship system ,Elderly persons with low income and dementia,Dementia Management Act ,Adult guardianship system ,Aging society


  • 초록

2017년 우리나라는 고령사회로의 진입을 바로 목전에 두고 있다. 노인인구의 급속한 증가는 치매노인의 급증으로 이어지고, 이에 대한 국가적 차원의 치매관리를 위해 지난 2015.12. 제3차 치매관리종합계획이 수립되었다. 여기에는, 치매환자의 권리 보호 및 학대 방지 등 지원체계로서 ‘저소득·독거 치매환자 대상 공공후견제도’의 도입을 담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상자(저소득 치매노인)의 실태 분석과 함께 우리나라 공공후견제도의 현황, 즉 발달장애인 공공후견지원으로의 집중 현상 및 노정된 문제점을 검토하여 궁극적으로 저소득 치매노인을 위한 공공후견제도의 바람직한 도입과 정착을 위한 정책적 개선방안을 찾는 데 있다.노인장기요양보험 이용대상자를 전제로 약 3만 8천 명 정도로 추산되는 저소득 치매노인은, 인권보호 측면에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즉, 임의적 신체억제대 사용 및 자기방임 등 노인학대의 문제, 의료서비스의 결정 또는 장기요양서비스 이용 중 사고 발생 시 손해배상책임의 결정과 같은 의사결정과정에서 본인의 의사가 배제되는 문제, 임종기 보살핌 및 사망 시 사후 정리의 문제 등이다. 그런데, 2013.7.1. 성년후견제도가 시행된 이래 공공후견서비스는 발달장애인에만 국한하여 지원되고 있는데, 이에 대하여도 각 지방자치단체의 소극적 태도, 공공후견인 활동지원을 포함한 후방지원의 부족, 공공후견제도에 대한 사회적 환경의 미조성, 공공후견인 양성교육의 내실화 확보 등 여러 문제점이 노정되고 있다.우리나라 공공후견제도가 발달장애인을 대상으로 그 정책지원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에서, 발달장애인보다 대상자 수에서만 약 3배 이상 많은 치매노인을 대상으로 한 공공후견제도의 도입은 시급히 요구되는 바이다. 다만, 2017년 보건복지부 민간단체 지원사업으로 ‘저소득 치매독거노인의 인권보호를 위한 공공후견지원 모델 개발 및 시범사업’이 최초로 수행된다는 점은 다행스러운 일이다. 따라서 저소득 치매노인을 위한 공공 후견제도의 활성화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정책적 개선과제를 제안한다. 첫째, 공공후견지원을 위한 적극적인 행정법률의 제·개정이 필요하다. 현행 치매관리법 개정을 통해 저소득 치매노인을 대상으로 한 공공후견제도의 법적 근거와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고 공공후견 심판청구 절차구조, 후견사무 비용지원, 후견인 활동지원과 감독 등 세부사항을 시행령 등에 명문화해야 한다. 둘째, 피공공후견인의 철저한 인권보호를 위해 고도의 도덕성과 전문성을 겸비한 공공후견인 양성제도의 개선이 요구된다. 셋째, 공공후견제도에 대한 각 지방자치단체의 소극적 태도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공공후견개시 심판청구 지원절차를 간소화하여 공공후견인 추천과정을 일원화해야 한다. 끝으로, 공공후견인의 원활한 후견사무 수행을 위한 후방 활동지원 및 후견인의 권한 남용을 방지하기 위한 감독 시스템을 병행 구축하여야 한다.

  • 목차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저소득 치매노인(시설거주 및 재가독거)의 실태
• Ⅳ. 우리나라 공공후견제도의 현황
• Ⅴ. 저소득 치매노인 공공후견제도 활성화를 위한 향후 개선 과제
• Ⅵ.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549 9 보건의료 노인돌봄서비스 제공기관의 돌봄제공자 정서지원서비스 현황 및 영향요인 / 김유미 외 2018  108
548 9 보건의료 의료기관의 빅데이터 활용방안에 대한 연구 / 김성수 2014  109
547 9 보건의료 모바일 헬스케어 관련 국내외 법규 및 서비스 모델에 관한 연구/권상윤 2016  109
546 9 보건의료 공공의료기관 간호사의 리질리언스에 관한 연구 / 윤정희 2016  109
545 9 보건의료 초고령사회 고령후기 노인을 위한 생애말기 정책 지원방안 연구 / 김경래 외 2016  109
544 9 보건의료 인공지능을 이용한 의료행위와 민사책임에 관한 고찰 / 백경희 2017  109
543 9 보건의료 개인 맞춤형 의료서비스를 위한 병원시스템 모델 / 안윤애 외 2017  109
542 9 보건의료 고혈압 약제의 올바른 사용: 증례를 통한 접근 / 박성하 2018  109
541 9 보건의료 노인의료복지시설 영리 · 비영리성과 종사자의 업무환경 인식 및 소진과의 관계 / 김요섭 외 2017  109
540 9 보건의료 의료취약계층환자의 진료시 바람직한 헬스커뮤니케이션 도구 개발 / 김재윤 외 2018  109
539 9 보건의료 보험수가 결정과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대책 / 김영삼 2018  110
538 9 보건의료 한국 의료서비스 이용과 제공의 공간적 특성 / 양호민 2018  110
537 9 보건의료 의료광고가 의료기관 선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변성진 2009  110
536 9 보건의료 A.I. 아바타를 활용한 개인맞춤형 건강관리 콘텐츠디자인에 관한 연구 : PHAVATAR 앱 개발을 중심으로 / 김태원 2017  110
535 9 보건의료 생체정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에 관한 연구 / 김현철 2006  110
534 9 보건의료 우리나라 건강보험의 위험분담제도가 재정 및 환자접근성에 미친 영향/이종혁, 방준석 2018  110
533 9 보건의료 국내 바이오의약품 기업체의 연구사업 수요 조사 및 분석 / 박기대 2011  111
532 9 보건의료 국민건강보험 빅데이터 기반의 질병트렌드에 따른 지역 군집화 방법론 개발 / 이택호 2017  111
531 9 보건의료 고령사회를 위한 사물인터넷 융합 디지털 헬스케어 사용자 경험 디자인 연구 / 엄주희 2017  111
530 9 보건의료 응급실에서 간과하기 쉬운 의료사고 유형 / 이인재 2018  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