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869
발행년 : 2014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디지털융복합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022185 
국내 의료기관의 의료관련감염 관리 실태

= The status of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 Control among Healthcare Facilities in Korea

http://www.riss.kr/link?id=A100022185 

• 저자명 : 정선영 ,김옥선 ,이지영 
• 학술지명 : 디지털융복합연구(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권호사항 : Vol.12 No.5 [2014]
• 발행처 : 한국디지털정책학회
• 발행처 URL : http://www.policy.or.kr
• 자료유형 : 학술저널
• 수록면 : 353-366(14쪽)
• 언어 : Korean
• 발행년도 : 2014년
• KDC : 326.41
• 등재정보 : KCI등재
• 주제어 : 의료관련감염 ,감염관리 ,실태 ,감염관리실무자 ,위원회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 ,Infection control ,Status ,Infection control practitioner,Committee

  • 초록

본 연구는 국내 의료기관의 의료관련감염 관리 현황을 파악하고자 시행된 조사연구이다. 134개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강문원 등[8]이 개발한 설문지를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조사대상 의료기관의 평균 병상수는 556.4이었고 300병상 미만 의료기관이 26.9%를 차지하였다. 99.3%의 의료기관이 감염관리위원회를 설치하였고 평균 개최 횟수는 연 3.4회였다. 감염관리실무자가 1명 배치된 곳이 54.5%, 전담근무가 62.7%이었다. 실무자의 95.5%가 간호사로 평균 37.2세, 48.9%가 석사 이상, 평균 병원 경력은 13.5년, 감염관리실무 경력은 3.2년이었으며 30.8%가 1년 미만이었다. 감염감시는 100%, 개선활동은 75.4%의 의료기관에서 수행하였다. 감염관리실 설치 및 인력, 감염관리실무자 근무 형 태, 감염감시 결과 비교, 감염유행조사, 음압병실, 감염관리 전산프로그램과 손위생 모니터링 실시는 의료기관의 규모 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300병상 미만 중소 의료기관에서 인력, 조직, 시설이 부족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는 300병상 미만 중소 의료기관의 감염관리 조직과 인력, 실무 정착화를 위한 기초 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2 연구의 목적
2. 연구 방법
2.1 연구 설계
2.2 연구 대상
2.3 연구 도구
2.4 자료수집 방법 및 절차
2.5 자료분석 방법
3. 연구 결과
3.1 의료기관의 특성
3.2 감염관리위원회 설치 및 운영
3.3 감염관리실 설치 및 인력현황
3.4 의료관련감염 관리 활동
4. 논의
5. 결론 및 제언
ACKNOWLEDGMENTS
REFERENCES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849 9 보건의료 장애관련 자료의 정보요구에 관한 연구 / 장우권 2016  38
848 9 보건의료 보건/의료산업 융합에 따른 의료정보화 시스템 연구 / 이동우 2014  38
847 9 보건의료 의료협동조합 의원을 이용하는 환자의 ‘일차의료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이미지 2016  38
846 9 보건의료 보건의료산업관련 입법영향요인 분석: 질적비교연구방법론을 이용하여 / 한승헌 외 2018  38
845 9 보건의료 바이오 및 제약산업의 글로벌 지식네트워크 구축방안 / 김형주 2010  39
844 9 보건의료 응급환자 전원에 관한 판례의 태도 - 대법원 2005. 6. 24. 선고 2005다16713 판 / 이재열 2009  39
843 9 보건의료 국민 중심 보건의료체계 구축을 위한 통계 생산 과제 /신정우 2017  39
842 9 보건의료 의료과실판단에서의 가이드라인의 역할-일본에서의 논의를 참고하여 / 송영민 2010  40
841 9 보건의료 Applying a Global Justice Lens to Health Systems Research Ethics: An Initial Exploration 2015  42
840 9 보건의료 사람의 생명·신체·건강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물질에 대한 법적 통제/조승현 2016  42
839 9 보건의료 학계 입장에서 바라본 정부의 보건의료정책에 대한 평가/장성인 2018  42
838 9 보건의료 의료정보의 2차 이용을 위한 국내 비식별화 대상 정보에 관한 연구 / 김철중 외 2016  43
837 9 보건의료 간호 인력 확보수준 구성이 병원 내 사망률에 미치는 영향의 병원 특성별 비교 / 윤경일 2017  43
836 9 보건의료 개원가 입장에서 바라본 정부의 보건의료정책에 대한 평가/최주현 2018  44
835 9 보건의료 인공지능 - 법과 의료 - = Artificial Intelligence - Law and Medicine - / 김기영 외 2018  45
834 9 보건의료 의약품 안전정보 관리방안 / 정영철 2005  46
833 9 보건의료 Promoting Justice and Autonomy in Public Policies to Reduce the Health Consequences of Obesity 2015  47
832 9 보건의료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건강보험 혁신 방향 / 신영석 2017  47
831 9 보건의료 규제에 대한 법경제학적 고찰 : 보건의료정보 보호와 이용의 정책방향 모색 / 정종구 2015  47
830 9 보건의료 인공지능기술 융합 및 협력패턴에 관한 연구 / 배영임 외 2016  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