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869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FDC법제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3545727 

국산의약품의 해외 시장진출을 위한 인·허가제도 연구 - 인도네시아


  • 저자[authors] : 손지영,최태명,최영주,김희성,이의경,권진원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 FDC법제연구
  • 권호사항[Volume/Issue] : Vol.12No.1[2017]
  • 발행처[publisher] : 한국에프디시법제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 51-58
  • 언어[language] :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 2017
  • 주제어[descriptor] : 인도네시아, 의약품 허가, 신약, 제네릭, Indonesia, approval application, regulatory system, new drug, generic



초록[abstracts]

[개발에 천문학적 비용이 소요되는 의약품의 경우 수출을 통한 시장 확대는 매우 중요하다. 의약품 수출을 위 한 첫 관문은 해당 국가의 인허가 과정을 통과하는 것이므로, 해당 국가의 허가제도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의약품 수 출을 위한 기본전제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인도네시아 보건부 및 식품의약품청 홈페이지와 의약품 관련 법령을 바 탕으로 인도네시아의 의약품 허가제도에 대한 연구 및 고찰을 진행하여 국내 제약회사의 인도네시아 수출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인도네시아의 품목허가신청은 신약의 품목허가신청 경우 비임상, 임상시험 자료가 포함된 정식서 류(Full dossier)를 International Council on Harmonization (ICH)의 Common Technical Documents (CTD) 또는 ASEAN Common Technical Documents (ACTD) 형식으로 제출이 가능한 것에 반해 제네릭 의약품 품목허가신청은 ASEAN Common Technical Documents (ACTD) 형식만 제출할 수 있다. 품목허가의 유효기간은 5년으로 정하여 5년마다 갱 신을이 요구된다. 인도네시아 GMP 인증의 효력은 5년이며 ASEAN 10개국에서 상호인정되는 것이 특징이다. 약물 감 시 및 위해성 관리계획에 관한 제도도 갖추고 있어 이상반응 및 약물이상반응 보고가 의무화되어 있으며 의약품의 안 정성을 정기적으로 보고하는 의약품 최신 안전성 정보 정기 보고(Product Safety Update Report, PSUR)제도가 시행 되고 있다. 국내 제도와 비교하여 보면 안정성시험 조건이 Zone IVb(30 ± 2oC, 상대습도 75 ± 5%)로 국내 대비 약 5oC, 습도가 15% 높다는 점에서 주의가 요구된다. 또한, 인도네시아가 대표적인 이슬람국가인 점에 유의하여 할랄(HALAL) 법의 준수가 필요하다. 인도네시아 내의 공장 설립 시 갱신 및 허가 기간의 단축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점도 인도네시 아 진출 시 고려할 만하다. 본 연구에서는 인도네시아 허가 제도를 국내 허가제도와 비교하여 차이점을 파악함으로 써 국내 제약회사의 인도네시아 진출의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목차[Table of content]

초록   I. 서론   II. 본론    1. 인도네시아 인·허가 연구방법    2. 인도네시아 인·허가 연구 결과   

3. 기타 허가요건    4. 국내제도와의 비교    5. 전문가 자문   IV. 결론   감사의 말씀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509 9 보건의료 u-Health 환경을 위한 의료 검사 데이터 통합 전송 및 웹 서비스 구축 / 신현덕 2011  117
508 9 보건의료 사물인터넷(IoT) 헬스케어 서비스 법제도 개선 방향 / 주지홍 2017  117
507 9 보건의료 의료정보서비스 접근성 향상을 위한 개방형 서비스플랫폼 구축방안 연구 / 이현직 2016  117
506 9 보건의료 희귀의약품의 공급 중단 실태와 정책과제 / 박실비아 2015  117
505 9 보건의료 지역별 특성, 질병과 의료비에 관한 연구 2016  117
504 9 보건의료 중증 질환자의 삶의 질 개선을 위한 맞춤형 건강관리 시스템 개발 연구 / 편도현 2017  117
503 9 보건의료 상처 입을 가능성(vulnerability)과 의학에서의 주체화 / 황임경 2018  117
502 9 보건의료 의료광고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연구 / 우예순 2008  118
501 9 보건의료 외국의 사례를 통한 국내 아동 성범죄자 약물치료의 실효적 운영 방향 / 양현호 2018  118
500 9 보건의료 개인의 유전정보를 이용한 건강관리 / 김종주 2017  118
499 9 보건의료 노인 인권 보호·증진의 국제적 동향과 쟁점 / 최성재 2018  118
498 9 보건의료 임상시험 대상자 관리를 위한 모바일 웹 개발 / 고진경 2018  118
497 9 보건의료 무면허의료행위에 대한 형사법적 쟁점 - 한의사의 초음파기기 사용을 중심으로 -/장준혁 2014  119
496 9 보건의료 연구간호사의 연구중심병원사업 인지도가 연구성과에 미치는 영향 : 연구역량 및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조경미, 김양균 2015  119
495 9 보건의료 의료광고의 표현범위에 관한 연구 : 의사와 소비자의 태도조사를 중심으로 / 최선호 2004  119
494 9 보건의료 한국 바이오의약 산업과 발전방향 / 김성천 2009  119
493 9 보건의료 위암 한약제제 임상시험 가이드라인 개발을 위한 한약제제 무작위배정 대조군 임상시험 고찰 / 한가진 외 2017  119
492 9 보건의료 의약품 정의와 재분류에 대한 법적 연구 / 2012  120
491 9 보건의료 의료용 케어로봇과 환자 간의 서사와 공감 관계의 가능성 / 송선영 2017  120
490 9 보건의료 건강보험 비급여 의료행위에 대한 의료기관별 가격과 제공량의 관련요인 분석 / 박정훈 2017  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