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869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3517645 

말기 간질환 환자에서의 호스피스 완화의료


= Hospice and Palliative Care in End Stage Liver Disease


  • 저자[authors] : 김문영,Kim, Moon Young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 권호사항[Volume/Issue] : Vol.20No.3[2017]
  • 발행처[publisher] :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 167-172
  • 언어[language] :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 2017
  • 주제어[descriptor] : 말기 간경변,호스피스 의료,완화 의료,간이식


초록[abstracts]

말기 간경변은 간이식이 아니면 근본적 회복을 기대하기 어려운 질환으로, 환자와 가족의 장기간의 고통을 수반하기에 호스피스 완화의료적 접근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며 이와 관련된 논의와 법규 정비가 이루어지고 있다. 말기 간경변에 따른 여러 증상은 다양한 중증도를 갖기에 그 대상자를 선별함에 주의가 필요하고, 일반적으로 Child-Pugh 분류상 C단계의 비대상성 환자들 중 적극 치료해도 호전되지 않는 간신증후군, 간성 뇌증 및 정맥류 출혈 환자로 한정하고 있다. 간이식이라는 완치적 치료법이 있는 점도 호스피스 완화의료적 접근 전에 충분히 환자 및 가족들과 상의 되어야 한다. 이러한 의학적 상태에 대한 판단은 때론 다변적이고 경계가 모호한 경우가 많아, 장기간의 진료와 평가를 기반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말기 간경변 환자에서 호스피스 완화치료 대상자의 선별은 전문 치료와 호스피스 완화치료 사이에 균형을 이루고 최선의 치료가 될 수 있도록, 간질환 전문가를 비롯한 여러 전문가들의 상호 협의와 다학제적 접근을 통해 이루어져야 한다. 본문에서는 호스피스 완화의료적 측면에서 말기 간경변이 갖는 특징과 고려해야 할 사항에 대해서 간략히 검토해 보고자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569 9 보건의료 의약품 복용 과정과 정보 검색 경험 분석 / 김현주 외 2018  104
568 9 보건의료 우리나라의 일차의료 중심 만성질환관리 방안 / 조비룡 2018  104
567 9 보건의료 구글이 선택한 바이오 기업들 / 민세주 2018  104
566 9 보건의료 웰니스를 위한 빅데이터 분석과 의료 질 관리 / 조영복 외 2014  104
565 9 보건의료 증강현실을 이용한 응급환자 의료서비스 향상 모델 설계/정윤수 외 2017  105
564 9 보건의료 국내 희귀의약품의 현황 및 과제 : 희귀질환에 대한 의약품 공급을 중심으로 / 김희은 2008  105
563 9 보건의료 중국 노인 의료보장체계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2017  105
562 9 보건의료 일차의료를 방문한 환자에서 수면질이 제 2형 당뇨병의 발생에 미치는 영향 / 이정아 2014  105
561 9 보건의료 보건의료서비스 이용에 대한 범주 문헌고찰: 이론기반 실증연구 중심으로 / 고영곤 외 2018  105
560 9 보건의료 미국의 외래치료명령제도 및 위기대응과 국내적 시사점 / 박인환 외 2018  105
» 9 보건의료 말기 간질환 환자에서의 호스피스 완화의료 / 김문영 2017  106
558 9 보건의료 "응급진료에서의 취약한 환자"에 대한 논평: 응급진료에서의 취약한 환자의 범주와 문제점/박형욱 2015  107
557 9 보건의료 재난적의료비 지출이 노인 우울에 미치는 영향 : 빈곤화의 매개효과분석/ 이한기 2017  107
556 9 보건의료 데이터기반의학에서 의료수준의 정립과 법적 책임 / 김기영 2017  107
555 9 보건의료 의료의 패러다임 변화와 4차 산업혁명의 대응 / 선경 2018  107
554 9 보건의료 의사의 의료행위와 한의사의 한방의료행위의 범위와 한계 / 정규원 2018  107
553 9 보건의료 의료광고 규제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장해순 2007  108
552 9 보건의료 전문의약품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 : 오리지널과 제네릭 의약품 비교를 중심으로/이성경 2016  108
551 9 보건의료 의료의 질 향상을 위한 정책 방향 / 이상일 , 석승한 , 민인순 2017  108
550 9 보건의료 노인돌봄서비스 제공기관의 돌봄제공자 정서지원서비스 현황 및 영향요인 / 김유미 외 2018  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