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869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문화.미디어.엔터테인먼트 법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4893165 
의료분야에서 빅데이터의 활용과 관련된 법적 고찰 - 한국 및 중국을 중심으로 - 

= A Legal Study on Utilization of Big Data in Medical Field - Focusing on Korea and China -

  • 저자[authors] 이규호 ( Lee Gyooho ), 서새남 ( Xu Sainan )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문화.미디어.엔터테인먼트 법

  • 권호사항[Volume/Issue] Vol.11No.2[2017]

  • 발행처[publisher] 중앙대학교 문화미디어엔터테인먼트법연구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55-188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7

  • 주제어[descriptor] 의료정보, 빅데이터, 보호 및 활용, 비식별 조치, 저작권, Medical Information, Big Data, Protection and Utilization, De-identification Measures, Copyright


초록[abstracts]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핵심기술인 빅데이터는 여러 분야에서 활용 되고 있다. 특히 의료정보 빅데이터의 활용은 신약을 개발하거나 마케팅 전략을 수립 등 경제적인 私益뿐만 아니라, 의료비 절감, 의료서비스 수준 형상 및 질병 예방 등 사회적인 公益까지 창출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면서 큰 주목을 받고 있다.  그러나 의료정보 빅데이터 활용에 따라 私益이나 公益을 얻을 수 있는 동시에 개인정보 보호법상의 문제 및 저작권법상의 문제를 초래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한국 개인정보보호법은 옵트인 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며 정보주체의 동의를 얻어야 하거나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에 의료정보를 수집·이용 및 제공할 수 있어 의료정보 빅데이터 활용의 제한 요인이 될 수 있다. 의료정보에 대한 보호 및 활용의 균형을 도모하기 위하여 치료목적이나 公益적인 목적에 의해 의료정보를 활용하는 경우에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처리할 수 있는 법적 근거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한다.  나아가 개인정보침해위험을 최소화하고 의료정보를 활용하기 위해 수집된 의료정보에 대하여 비식별 조치를 실시할 수 있다. 그러나 현행 비식별 가이드라인은 법적 근거가 미약한 이유로 일반국민에 대한 대외적 구속력이 부정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따라 개인정보보호법을 개정하거나 현행 비식별 가이드라인이 행정규칙으로 정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한다.  한편, 중국 정부는 개인정보를 보호하고 個人醫療信息을 활용하고자 하는 각종 정책적 문서를 발표하였지만 아직 관련 법률이 부존재한 상태이다. 이에 따라 중국은 個人醫療信息을 별도의 규정을 두는 個人信息보호 기본법을 제정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한다. 더불어 個人醫療信息을 보호하는 동시에 個人醫療信息의 활용하기 위하여 비식별 조치와 관련 규정을 제정할 필요가 있다.  데이터가 크면 클수록 융합분석 결과정보에 대한 확률적 신뢰성이 커지게 되기 때문에, 의료정보 빅데이터 산업을 활성하기 위하여 국가측면의 의료정보 공유 플랫폼의 구축 등 방안도 도모할 필요가 있고, 관련 법제를 정비하기 위한 논의가 지속될 필요가 있다.

Big Data technology, a key technology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has been used in various fields. In particular, the use of big data including medical information has attracted a great deal of attention as it not only shows economic benefits such as the development of new drugs and marketing strategy, but also shows the possibility of creating social, public benefits such as medical cost reduction, medical service level and disease prevention.  However, there is a possibility that it can obtain personal benefits or public interest by utilizing big data including medical information, and also cause problems relating to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and Copyright Act.  The Korean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adopted the opt-in method and can collect, use and provide medical information in case where the consent of the information owner is required or there are special regulations in the law, which may be a factor limiting the use of big data including medical information. In order to strike balance between the protection and utilization of medical information, we believe tha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legal basis to handle medical information without the consent of its owner when using medical information for therapeutic purposes or for the purpose of public interest.  Furthermore, de-identification measures can be implemented on collected medical information to minimize the risk of infringement of personal information and to utilize medical information. However, the current de-identification measures are likely to deny the external binding power to the general public because of their weak legal basis.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revise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or to define the current non-identification guidelines as administrative rules.  Meanwhile, the Chinese government has issued various policy documents to protect personal information and utilize personal medical information, but the related laws have not yet existed in China. As a result, China believes it is necessary to enact the Framework Act on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de-identification measures and related regulations in order to protect personal medical information and utilize personal medical information.  The larger the data, the greater the probabilistic reliability of the information resulting from the fusion analysis. Therefore, in order to activate big data industry related to medical information, it is necessary to plan the establishment of a platform sharing national medical information. The discussion on this issue needs to be continued.]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75

9 보건의료 개인의 유전정보를 이용한 건강관리 / 김종주

발행년 2017 

  • 조회 수 118

9 보건의료 중증 질환자의 삶의 질 개선을 위한 맞춤형 건강관리 시스템 개발 연구 / 편도현

발행년 2017 

  • 조회 수 118

9 보건의료 임상시험 대상자 관리를 위한 모바일 웹 개발 / 고진경

발행년 2018 

  • 조회 수 118

9 보건의료 무면허의료행위에 대한 형사법적 쟁점 - 한의사의 초음파기기 사용을 중심으로 -/장준혁

발행년 2014 

  • 조회 수 119

9 보건의료 연구간호사의 연구중심병원사업 인지도가 연구성과에 미치는 영향 : 연구역량 및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조경미, 김양균

발행년 2015 

  • 조회 수 119

9 보건의료 의료광고의 표현범위에 관한 연구 : 의사와 소비자의 태도조사를 중심으로 / 최선호

발행년 2004 

  • 조회 수 119

9 보건의료 사물인터넷(IoT) 헬스케어 서비스 법제도 개선 방향 / 주지홍

발행년 2017 

  • 조회 수 119

9 보건의료 한국 바이오의약 산업과 발전방향 / 김성천

발행년 2009 

  • 조회 수 119

9 보건의료 의료소비자권리와 공유의사결정에 대한 연구 / 고은경

발행년 2017 

  • 조회 수 119

9 보건의료 의약품 정의와 재분류에 대한 법적 연구 /

발행년 2012 

  • 조회 수 120

9 보건의료 의료광고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연구 / 우예순

발행년 2008 

  • 조회 수 120

9 보건의료 의약품의 시판 후 조사와 리베이트 / 박수헌

발행년 2016 

  • 조회 수 120

9 보건의료 위암 한약제제 임상시험 가이드라인 개발을 위한 한약제제 무작위배정 대조군 임상시험 고찰 / 한가진 외

발행년 2017 

  • 조회 수 120

9 보건의료 의약품 광고규제에 대한 법적 고찰 -약사법을 중심으로 / 조영기, 김상태

발행년 2011 

  • 조회 수 121

9 보건의료 빅데이터 기반 실버 헬스케어 시스템 설계 / 황연희

발행년 2015 

  • 조회 수 121

9 보건의료 건강보험 비급여 의료행위에 대한 의료기관별 가격과 제공량의 관련요인 분석 / 박정훈

발행년 2017 

  • 조회 수 121

9 보건의료 한국인 고혈압 환자의 의료접근성 및 미 충족 의료실태와 위험요인 분석 / 오희영 외

발행년 2017 

  • 조회 수 121

9 보건의료 국민안전과 존엄을 위한 의료법제의 정비 / 정철

발행년 2015 

  • 조회 수 121

9 보건의료 탈북보건의료인의 국내 보건의료인 자격취득 지원방안 / 민하주 외

발행년 2017 

  • 조회 수 122

9 보건의료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에 대한 일반인의 인식 /문세연 외

발행년 2017 

  • 조회 수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