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869
발행년 : 2014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Annals of geriatric medicine and research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4556309 
노인의 임상시험 참여에 대한 현황과 향후 발전 방향 : 임상시험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분석 

= Current State and Future Improvement of the Elderly Participation in Clinical Trials

  • 저자[authors] 김선욱,정희원,박미란,정재용,이근욱,김지현,이종석,김광일,김철호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Annals of geriatric medicine and research

  • 권호사항[Volume/Issue] Vol.18No.3[2014]

  • 발행처[publisher] 대한노인병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22-135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4

  • KDC[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510


초록[abstracts] 
[연구배경: 새로운 약품이 개발될 때 그 효과나 안정성을 입증하기 위해 임상시험을 하게 되는데, 결과를 돋보이게 하거나 연구 진행을 편리하게 하기 위해 노인의 임상시험 참여를제한하는 경우가 많다. 저자들은 전문가의 견해를 통해 노인임상시험 참여 현황을 알아보고 개선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하였다.  방법: 의사, 제약 업계 종사자, 임상시험 수탁기관 종사자등 전문가 1,650여명을 상대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또한 노인 관련 임상시험 경험이 많은 일개 종합병원의내과, 신경과, 정신과 교수 250명을 상대로 오프라인 설문 조사를 함께 진행하였다.  결과: 설문조사에 응답한 246명 중 20% 이상의 문항에 무응답한 6명을 제외하고 나머지 240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전체 응답자 중 69.2%가 노인의 임상시험 참여율이 낮은 편이라고 응답하였고, 다른 직종들(64.1%)에 비해 임상의사(83.8%) 가 더 노인의 임상시험 참여율이 낮은 편이라고 생각했다(p=0.003). 상당수의 응답자들은 노인의 저조한 임상시험 참여율이 치료에 어려움을 야기할 수 있으며(86.1%), 노인들에게 불이익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78.3%) 대답하였고, 성인을대상으로 이루어진 연구 결과를 추론하여 곧바로 노인에게 적용할 수 없다는데 84.6%가 공감하였다. 전문가들은 노인 피험자 모집에 있어 ‘임상시험을 설명하거나, 동의를 받기 어려운점’ 등을 주요 애로사항으로 꼽았다. 노인의 임상시험 참여율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피험자 중 일정 비율을 노인으로할당하는 방법’과 ‘노인 피험자 모집에 경제적인 동기를 제공’, ‘노인 전담 연구 인력 충원’, 그리고 ‘임상시험 추적 관찰 시 교통편의나 유연한 일정을 제공’하는 방법 등이 거론되었다.  결론: 노인은 약물의 작용 및 대사 과정이 젊은 성인과는다르며, 동반 질환이 많고 다약제 사용이 흔하므로, 성인만을대상으로 얻어진 임상시험 결과를 그대로 적용할 수 없다. 임상적용에 있어 유용하고 타당한 연구 결과를 얻기 위해 노인의임상시험 참여는 필수적이며, 이를 위해 연구자는 노인 친화적인 연구 설계 및 진행에 힘쓸 필요가 있다. 감독 당국이나임상시험 윤리위원회는 피험자 선정 과정에서 노인을 부당하게 차별하지 않는지 살펴야 하며, 제약업계 또한 노인에 대한효능 및 부작용 검증이 신약 개발에 꼭 필요하다는 사실을 인지해야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0
549 9 보건의료 치매 진단 검사법의 비용-효과성에 대한 체계적 문헌 고찰 / 장수현 외 2018  108
548 9 보건의료 노인돌봄서비스 제공기관의 돌봄제공자 정서지원서비스 현황 및 영향요인 / 김유미 외 2018  108
547 9 보건의료 의료기관의 빅데이터 활용방안에 대한 연구 / 김성수 2014  109
546 9 보건의료 모바일 헬스케어 관련 국내외 법규 및 서비스 모델에 관한 연구/권상윤 2016  109
545 9 보건의료 공공의료기관 간호사의 리질리언스에 관한 연구 / 윤정희 2016  109
544 9 보건의료 초고령사회 고령후기 노인을 위한 생애말기 정책 지원방안 연구 / 김경래 외 2016  109
543 9 보건의료 인공지능을 이용한 의료행위와 민사책임에 관한 고찰 / 백경희 2017  109
542 9 보건의료 개인 맞춤형 의료서비스를 위한 병원시스템 모델 / 안윤애 외 2017  109
541 9 보건의료 고혈압 약제의 올바른 사용: 증례를 통한 접근 / 박성하 2018  109
540 9 보건의료 우리나라 건강보험의 위험분담제도가 재정 및 환자접근성에 미친 영향/이종혁, 방준석 2018  109
539 9 보건의료 노인의료복지시설 영리 · 비영리성과 종사자의 업무환경 인식 및 소진과의 관계 / 김요섭 외 2017  109
538 9 보건의료 의료취약계층환자의 진료시 바람직한 헬스커뮤니케이션 도구 개발 / 김재윤 외 2018  109
537 9 보건의료 보험수가 결정과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대책 / 김영삼 2018  110
536 9 보건의료 한국 의료서비스 이용과 제공의 공간적 특성 / 양호민 2018  110
535 9 보건의료 의료광고가 의료기관 선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변성진 2009  110
534 9 보건의료 고령사회를 위한 사물인터넷 융합 디지털 헬스케어 사용자 경험 디자인 연구 / 엄주희 2017  110
533 9 보건의료 생체정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에 관한 연구 / 김현철 2006  110
532 9 보건의료 응급실에서 간과하기 쉬운 의료사고 유형 / 이인재 2018  110
531 9 보건의료 국내 바이오의약품 기업체의 연구사업 수요 조사 및 분석 / 박기대 2011  111
530 9 보건의료 국민건강보험 빅데이터 기반의 질병트렌드에 따른 지역 군집화 방법론 개발 / 이택호 2017  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