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869
발행년 : 2014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FDC법제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202502 
신약개발 활성화를 위한 적응적 설계 임상시험 가이던스 개발 연구

  • 저자[authors] 최종열,김영훈,신희정,하지혜,김해든,서두원,나한성,정면우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FDC법제연구
  • 권호사항[Volume/Issue] Vol.9No.1[2014]
  • 발행처[publisher] 한국에프디시법제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7-15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4
  • 주제어[descriptor] 신약개발, 임상시험, 적응적 설계, Drug development, Clinical Trials, Adaptive Design

초록[abstracts] 
[국가 경쟁력 확보에 있어 신약개발이 중요한 분야가 됨에 따라, 국가적으로도 신약 개발 지원을 적극 확대하 고 있다. 그러나 현재 제약산업이 당면한 가장 큰 문제는 연구개발 생산성의 계속적인 저하이다. 이러한 연구개발 생 산성의 저하에는 임상시험의 낮은 성공률이 병목현상으로 작용하였다. 임상시험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제시된 방 안 중 하나가 ‘적응적 설계 임상시험(Adaptive Design Clinical Trials)’이다. 적응적 임상시험은 부족한 초기정보에 근 거하여 설계되는 임상시험에서 중간분석을 통한 정보에 근거하여 최적의 임상시험으로 변경하여 임상시험의 성공률 을 증가시킬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적응적 임상 시험 설계의 개념은 아직 초기 단계지만, 임상시험의 효율성을 높임 으로써, 신약개발의 성공확률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기 때문에, 규제기관 및 제약업계의 관심이 커지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각 국의 적응적 임상시험 관련 가이던스를 조사·분석하여 국내 적합한 고려사항을 검토하 여 제안한다. 이는 적응적 임상시험에 대한 기반마련에 이바지하여 신약개발을 촉진시키고, 국내 임상시험 수준을 국 제적인 수준과 맞추어 국가경쟁력을 확보하게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s Drug development has rise important field in the national competitiveness, national has actively expanded support to development of new drug. However, Currently facing the biggest problem in the pharmaceutical industry is the continued degradation of the R & D productivity. The degradation of these R & D productivity was acting low success rate of clinical trials as bottlenecks. One of the proposed methods is "Adaptive Design Clinical Trials" in order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clinical trials. Through the interim analysis in early clinical trials design based initial lack of information, Adaptive clinical trials has the potential to increase the success rate of clinical trials. Because of expectation increased the success rate of new drug development by more efficient clinical trial, The attention of the regulators and the pharmaceutical industry is growing, Even though The concept of an adaptive clinical trial design is still in its infancy. Therfore, in this study, we propose to appropriate domestic considerations international through review of international adaptive clinical trials-related guidances. By providing the national foundation of adaptive design clinical trials, it will be able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new drugs and gain a international level of competitiveness of domestic clinical trials.]

목차[Table of content] 
초록   I. 서론   II. 본론    1. 미국, 유럽의 관련 규정 현황    2. 적응적 설계 임상시험 고려사항    3. 독립적인 자료 모니터링 위원회(Independent Data Monitoring Committees, IDMC)    4. 기타사항    5. 의사 결정 흐름도   III.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0
509 9 보건의료 의료 정보 추출을 위한 TF-IDF 기반의 연관규칙 분석 시스템 / 박호식 2016  166
508 9 보건의료 항생제 내성의 극복: 질환별 항생제의 올바른 선택 / 이미숙 2017  166
507 9 보건의료 보건의료 빅데이터의 연계 데이터셋 추출 기법 / 박다정 2017  165
506 9 보건의료 필수의약품에 대한 접근 보장과 국영제약사의 역할: 해외 사례가 한국에 주는 시사점 / 김선 2015  165
505 9 보건의료 바이오의약품의 허가-특허 연계제도 / 박인회 2013  162
504 9 보건의료 치매의 임상적 정도와 인지기능 장애 및 행동 장애간의 상관 / 조성완, 박종한 1994  162
503 9 보건의료 국내 체외동반진단기기 허가를 위한 평가시스템 연구 / 천보경 2017  162
502 9 보건의료 무면허 의료행위의 사회상규 위배 여부 판단요소 / 도규엽 2017  162
501 9 보건의료 의료감정제도에 관한 실증적 연구 / 신강욱 2018  162
500 9 보건의료 생체데이터 분석을 위한 하둡 플랫폼의 확장 / 박광호 2014  161
499 9 보건의료 의료 산업 Bio 3D Printing 활용사례 개발에 관한 연구 / 천경원 2017  161
498 9 보건의료 보건의료 안전이슈 모니터링 및 조기경보시스템 모형개발 / 김은정 외 2014  161
497 9 보건의료 환자 상태 정보를 활용한 메르스 치사율 추정법 / 황선영 외 2016  160
496 9 보건의료 노인 건강 및 장기요양정책의 현황과 과제 2016  160
495 9 보건의료 일차의료의 개념과 가치, 그리고 한국의 현실과 과제 / 최용준 외 2013  160
494 9 보건의료 정부와 병원의 위기커뮤니케이션에 따른 언론 및 공중의 반응분석: 메르스 사태를 중심으로 / 노유진 2018  160
493 9 보건의료 일본, 의료분야 빅 데이터 활용 방안 / 우청원 2016  159
492 9 보건의료 에이즈 예방법상 감염인의 인권침해요인과 인권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양충모 외 2007  159
» 9 보건의료 신약개발 활성화를 위한 적응적 설계 임상시험 가이던스 개발 연구 / 최종열 외 2014  158
490 9 보건의료 소셜 빅데이터를 활용한 국내 치매 대응전략에 대한 연구 / 이경민 외 2018  1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