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869
발행년 : 2017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고려대학교 생명환경과학대학원: 분자진단생명공학과 분자진단생명공학전공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436270 
현재 사용되고 있는 화학적 면역억제제에 대한 고찰 

= A study on the characterization of currently used chemical immunosuppressants

  • 저자[authors] 고진곤

  • 발행사항 서울 : 고려대학교 생명환경과학대학원, 2017

  • 형태사항[Description] ix, 66, ii장 :  삽화 ; 26 cm

  • 일반주기명[Note] 지도교수: 全泰薰<br>참고문헌: 장 45-51

  • 학위논문사항[Dissertation] 학위논문(석사)-- 고려대학교 생명환경과학대학원: 분자진단생명공학과 분자진단생명공학전공 2017. 2

  • 발행국(발행지)[Country] 서울

  • 출판년[Publication Year] 2017

  • 주제어 면역억제제

  • 소장기관[Holding] 고려대학교 과학도서관 (211091)


초록[abstracts] 
현재 서울아산병원에 내원한 환자를 보면 매년 500건 이상의 장기 이식이 이루어진다고 한다. 해가 거듭될수록 장기이식 사례 건수는 증가하고 있는 추세지만 수혜자와 기증자 간의 장기가 일치하는 경우를 찾기가 쉽지 않다. 기증자의 장기가 수혜자의 몸에 적합하여 이식이 성공 하더라도 우리 몸의 면역체계는 기증자의 장기를 외부에서 침입한 이물질로 인식해 이식된 장기를 공격한다. 이처럼 면역체계는 생체의 내부환경이 외부인자인 항원에 대하여 방어함으로써 우리 몸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그래서 장기이식 환자의 경우 이식거부반응을 차단하고 이식된 장기의 생존(graft survival)을 가능한 증가시키기 위해 면역억제제(Immunosuppressive drug)를 복용한다. 이 외에도 자가 면역 질환,선택적 면역억제에서도 면역억제제가 사용된다. 면역억제제 종류에 따라 모든 항원의 억제효과가 다르게 발생하므로 환자의 상태에 적절한 약물 투여가 우선시 되어야 한다. 면역억제제 종류도 크게 화학적 면역억제제와 생물학적 면역억제제로 나눈다. 현재 주로 사용하는 화학적 면역억제제(chemical immunosuppressive drug)는 DNA 합성 및 세포분열중인 조직을 방해하고 생물학적 면역억제제(Biological immunosuppres sive drug)는 면역질환의 발생하게 되는 경로를 차단할 수 있는 각종 저해제로 사용된다. 또한 면역억제제의 작용기전에 의해 대표적으로 유전자발현조절, 알킬레이팅, 칼시뉴린 억제제, 칼시뉴린 반억제제, 새로운 퓨린 합성 저해인자, 새 로운 피리미딘 합성 저해인자로 분류되는데 최근에는 신독성 유발이 없는 칼시뉴린 반억제제로 Rapamycin(Sirolimus) 사용을 권장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환자들은 면역억제제를 장기 복용으로 인해 많은 부작용 및 합병증을 초래하는 문제점을 안고 살아간다. 이로 인해 환자들에게 면역억제제는 불가피하게 사용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따라서 현재 사용하고 있는 면역억제제의 문제점을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면역억제제 개발이 시급하다. 현재 면역관용 유도 기술을 이용한 유도형 면역억제제와 연골 및 간질 줄기세포를 이용한 치료기술이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발전돼야 하며, 아울러 수혜자의 장기 수요에 비해 기증자의 장기 공급의 부족함을 완화할 수 있는 대안으로 이종장기 이식 및 고형장기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509 9 보건의료 노인 인권 보호·증진의 국제적 동향과 쟁점 / 최성재 2018  116
508 9 보건의료 헬스커뮤니케이션 연구 동향 : 커뮤니케이션 분야와 공중보건·의약학 분야의 비교 / 이선정, 이수범 2016  117
507 9 보건의료 u-Health 환경을 위한 의료 검사 데이터 통합 전송 및 웹 서비스 구축 / 신현덕 2011  117
506 9 보건의료 사물인터넷(IoT) 헬스케어 서비스 법제도 개선 방향 / 주지홍 2017  117
505 9 보건의료 의료정보서비스 접근성 향상을 위한 개방형 서비스플랫폼 구축방안 연구 / 이현직 2016  117
504 9 보건의료 희귀의약품의 공급 중단 실태와 정책과제 / 박실비아 2015  117
503 9 보건의료 지역별 특성, 질병과 의료비에 관한 연구 2016  117
502 9 보건의료 개인의 유전정보를 이용한 건강관리 / 김종주 2017  117
501 9 보건의료 중증 질환자의 삶의 질 개선을 위한 맞춤형 건강관리 시스템 개발 연구 / 편도현 2017  117
500 9 보건의료 의료광고의 표현범위에 관한 연구 : 의사와 소비자의 태도조사를 중심으로 / 최선호 2004  118
499 9 보건의료 의료광고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연구 / 우예순 2008  118
498 9 보건의료 외국의 사례를 통한 국내 아동 성범죄자 약물치료의 실효적 운영 방향 / 양현호 2018  118
497 9 보건의료 임상시험 대상자 관리를 위한 모바일 웹 개발 / 고진경 2018  118
496 9 보건의료 위암 한약제제 임상시험 가이드라인 개발을 위한 한약제제 무작위배정 대조군 임상시험 고찰 / 한가진 외 2017  118
495 9 보건의료 무면허의료행위에 대한 형사법적 쟁점 - 한의사의 초음파기기 사용을 중심으로 -/장준혁 2014  119
494 9 보건의료 연구간호사의 연구중심병원사업 인지도가 연구성과에 미치는 영향 : 연구역량 및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조경미, 김양균 2015  119
493 9 보건의료 한국 바이오의약 산업과 발전방향 / 김성천 2009  119
492 9 보건의료 의약품 정의와 재분류에 대한 법적 연구 / 2012  120
491 9 보건의료 의료용 케어로봇과 환자 간의 서사와 공감 관계의 가능성 / 송선영 2017  120
490 9 보건의료 건강보험 비급여 의료행위에 대한 의료기관별 가격과 제공량의 관련요인 분석 / 박정훈 2017  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