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869
발행년 : 2018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국민대학교 행정대학원 : 행정학전공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708129 
만성질환자 가족 돌봄자의 부담감과 삶의 질에 관한 연구 : 국가유공자 입원환자와 가정간호환자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Feelings of Burden and the Quality of Life among Family Caregivers of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s : Focused on Inpatient National meritorious and Home Health Care Patients

  • 저자[authors] 김유미

  • 발행사항 서울 : 국민대학교 행정대학원 행정학전공, 2018

  • 형태사항[Description] viii, 131 p. : 삽화 ; 26 cm.

  • 일반주기명[Note] 지도교수 : 홍성걸<br>참고문헌 : p. 87-94

  • 학위논문사항[Dissertation] 학위논문(석사)-- 국민대학교  행정대학원 : 행정학전공 2018.2

  • DDC[DDC] 351 23

  • 발행국(발행지)[Country] 서울

  • 출판년[Publication Year] 2018

  • 소장기관[Holding] 국민대학교 성곡도서관 (211014)

  • UCI식별코드 I804:11014-200000014692


초록[abstracts] 
본 연구는 국가유공자들의 기능적․정신적 장애와 더불어 고령화로 인한 만성질환이 증가하는 상황에서 이들을 장기간 돌보는 가족 돌봄자들이 경험하는 부담감과 삶의 질 정도를 파악하고자 하는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서울시 내 소재한 중앙보훈병원에서 만성질환을 가진 국가유공자의 1개월 이상 입원환자와 가정간호환자 가족 돌봄자 중 연구에 동의한 240명이었으며, 자료 수집 기간은 2017년 9월 1일부터 9월 28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연구 도구로 부담감 측정은 서미혜, 오가실(1993)이 개발한 측정도구를 본 연구자가 국가유공자 특성에 맞게 6문항을 수정․보완하여 총25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삶의 질 측정 도구는 최신옥(2009)이 수정․보완하여 개발한 총 28문항, 가족의 일반적 및 부양 특성 17문항, 환자의 일반적 특성 11문항, 그 외 3문항으로 총 84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자료 분석 방법은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일반적 특성과 질병 관련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사용하였다. 부담감과 삶의 질 측정도구의 타당성과 신뢰도를 측정하기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 한 후, 각 요인에 대한 신뢰성 검증(Cronbach's α 계수)을 실시하였다. 부담감과 삶의 질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t-검정과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고 부담감과 삶의 질 변수들 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만성질환자 가족 돌봄자의 부담감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 돌봄자의 부담감은 5점 척도에 평균 3.44점으로 나타났으며 요인별로는 신체적 부담감(4.03)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사회적 부담감(3.72), 경제적 부담감(3.50), 긍정적 부담감(3.27), 정서적 부담감(2.65)은 비교적 낮은 편이었다.    둘째, 삶의 질은 5점 척도에 평균 2.88점으로 보통 이하였고, 영역별로는 사회적 관계 영역(3.22), 생활환경 영역(3.12)의 삶의 질은 보통 이상이었으나 영적 영역(2.95), 심리적 영역(2.85)의 삶의 질은 보통 이하였고, 신체적 건강 영역(2.25)의 삶의 질 수준은 매우 낮은 편이었다.    셋째, 입원환자와 가정간호환자 가족 돌봄자의 부담감 차이를 살펴본 결과는 입원환자 가족(3.47)이 가정간호환자 가족(3.40)에 비해 다소 높았으나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부담감 하위 요인에서는 경제적 부담감에서 입원환자와 가정간호환자 가족 돌봄자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는데(t=2.086, p<.05), 입원환자 가족(3.61)이 가정간호환자 가족(3.39)에 비해 경제적 부담감이 더욱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입원환자와 가정간호환자 가족 돌봄자의 삶의 질 차이를 살펴본 결과는 가정간호환자 가족(2.96)이 입원환자 가족(2.80)에 비해 다소 높았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t=-2.133, p<.05). 삶의 질 하위 요인에서는 생활환경 영역의 삶의 질에서 입원환자와 가정간호환자의 가족 돌봄자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데(t=-2.935, p<.01), 가정간호환자 가족(3.28)이 입원환자 가족(2.96)에 비해 생활환경 영역의 삶의 질이 더욱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가족 돌봄자의 부담감과 삶의 질 간의 상관관계는 분석결과 만성질환자 가족 돌봄자의 전체적인 부담감과 삶의 질 간에는 유의미한 부의 상관관계(r=-.605, p<.0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만성질환자 가족 돌봄자의 환자에 대한 부담감이 높을수록 삶의 질은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여섯째, 가족 돌봄자의 부담감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는 사회적 부담감(b=-.199, t=-3.727, p<.001)과 경제적 부담감(b=-.141, t=-2.762, p<.01), 긍정적 부담감(b=-.276, t=-8.504, p<.001) 요인이 가족 돌봄자의 삶의 질에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대적 영향력은 긍정적 부담감(β=-.450), 사회적 부담감(β=-.241, 경제적 부담감(β=-.189) 순으로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력이 큰 것으로 예측되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가족 돌봄자의 부담감이 높을수록 삶의 질은 저하되며 입원환자 가족이 가정간호환자 가족보다 부담감이 높고 삶의 질이 낮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국가유공자 유관기관들의 지속적인 지원 시스템 개발과 가정간호를 더욱 활성화하고 질 높은 의료서비스를 제공하여 만성질환을 가진 국가유공자들과 가족 돌봄자들의 부담감 감소와 삶의 질 제고를 위한 지속적인 관심과 연구가 필요하다 하겠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3
149 9 보건의료 의학연구데이터의 가치와 공유의 의미 / 김나원 2017  68
148 9 보건의료 헬스케어 생태계 구축을 위한 데이터 통합 방안 / 정일영 외 2018  68
147 9 보건의료 고등학생의 보건의료소비자 알 권리 인식과 실행에 관한 연구 / 김조영 2018  68
146 9 보건의료 보건의료 분야의 사이버 보안관제 서비스 참여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에 관한 연구/이성훈 2018  68
145 9 보건의료 왜, 지금 초고령사회 일본은 지역 & 재가의료에 집중하는가 / 김춘남 2018  68
144 9 보건의료 의료 빅 데이터를 활용한 서비스 제공 프레임워크 설계 / 신봉희, 전혜경 2019  68
143 9 보건의료 바이오헬스산업과 의약품 접근권 -바이오의약품 자료보호에 대한 최근 논의 / 박대웅, 이주하 2016  67
142 9 보건의료 의료광고에 대한 태도가 의료기관 이용의사에 미치는 영향 : 종합병원의 외래환자를 대상으로 / 한수연 2009  67
141 9 보건의료 모바일 헬스케어에서 의료정보의 보호에 관한 연구/이여진 외 2015  67
140 9 보건의료 환자 피해를 막기 위한 사무장병원 규제/이명민 2016  67
139 9 보건의료 건강보험의 이념과 의료정책 / 이규식 2018  67
138 9 보건의료 국민건강과 올바른 의료제도 확립을 위한 2016년 보건의료 주요 현안 2016  66
137 9 보건의료 만성질환자에서 상용치료원의 유무가 건강행태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윤완중 2014  66
136 9 보건의료 의약품의 안전정보 제공을 위한 국가의 역할 / 김재선 2013  66
135 9 보건의료 줄기세포를 활용한 비임상시험의 미래전략 / 김기석 2017  66
134 9 보건의료 개인 맞춤형 의료 연구 동향 / 이선원 외 2011  66
133 9 보건의료 의료정보 프로그램에서의 방송 허용범위에 관한 법적 고찰 / 정순형 2019  66
132 9 보건의료 보건의료의 위기와 한국 건강보험의 뉴 패러다임 선택 / 김명희 2014  65
131 9 보건의료 의료광고에 대한 과잉규제의 문제점과 그 개선방안 / 이정선 2011  65
130 9 보건의료 건강기능식품의 기능성 전달기법에 대한 소비자 인식조사 2014  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