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869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문화와 융합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328441 
질병의 사회적 구성과 의학 지식의 변화 요인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Social Construction of Disease and Factors Affecting Changes in Medical Knowledges

  • 저자[authors] 백영경(Young-Gyung PAIK)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문화와 융합
  • 권호사항[Volume/Issue] Vol.40No.2[2018]
  • 발행처[publisher] 한국문화융합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563-594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질병,병,질병의 역사,질병의 사회적 구성,질병 인식,의학 지식,고혈압,Disease,Illness,History of Disease,Social Construction of Disease,Disease Perception,Medical Knowledge,Hypertension

초록[abstracts] 
[본 논문의 목적은 질병 인식의 역사적 변화를 추적함으로써 사회적 경험 및 실천으로서 질병이 사회적으로 구성되는 방식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자연과학적인 질병관과 병에 대한 문화적이고 인문학적인 접근이라는 이분법을 넘어서 융합적 연구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질병이 객관적인 사실로서 존재하고 거기에 대한 대응으로서 치료 방식이 개발되는 것이라는 사회적 통념에 대해 문제제기 하면서, 반대로 질병에 대해 개입할 수 있는 새로운 수단이 생겨나는 과정, 다시 말해 치료의 가능성 자체가 의학적 지식과 대중에게 인식되는 질병 모두의 차원에서 질병의 이해에 대해 큰 변화를 가져왔음을 보이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 연구대상으로 삼은 질병의 사례는 고혈압인데, 의학적인 질병으로서의 고혈압은 사실상 혈압을 측정하는 방법이 정립되는 것과 그 시작을 같이 하지만 그 측정 방식에서는 한 세기가 넘는 시간 동안 큰 변화가 없었다는 점에서 질병의 사회적 구성을 살펴보는데 흥미로운 사례를 제공해 줄 수 있다. 연구의 결과는 의학적인 질병으로서의 고혈압과 현재 대중들이 이해하는 고혈압에 대한 인식, 양쪽 모두에서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가 있으며, 그 변화는 고혈압에 대한 다양한 개입 방식이 등장하고 사라지는 것과 관계가 있음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possibilities of a convergence study of disease, illness and culture, beyond the dichotomy of a natural science approach to diseases and a cultural and humanistic approach to diseases. By examining the ways in which historical changes in disease perception have taken place, this paper emphasizes the disease as social experiences and practices. To this end, this paper questions the widespread ideas that disease exists as an objective fact and that treatment is developed as a response to it, and argues that, on the contrary, new means of intervening in disease has significantly changed not just the popular perception of disease but also medical knowledges as such. For this purpose, this paper will study the case of hypertension. Hypertension as a medical illness can provide an interesting example of a socially constructed disease, since there has been no major change in the way the disease is being measured and defined over the course of a century.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hypertension as a disease practiced in medical profession and hypertension as an illness experienced by the people both have substantially changed over time and that this change is related to the emergence and disappearance of various interventions for hypertension.]

목차[Table of content] 
1. 들어가는 말: 문제제기  2. 질병의 사회적 구성: 고혈압의 사례  3. “예방가능한 만성병의 형성”: 임상시험과 통계의 역할  4. 나가는 말  참고문헌  초록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569 9 보건의료 의약품 복용 과정과 정보 검색 경험 분석 / 김현주 외 2018  104
568 9 보건의료 우리나라의 일차의료 중심 만성질환관리 방안 / 조비룡 2018  104
567 9 보건의료 구글이 선택한 바이오 기업들 / 민세주 2018  104
566 9 보건의료 웰니스를 위한 빅데이터 분석과 의료 질 관리 / 조영복 외 2014  104
565 9 보건의료 증강현실을 이용한 응급환자 의료서비스 향상 모델 설계/정윤수 외 2017  105
564 9 보건의료 국내 희귀의약품의 현황 및 과제 : 희귀질환에 대한 의약품 공급을 중심으로 / 김희은 2008  105
563 9 보건의료 중국 노인 의료보장체계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2017  105
562 9 보건의료 일차의료를 방문한 환자에서 수면질이 제 2형 당뇨병의 발생에 미치는 영향 / 이정아 2014  105
561 9 보건의료 보건의료서비스 이용에 대한 범주 문헌고찰: 이론기반 실증연구 중심으로 / 고영곤 외 2018  105
560 9 보건의료 미국의 외래치료명령제도 및 위기대응과 국내적 시사점 / 박인환 외 2018  105
559 9 보건의료 말기 간질환 환자에서의 호스피스 완화의료 / 김문영 2017  106
558 9 보건의료 "응급진료에서의 취약한 환자"에 대한 논평: 응급진료에서의 취약한 환자의 범주와 문제점/박형욱 2015  107
557 9 보건의료 재난적의료비 지출이 노인 우울에 미치는 영향 : 빈곤화의 매개효과분석/ 이한기 2017  107
556 9 보건의료 데이터기반의학에서 의료수준의 정립과 법적 책임 / 김기영 2017  107
555 9 보건의료 의료의 패러다임 변화와 4차 산업혁명의 대응 / 선경 2018  107
554 9 보건의료 의사의 의료행위와 한의사의 한방의료행위의 범위와 한계 / 정규원 2018  107
553 9 보건의료 의료광고 규제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장해순 2007  108
552 9 보건의료 전문의약품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 : 오리지널과 제네릭 의약품 비교를 중심으로/이성경 2016  108
551 9 보건의료 의료의 질 향상을 위한 정책 방향 / 이상일 , 석승한 , 민인순 2017  108
550 9 보건의료 노인돌봄서비스 제공기관의 돌봄제공자 정서지원서비스 현황 및 영향요인 / 김유미 외 2018  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