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869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경성법학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208280 


의료기관의 개설유형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Establishment Type of Medical Institution


  • 저자[authors] 이종원 ( Lee Jong Won )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경성법학

  • 권호사항[Volume/Issue] Vol.26No.-[2017]

  • 발행처[publisher] 경성대학교 법학연구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23-143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7

  • 주제어[descriptor] 의료법, 허용하는 의료기관 개설유형, 허용하지 않는 의료기관 개설유형, 비영리법인, 의료법인, Medical Law, Allowable Establishment Type of Medical Institution, non-Allowable Establishment Type of Medical Institution, non-Profit Corporation, Medical Corporation



초록[abstracts] 

[이 연구는 의료법 제33조를 근거하여 허용하는 의료기관 개설유형과 허용하지 않는 의료기관 개설유형에 대하여 연구의 목적으로 삼았으며, 이 두 가지 유형 중 허용하는 의료기관 개설유형은 의료인이나 의료법인, 사회복지법인, 비영리법인에 의하여 의료기관을 개설하는 경우이다.  그리고 허용하지 않는 의료기관 개설 유형은 허용하는 의료기관 개설유형에 의하지 않고 비의료인이 의료인을 고용하여 병원을 개설하는 사무장 병원(명의대여, 자본투자, 동업형, 인수형)이거나 의료인은 하나의 의료기관을 개설하여야 하는데 복수의료기관(네트워크형)을 개설하는 경우이다.  또한 허용하지 않는 의료기관 개설유형은 여러 사례들이 있다.  이에 대한 문제점으로는 국민건강보호라는 공익보다 영리추구를 우선하여 환자의 무리한 유치, 의료보험 급여진료보다 비급여 진료에 치중하여 진료왜곡, 수요가 적은 전문 진료과목의 미개설 또는 과소공급, 과잉진료로 인한 의료과소비, 의료설비와 시설에 대한 과대투자로 장기적인 의료자원의 수급계획의 왜곡, 의학교육과 연구 등 사회적 필요에 따른 요청의 경시, 소규모 개인 소유의 의료기관 폐업 등으로 건전한 의료질서를 어지럽히는 등 부작용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비의료인이 고령의 은퇴의사, 개원 자금이 없는 의사와 약사 등을 고용하거나, 사단법인ㆍ생활협동조합 등 비영리법인의 명의를 빌려 불법으로 의료기관을 개설ㆍ운영하는 이른바 사무장 병원의 경우 영리를 주된 목적으로 운영하여 환자유인, 과잉ㆍ불법의료행위 등으로 의료서비스의 질 저하를 초래함으로써 보이지 않는 곳에서 직접적으로 국민의 생명권 내지 건강권을 침해하고 있다.  이러한 현행 의료법을 근거로 하여 여러 가지 문제점에 대하여 해결방안이나 개선방향을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on the establishment type medical institutions by basing on article 33 in the medical law, to examine the establishment types of allowable medical institute, and to examine the establishment types of non-allowable medical institute.  And, the medical law has regulated to allowable the establishment of medical institutions by only medical personnel and a few medical corporation, social welfare corporation and to non-allowable the establishment types of medical institutions under disguised ownership as well as double opening of medical institutions by medical personnel.  The non-doctor hospital refers to a medical institution that does not open a medical institution under the Medical Law, which hires a medical person to open and operate it as a medical person.  Also, there are still many cases that non-allowable establishment types of the medical institutions under disguised ownership of other non-medical personnel and nonprofit corporation etc.]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389 9 보건의료 바이오,제약 특허의 발전과 Patent Troll (특허괴물)에 대한 대응방안 / 김태희 2014  121
388 9 보건의료 빅데이터 기반 실버 헬스케어 시스템 설계 / 황연희 2015  121
387 9 보건의료 탈북보건의료인의 국내 보건의료인 자격취득 지원방안 / 민하주 외 2017  121
386 9 보건의료 디지털 헬스케어 혁신 동향과 정책 시사점 / 이다은 외 2018  121
» 9 보건의료 의료기관의 개설유형에 관한 연구/이종원 2017  121
384 9 보건의료 4차산업혁명과 보건복지 서비스에 대한 법적 제도적 연구 - 스웨덴의 스마트핼쓰케어(eHealth) 전략 사례를 중심으로 - / 홍세영 2018  121
383 9 보건의료 보건의료법학에 있어 역사적 연구방법 / 박지용 2017  121
382 9 보건의료 의약품 정의와 재분류에 대한 법적 연구 / 2012  120
381 9 보건의료 의료용 케어로봇과 환자 간의 서사와 공감 관계의 가능성 / 송선영 2017  120
380 9 보건의료 건강보험 비급여 의료행위에 대한 의료기관별 가격과 제공량의 관련요인 분석 / 박정훈 2017  120
379 9 보건의료 한국인 고혈압 환자의 의료접근성 및 미 충족 의료실태와 위험요인 분석 / 오희영 외 2017  120
378 9 보건의료 국민안전과 존엄을 위한 의료법제의 정비 / 정철 2015  120
377 9 보건의료 무면허의료행위에 대한 형사법적 쟁점 - 한의사의 초음파기기 사용을 중심으로 -/장준혁 2014  119
376 9 보건의료 연구간호사의 연구중심병원사업 인지도가 연구성과에 미치는 영향 : 연구역량 및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조경미, 김양균 2015  119
375 9 보건의료 의료광고의 표현범위에 관한 연구 : 의사와 소비자의 태도조사를 중심으로 / 최선호 2004  119
374 9 보건의료 한국 바이오의약 산업과 발전방향 / 김성천 2009  119
373 9 보건의료 위암 한약제제 임상시험 가이드라인 개발을 위한 한약제제 무작위배정 대조군 임상시험 고찰 / 한가진 외 2017  119
372 9 보건의료 의료광고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연구 / 우예순 2008  118
371 9 보건의료 외국의 사례를 통한 국내 아동 성범죄자 약물치료의 실효적 운영 방향 / 양현호 2018  118
370 9 보건의료 임상시험 대상자 관리를 위한 모바일 웹 개발 / 고진경 2018  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