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869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比較法硏究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064488 
스웨덴의 민영화와 보건의료법의 성격

  • 저자[authors] 홍세영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比較法硏究

  • 권호사항[Volume/Issue] Vol.17No.3[2017]

  • 발행처[publisher] 동국대학교 비교법문화연구원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377-407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7

  • 주제어[descriptor] 보건의료서비스, 민영화, 광역시(County Council: CC), 스웨덴 보건의료법, 개혁, health and medical care, privatization, Swedish health and medical act, reform


초록[abstracts] 
[본 연구는 복지국가의 전형으로 불렸던 스웨덴의 의료의 민영화 분석을 통해 한국의 의료 민영화 전략을 모색하는 것이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민주주의 국가인 스웨덴에서 보건의료서비스의 전략은 무엇인가? 둘째, 스웨덴의 보건의료법의 성격은 어떠한가? 셋째, 스웨덴의 의료서비스의 효과는 무엇인가?이다. 1980년대부터 과도한 관료제로 인한 경직된 시스템, 비효율성, 오랜 대기기간 등 정부의 실패가 드러나게 되면서 민영화에 대한 논의가 시작된다. 1990년대 많은 복지국가는 시장화 전략을 통해 의료서비스 개혁을 단행하게된다. 시장화 전략은 국가마다 차이가 있지만, 그 원인은 서비스 공급과 수요의 불균형, 재정 부담, 비효율성 등은 공통적이었다. 민영화에 대한 전략으로 보건의료서비스법제정, 다그마 개혁, 아델개혁, 환자의 선택 강화 등이수행되었다. 민영화를 위한 한 방편으로 보건의료서비스 법은 서비스질을 재정의하였으며, 개인의 선택권 강화, 개인의 존중 등 자유주의 사상이 투여되었다. 또한 광역시의 책임을 강화하고 지방자치단체의 책임을 분리하여 탈중앙화, 탈집중화의 성격을 보여주었다. 이런 전략과 법적 효과로 평등한 접근성: 스웨덴 국민들의 건강을 유지하는 비결, 분산된 책임 , 탈중앙화된 의료서비스, 분산된 의료서비스, 국제적 협력, 90일 이내의 전문적 의료서비스 제공, 스웨덴 중년 기혼여성의 건강 교육 이었다., This study examines the privatization of health and medical care in Sweden, which has been called the welfare state '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strategy of health care services in Sweden? Second, what is the nature of the health care law in Sweden? Third, what is the effect of medical services in Sweden? Since the 1980s, the debate over privatization has begun as gov ernment failures such as rigid bureaucratic systems, rigid systems, inefficiency, and long waiting periods have been revealed. In the 1990s, many welfare states are implementing healthcare reform through marketization strategies. Marketization strategies vary from country to country, but the causes are the disparity in service supply and demand, financial burden, and inefficiency. Strategies for privatization have been enacted, such as the enactment of health care services legislation, reforms in agriculture, Adele reform, and strengthening patient choices. As a way to privatize, the Health and Medical Act redefined the quality of service, liberal thought including individual choice and individual respect. In addition, strengthening the responsibilities of County Council city and separating the responsibilities of local autonomous bodies, decentralization and decentralization.  ]

목차[Table of content] 
Ⅰ. 서론   Ⅱ. 스웨덴의 의료 서비스 민영화 추진 배경   Ⅲ. 스웨덴 민영화 전략과 보건의료법의 성격   Ⅳ. 결론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289 9 보건의료 의료정보시스템이 병원의 내부요인과 성과에 미치는 정종덕 문재영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우리나라의 9개 병원을 중심으로 / 정종덕, 문재영 2013  203
288 9 보건의료 도시와 시골지역에 거주하는 노인들의 응급의료서비스 이용실태 및 만족도 비교 2017  203
287 9 보건의료 보건의료 빅데이터 연계 플랫폼 / 이경희, 조완섭 2017  203
286 9 보건의료 바이오 기술을 통한 의약품 산업의 혁신 : 단클론항체 의약품을 중심으로 / 노현지 2019  203
285 9 보건의료 국민의 보건권과 안전상비의약품 표시제도 / 손성구, 권경희 2014  204
284 9 보건의료 질병재난보도에서 언론의 취재 및 보도 기준에 대한 기자들의 인식 연구 : 정부의 메르스 관련 정보제공 사례를 중심으로 / 김재영 2016  204
283 9 보건의료 임상시험실시기관의 내부점검을 통한 임상시험 품질관리에 대한 고찰 / 조인선 2013  205
282 9 보건의료 임상병리 진단검사에서 사물인터넷(IoT) 융합기술에 대한 최신지견 / 김진희 2017  206
281 9 보건의료 보건의료관련 언론의 오보사례 분석 : 언론중재위원회 중재사례를 중심으로 / 김소윤 1999  207
» 9 보건의료 스웨덴의 민영화와 보건의료법의 성격 / 홍세영 2017  207
279 9 보건의료 지속 가능한 고령사회를 위한 미래 전략: - 질병관리에서 건강관리로의 패러다임 전환 - / 어호용 2018  207
278 9 보건의료 위험사회와 관료책임 / 김병섭 외 2016  208
277 9 보건의료 의료광고의 규제에 관한 연구 : 매체별 의료광고를 중심으로 / 원선애 2003  208
276 9 보건의료 클라우드와 빅데이터를 이용한 헬스케어 서비스 플랫폼 디자인 : 사물 인터넷을 기반으로 / 이은혜 2014  208
275 9 보건의료 메르스(MERS) 감염에 대해 일반대중이 경험한 두려움과 정서적 디스트레스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이동훈 2016  208
274 9 보건의료 의료서비스 이용자의 국공립병원 선택요인에 관한 연구 / 길미령 2017  209
273 9 보건의료 우리나라 노인의 비의도적 손상에 관한 연구 / 차승현 2011  210
272 9 보건의료 사이버의료(Cybermedicine)의 정착과 활성화를 위한 방향 / 남윤삼 외 2015  210
271 9 보건의료 한국에서의 뇌사자 신장이식의 대기시간 분석; 단일기관연구 / 이수형 외 2012  211
270 9 보건의료 한·양방 의료 사이에서 신뢰의 원칙이 적용되는 경우에 관한 고찰/박철 2015  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