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869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051252 
재난적 의료비와 삶의 질 결정요인에 관한 패널분석 

= A Panel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Catastrophic Health Expenses and Quality of Life

  • 저자[authors] 김선제 ( Sun-jea Kim ), 사공진 ( Jin Sakong )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 권호사항[Volume/Issue] Vol.23No.4[2017]
  • 발행처[publisher] 한국보건경제정책학회(구 한국보건경제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22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7
  • 주제어[descriptor] 재난적 의료비, 삶의 질, 패널분석, 한국의료패널, Catastrophic Health Expenses(CHE), Quality of life, Panel study, Korea Health Panel(KHP)

초록[abstracts] 
[본 연구는 2009년부터 2013년까지의 한국의료패널자료를 활용하여 재난적 의료비 결정요인을 분석하고, 재난적 의료비가 발생하는 요인에 따라 표본을 계층별로 구분하여 계층에 따른 의료비와 삶의 질의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노인, 저소득층, 만성질환자의 경우 재난적 의료비가 발생할 확률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표본 중 노인가구, 저소득 가구 및 만성질환 가구를 추출하여 이들 계층에 대해 의료비 결정요인을 각각 분석하고 의료비를 포함하여 삶의 질의 결정요인도 분석하였다. 추정 결과, 의료비의 증가는 삶의 질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연령이 증가할수록 삶의 질은 저하하며 교육을 많이 받은 사람일수록, 경제활동을 하는 사람일수록 삶의 질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료 급여를 받거나 앓고 있는 만성질환의 개수가 많을수록 삶의 질은 저하하고 있으며 우울감, 자살충동을 가지거나 약물복용을 할수록 삶의 질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걷기운동을 하면 삶의 질이 좋아지고 흡연량이 늘어날수록 삶의 질이 저하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의료비의 증가는 가계의 재정에 영향을 줄 뿐 아니라 삶의 질을 하락시키는 결과로 이어지고 나아가 국민의료비도 증가시키는 중요한 문제이므로 사회 구성원들을 재난적 의료비로부터 보호하고 삶의 질을 향상키는 것은 보건의료정책에서 가장 우선시 되어야 할 것이다.

Catastrophic Health Expenses(CHE) is an indicator to identify the financial burden of the households for the medical spending beyond a certain level. 5 years’ Korea Health Panel data from 2009 to 2013 was used for the empirical analysis.  Panel logit estimation to find the determinants of CHE showed that the elderly, the households with low-income and rhe households who had chronical diseases, could experience CHE with high probability. We, then, analyzed the determinants of the medical expenses and the quality of life for the elderly, the households with low-income and the households who had chronical diseases, respectively.  Estimation results showed that the households with high income, with many household members, and with chronical diseases spent more medical expenses.  The medical expenses had adverse effect on the quality of life. The households with high educational background, people who involved economic activities, and the households who exercised periodically, enjoyed higher quality of life. Smoking, chronical diseases, melancholia, suicidal thought had adverse effects on the quality of life.  In conclusion, the priority of the health policy should be focused on protecting households from CHE and enhancing the quality of life of the households.]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789 9 보건의료 보건권의 헌법적 의미- 복지국가 실현을 이끄는 역동적 인권/박종현 2015  476
788 9 보건의료 의료법 위반과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대한 민법상 불법행위책임 - 대법원 2013. 6. 13. 선고 2012다91262 판결, 2015. 5. 14. 선고 2012다72384 판결을 중심으로 -/이동필 2015  473
787 9 보건의료 보건의료서비스 질 향상을 위한 간호인력 수급 현황과 과제 / 박소영 2018  472
786 9 보건의료 유령수술에 대한 미국 판례의 동향/성수연 2015  467
785 9 보건의료 한 3차 병원 중환자실에 대한 윤리자문 모델의 경험 / 문재영 2013  453
784 9 보건의료 미국 보건의료개혁의 정책 연혁 및 공공성 분석 / 여영현 외 2018  453
783 9 보건의료 공중보건 위기 상황 시 정보 정확성과 정보 적절성이 정부 신뢰와 만족에 미치는 영향 -메르스 사태를 중심으로 / 송동근 외 2016  442
782 9 보건의료 바이오의약품과 신약 개발, 누구의 먹을거리인가? / 백용욱 2016  434
781 9 보건의료 희귀·난치성질환 가족의 가족적응에 영향을 주는 요인 분석 : 가족부담감, 가족탄력성, 그리고 자조모임 활동을 중심으로 / 최인희 2015  432
780 9 보건의료 의약품 온라인 판매 규제의 새로운 접근/이원복 2015  432
779 9 보건의료 우리나라 원격진료의 시범사업과 의료법의 문제점 / 김현주 외 2015  432
778 9 보건의료 고령화 사회와 간병범죄 / 이철호 2016  432
777 9 보건의료 국내 메르스(MERS) 사태가 남긴 과제와 법률에 미친 영향에 대한 소고(小考)/윤종태 2015  426
776 9 보건의료 노인 간호와 돌봄 로봇 /은영 2018  422
775 9 보건의료 병원윤리위원회의 역할, 구성 및 운영에 관한 연구/김상득 2015  420
774 9 보건의료 의료사고의 안티 포렌식 범죄 기법의 대응에 관한 연구 / 엄민수 2018  418
773 9 보건의료 만성질환 의료이용 분석과 개선방안 - 고혈압, 당뇨병을 중심으로 - / 박은자 외 2016  414
772 9 보건의료 병원감염관리 표준지침에 대한 인지도 및 수행도 / 이수정 2017  409
771 9 보건의료 의료법 개정에 따른 의사의 설명의무책임에 대한 연구 : 의료법 제24조2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 권영직 2018  408
770 9 보건의료 원격의료 정책현황 비교 분석 연구: 미국, 일본, 한국을 중심으로/김진숙,오수현 2018  4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