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869
발행년 : 201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FDC법제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1745832 
맞춤의료를 위한 체외진단다지표검사(IVDMIA)의료기기 평가기술 개발 연구

  • 저자[authors] 최준석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FDC법제연구
  • 권호사항[Volume/Issue] Vol.10No.2[2015]
  • 발행처[publisher] 한국에프디시법제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89-195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5
  • 주제어[descriptor]  체외진단다지표검사, 허가, 심사, 가이드라인, In vitro diagnostics multivariate index assay (IVDMIA), approval, evaluation, guideline

초록[abstracts]
[Omics 기반의 시험기법과 생물정보학 기술의 급속한 발달로 인하여 유전체 및 단백질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 여 이로부터 도출된 바이오마커를 개개인의 맞춤의료에 활용되는 시대가 도래하였다. 이와 같이 바이오마커를 이용 한 진단은 맞춤의료 시대를 여는 핵심 열쇠라 할 수 있으며, 바이오의약품 연구와 의료 산업의 전략적 쟁점이 되고 있다. 최근 바이오마커를 통한 진단검사는 단순히 질병의 발병 여부를 확인하고 판단하는 것만이 아닌 질병의 진행 상태, 재발 가능성의 모니터링과 환자의 치료에 대한 반응의 예측하고 치료 효과의 판단 등 과거에는 미충족되었던 부분을 채워가고 있다. 체외진단다지표검사(In vitro Diagnostics Multivariate Index Assay; IVDMIA)는 복수의 바이오 마커 측정 시약과 측정값을 분석하는 특정 알고리즘(Algorithm)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알고리즘 분석을 통해 제시된 결과는 개인별 맞춤 진단 및 치료에 이용할 수 있는 진단법이다. 또한, 체외진단다지표검사는 복수의 바이오마커 외 에도 임상정보를 포함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할 수도 있을 뿐 아니라, 환자의 다른 상태 혹은 질병에 대한 진단을 위 해 하나의 검사에 복수의 알고리즘이 적용될 수도 있다. 해외에서는 이미 여러 종류의 체외진단다지표검사들이 사용 되고 있고 다양한 체외진단다지표검사들이 개발되고 있으나, LDT(Lab-developed test)로서 개발되고 사용되고 있는 체 외진단다지표검사들의 경우, 복잡하고 독특한 알고리즘과 다지표 데이터, 그리고 임상적 결과 사이의 상관관계에 대 한 검증이 충분하지 않아 임상적 유효성(Clinical validity)에 대한 논란이 불거질 우려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체외진 단다지표검사의 개발 동향 및 해외 각국의 허가 사항 및 가이드라인 등의 조사, 분석을 통하여 체외진단다지표검사 의 안전성과 유효성 보장을 위한 허가 및 심사에 대한 평가 기준과 합리적인 평가시스템을 마련하고자 하였으며, 체 외진단다지표검사 개발을 위한 기술 정보 제공과 기술력 제고, 관련 제품에 대한 이해의 향상을 기대한다.

Recently, omics-based test methods and bioinformatics technology has been rapidly developed, thus, the biomarkers that have been derived from analyzing the genomic and proteomic information of patients, are applied to personalized medicine. Diagnosis using biomarkers, it can be the key to open the era of personalized medicine as well as a strategic issue of medical research and biopharmaceutical industry. In addition, diagnostic tests using biomarkers could determine whether the onset of the disease, progression of disease progress, and prediction of the patient’s response to treatment, and also, are resolving medical unmet needs in the past. In vitro diagnostics multivariate index assay (IVDMIA) consists of reagents to measure multiple variables and specific algorithm to combine the values of multiple variables using an interpretation function to yield a single, patient-specific result, such as classification, score, and index. IVDMIA is intended for use in the diagnosis of disease or other conditions, or in the cure, mitigation, treatment or prevention of disease. Moreover, algorithm for IVDMIA is possible to develop including clinical data, and more than one algorithm can be applied to a test for the diagnosis of other conditions or disease. In the case of IVDMIA that is developed as a Lab-developed test (LDT), it has to be concerned about the clinical efficacy (Clinical validity) due to insufficient verification of correlation between the complex and unique algorithms, and clinical results, although it has already been used several types of IVDMIA tests, and various IVDMIA have been developed in other countries. In this study, we tried to review the developmental trends, regulations, and guidelines of IVDMIA in other countries in order to ensure the safety and efficacy of IVDMIA, and construct a reasonable evaluation system for IVDMIA. We expect this study would contribute to provision of technical information for the development of IVDMIA, and improvement of the understanding on related products.]

목차[Table of content] 초록   I. 서론   II. 본론    1. 체외진단다지표검사란?    2. 체외진단다지표검사에 대한 해외 규제 현황    3. 미국 FDA 허가 체외진단다지표검사    4. 체외진단다지표검사(IVDMIA)의 국내·외 연구 개발동향    5. 단독 바이오마커를 사용하는 제품과 달리 다지표검사에서 고려해야 할 평가항목들    6. 체외진단다지표검사와 알고리즘   III. 결론   감사의 말씀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9 보건의료 의료 분야에서의 개인정보보호 / 최계영

발행년 2016 

  • 조회 수 142

9 보건의료 생체재료로서 적용을 위한 폴리케톤의 생물학적 안전성 평가 / 이미희 외

발행년 2016 

  • 조회 수 143

9 보건의료 우리나라 영리병원 도입 시 재무적ㆍ경제적 효과 분석/김원식

발행년 2018 

  • 조회 수 143

9 보건의료 맞춤의료를 위한 체외진단다지표검사(IVDMIA)의료기기 평가기술 개발 연구 / 최준석

발행년 2015 

  • 조회 수 144

9 보건의료 의약품 거래규제에 관한 일고찰 / 이종인, 이승신

발행년 2012 

  • 조회 수 145

9 보건의료 한미 FTA 허가-특허연계제도의 바이오의약품 적용여부에 대한 고찰 / 김현철

발행년 2012 

  • 조회 수 145

9 보건의료 예외적 보건 위기와 위기 상황의 차단 - 프랑스 감염병 관리 및 위기 대응 체계를 중심으로/ 박혜미, 김대중

발행년 2017 

  • 조회 수 145

9 보건의료 바이오시밀러 임상시험에서 주평가변수가 이분형인 경우 평가방법 비교 : Risk Difference와 Risk Ratio / 길하영

발행년 2018 

  • 조회 수 145

9 보건의료 보건의료 빅데이터 활용에 관한 법·정책적 개선방안 연구 / 박미정

발행년 2018 

  • 조회 수 145

9 보건의료 보건의료정보 관리자의 데이터 분석 능력 향상을 위한 색인 검색 프로그램 활용 방안 / 최준영

발행년 2018 

  • 조회 수 145

9 보건의료 희귀 의약품의 현재 상황과 발전 방향 / 손영배

발행년 2013 

  • 조회 수 146

9 보건의료 건강보험과 의료급여 노인환자의 의료이용량 / 이용재

발행년 2017 

  • 조회 수 146

9 보건의료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IV)에 감염된 의료인의 의료행위 규제 / 박창범

발행년 2018 

  • 조회 수 146

9 보건의료 진료계약의 환자 측 당사자확정에 관한 소고 -제3자 진료요청행위의 해석을 중심으로-/박동진

발행년 2014 

  • 조회 수 147

9 보건의료 클라우드 환경에서 의료 빅데이터 활용 및 전망 / 한정수

발행년 2014 

  • 조회 수 147

9 보건의료 국내 헬스케어 빅데이터 현황과 신규 연구 방향 / 신수용

발행년 2017 

  • 조회 수 147

9 보건의료 의약품 허가특허연계제도의 도입에 따른 경쟁제한성 판단기준에 관한 연구 / 유신현

발행년 2015 

  • 조회 수 148

9 보건의료 병원 내 간호사의 조제 보조행위와 약사법 개정 방향 / 현두륜

발행년 2015 

  • 조회 수 148

9 보건의료 최근 사례를 통해 본 (시술관련) 의료관련감염 / 이재갑

발행년 2018 

  • 조회 수 148

9 보건의료 일개 응급의료센터에서 전문의에 의한 fast track 운영의 효과 / 정진희, 배현아

발행년 2008 

  • 조회 수 1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