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869
발행년 : 2019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박사)--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 보건행정학과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5064759 
공공병원과 민간병원 여성근로자의 성차별의식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Gender Discrimination Consciousness on Job Stress among Female Workers in Public and Private Hospitals


  • 저자[authors] 김은혜

  • 발행사항 익산 :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 형태사항[Description] p97 ; 26 cm

  • 일반주기명[Note] 지도교수: 김종인

  • 학위논문사항[Dissertation] 학위논문(박사)--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 보건행정학과  2019.02

  • 발행국(발행지)[Country] 전라북도

  • 출판년[Publication Year] 2019

  • 소장기관[Holding] 원광대학교 중앙도서관 (245008)


국문 초록

연구의 목적은 공공병원과 민간병원에 종사하는 여성근로자의 성차별의식과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여성근로자 직장환경의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조사대상 의료기관 공공병원, 민간병원 22개소를 선정하여 설문서는 2018년 09월 10일부터 09월 21일까지 2주간 실시하였다. 총 회수된 250부의 설문지를 연구에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2.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Varimax 회전 방법을 사용한 각 영역의 주요 구성요소 실행했다. 항목 간의 내부 적합성을 반영하여 측정 기구의 유효성 및 신뢰성을 시험하기 위해 Cronbach의 α 계수를 사용했다. 또한 일반적 특성과 병원 특성에 따른 성차별의식과 직무스트레스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t-test와 ANOVA를 실시하였다. 성차별의식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지 영향력은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차별의식과 직무스트레스의 평균치에 대한 기술통계는 일·가정 역할은 1.95점, 사회적 성역할 2.33점, 조직 성 평등성 2.72점 순으로 조사되었다. 직무스트레스는 2.56점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일반적 특성과 병원 특성에 따른 성차별의식의 비교·분석은 일반적 특성에서 종교가 사회적 성역할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 요인으로 분석되었으며, 병원 특성에 따른 성차별의식은 직책이 사회적 성역할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일반적 특성과 병원 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는 병원 특성에서 직무요구는 근무경력이, 직장문화에서는 급여, 근무경력, 인간관계 갈등에서는 급여, 근무경력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보상 부적절에서는 급여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넷째, 성차별의식과 직무스트레스와의 상관관계는 성차별의식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직무스트레스는 성차별의식이 조직의 성 평등성, 일·가정 역할, 사회적 성역할 순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다섯째, 공공병원 여성근로자의 성차별의식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력은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47.9%이었다. 민간병원 여성근로자의 성차별의식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력은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44.2%이었다. 마지막으로 공공병원과 민간병원의 여성근로자의 성차별의식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은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41.1%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기초로 성차별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된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근로자들은 사회의 부정적인 인식과 차별, 편견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많은 어려움과 갈등을 겪고 있으므로, 의료기관에서는 단계별 교육과 성 차별 없이 리더십이나 직무개발을 위한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전문교육이 필요하고, 성차별인식으로 인해 생긴 스트레스를 완화해 나아가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둘째, 공공/민간 의료기관은 여성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를 유발하는 직무 내적인 요인을 찾아내고, 이에 대한 관리방안을 모색이 필요하다. 의료기관에서 여성 인력의 채용, 승진, 훈련을 적극적으로 확대하여 생산성 향상을 도모하는 적극적 자세가 필요할 것으로 보이며, 이러한 삶을 이루기 위해 양성평등 의식의 상승, 신체적·감정적 노동 수행을 위한 대처와 경계전략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셋째, 정부는 성차별에 관한 정책적 대안들을 다양화할 필요가 있다. 성차별을 개선하기 위한 정책적 대안의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남·여 간 성역할에 대한 가치와 사회적 인식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선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여성 직장인의 임금, 고용 안정성, 근로환경, 근로시간 등의 개선을 보다 적극적으로 추진함으로써 직장 내 성 차별인식을 감소시킬 필요가 있다.


목차
제1장 서 론 1
제1절 연구의 배경 1
제2절 연구의 목적 3
제2장 이론적 배경 4
제1절 공공병원과 민간병원 4
제2절 직무스트레스 6
제3절 성차별의식 11
제3장 연구방법 19
제1절 연구분석 틀 19
제2절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20
제3절 분석방법 20
제4절 설문지 내용 및 항목 분석 21
제5절 측정문항 간 신뢰도 분석 24
제4장 연구결과 29
제1절 조사대상자의 특성 29
제2절 요인들의 평균치 32
제3절 특성별 성차별의식과 직무스트레스의 비교 32
제4절 성차별의식과 직무스트레스 요인의 상관관계 47
제5절 성차별의식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48
제5장 고 찰 55
제6장 결 론 58
제1절 연구의 요약 58
제1절 제언 60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629 9 보건의료 의료전문직의 이윤추구 동기가 의료재정정책과정에 미치는 영향 / 최희경 2010  95
628 9 보건의료 빅데이터 기반 헬스케어 관리 통합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이동희 2017  95
627 9 보건의료 건강보험 빅 데이터를 활용한 종합병원에서의 포괄수가제 적용 전·후 재원일수와 진료비의 변화 / 정수진, 최성우 2017  95
626 9 보건의료 환자안전법상 환자안전사고의 범위에 관한 고찰 / 백경희 2017  95
625 9 보건의료 진료계약의 위반에 관한 법률문제 / 정다운 2017  95
624 9 보건의료 사례 중심의 의료기기 임상시험 교재 개발 / 박남미 2018  95
623 9 보건의료 한국의료분쟁조정중재원의 자동조정절차 개시제도 도입경과 및 개선방안 / 김성은 2017  95
622 9 보건의료 생활습관병 예방관리를 위한 가이드라인 개발 현황과 의사의 역할 / 박지은 외 2018  95
621 9 보건의료 감염 예방을 위한 인공신장실 의료 환경에 대한 고찰 - 근거 기반의 디자인 중심으로 / 한수하 외 2018  95
620 9 보건의료 보장성 강화정책에 따른 15세 이하 입원 아동의 의료이용분석 / 김수연 2019  95
» 9 보건의료 공공병원과 민간병원 여성근로자의 성차별의식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김은혜 2019  95
618 9 보건의료 다중 데이터 처리 방법을 위한 의료 빅데이터 처리 시스템 설계 / 김용현 2017  96
617 9 보건의료 의료법 등의 리베이트규제와 청탁금지법(김영란법) / 김기영 2016  96
616 9 보건의료 트럼프 정부 출범에 따른 미국의 의약품 관련 정책 변화 예측 및 한국에의 시사점 / 손경복 2017  96
615 9 보건의료 보건의료분야의 인공지능과 소비자이슈 / 정영훈 2017  96
614 9 보건의료 우리나라 일차의료의 현황과 과제 / 임종한 2013  96
613 9 보건의료 비급여, 실손보험, 그리고 올바른 의료제도의 정착을 위한 의료전달체계 / 서인석 2017  96
612 9 보건의료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한 불면의 무작위임상시험 해외 연구 동향 / 백영화 외 2013  96
611 9 보건의료 순환기 약물임상시험 대상자의 서면동의서 이해도와 참여결정후회도 / 윤은화 외 2014  96
610 9 보건의료 디지털 헬스케어 규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심우현, 박정원 2018  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