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869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미래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870020 


 지속 가능한 고령사회를 위한 미래 전략: - 질병관리에서 건강관리로의 패러다임 전환 - 

= Future Health strategy For Sustainable advanced age society


  • 저자[authors] 어호용(Ho Yong Eo)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미래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 권호사항[Volume/Issue] Vol.2018No.2[2018]

  • 발행처[publisher] 미래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204-212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KDC[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331

  • 주제어[descriptor] 고령화,세포건강,세포면역,혈액순환,혈액량 유지,스트레스,세포필수영양소,당사슬,Glycan


국문 초록[abstracts] 

한국이 2017년 고령사회에 돌입하였다. 고령화될수록 필수 영양소 공급저하와 신체에서 필요한 영양소 생성 부족으로 인한 영양결핍으로 조직, 장기들이 제대로 기능을 못하게 되어 고령인 대부분이 건강한 사회활동을 못하고, 만성질병으로 고통스러운 삶을 살고 있다. 즉, 나이가 들면서 신체 세포가 노화되고 만성질병들이 증가하면서, 퇴행성 질환으로 인한 의료비가 폭증하고 있으나, 현대의학은 최첨단 장비로 검사를 하여 질병을 진단하고 약물치료, 각종시술, 수술의 방법을 시행하는 대증요법에 치중해 있어, 진정한 의미에서 건강관리가 아닌 질병관리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상태이다. 혈액순환이나 영양소의 관점은 무시되고, 제약회사나 가공식품 회사, 운동 등의 다양한 마케팅에 연계하여 질병의 원인을 규명하여 자연치유 측면에서는 환자에게 제안해 주는 바가 없다. 유전자 해독이 완료된 후 ‘포스트지놈’으로 생명과학 분야에서 주목되는 것이 Glycan(당사슬)이다. 유전자와 단백질은 증폭 가능하여 합성이 가능하지만, Glycan(당사슬)은 4개문자로 이루어진 단순한 암호인 DNA 보다 복잡한 정보를 지니고, 합성이 거의 불가능기 때문에, 연구가 어렵다. 우리 신체에 천연 필수 영양소와 필수탄수화물을 투여시 Glycan이 만들어진다. 고령이 되면 Glycan생성이 안되기 때문에 세포가 퇴화되어 모든 질병이 발생하게 된다. 지속 가능한 고령화 사회 건강 미래 전략을 위해서는 기존의 65세 정도 건강수명에 맞추어진 식생활 습관에 대한 국민과 의료의 사고 패러다임을 바꾸어야하고, 신체에서 Glycan이 지속적으로 만들어져서 지속적인 세포건강과 면역으로 경제 활동 수명을 수십 년 연장 하여야 할 것이다.


목차[Table of content]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289 9 보건의료 의료정보시스템이 병원의 내부요인과 성과에 미치는 정종덕 문재영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우리나라의 9개 병원을 중심으로 / 정종덕, 문재영 2013  203
288 9 보건의료 도시와 시골지역에 거주하는 노인들의 응급의료서비스 이용실태 및 만족도 비교 2017  203
287 9 보건의료 보건의료 빅데이터 연계 플랫폼 / 이경희, 조완섭 2017  203
286 9 보건의료 바이오 기술을 통한 의약품 산업의 혁신 : 단클론항체 의약품을 중심으로 / 노현지 2019  203
285 9 보건의료 국민의 보건권과 안전상비의약품 표시제도 / 손성구, 권경희 2014  204
284 9 보건의료 질병재난보도에서 언론의 취재 및 보도 기준에 대한 기자들의 인식 연구 : 정부의 메르스 관련 정보제공 사례를 중심으로 / 김재영 2016  204
283 9 보건의료 임상시험실시기관의 내부점검을 통한 임상시험 품질관리에 대한 고찰 / 조인선 2013  205
282 9 보건의료 임상병리 진단검사에서 사물인터넷(IoT) 융합기술에 대한 최신지견 / 김진희 2017  206
281 9 보건의료 보건의료관련 언론의 오보사례 분석 : 언론중재위원회 중재사례를 중심으로 / 김소윤 1999  207
280 9 보건의료 스웨덴의 민영화와 보건의료법의 성격 / 홍세영 2017  207
» 9 보건의료 지속 가능한 고령사회를 위한 미래 전략: - 질병관리에서 건강관리로의 패러다임 전환 - / 어호용 2018  207
278 9 보건의료 위험사회와 관료책임 / 김병섭 외 2016  208
277 9 보건의료 의료광고의 규제에 관한 연구 : 매체별 의료광고를 중심으로 / 원선애 2003  208
276 9 보건의료 클라우드와 빅데이터를 이용한 헬스케어 서비스 플랫폼 디자인 : 사물 인터넷을 기반으로 / 이은혜 2014  208
275 9 보건의료 메르스(MERS) 감염에 대해 일반대중이 경험한 두려움과 정서적 디스트레스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이동훈 2016  208
274 9 보건의료 의료서비스 이용자의 국공립병원 선택요인에 관한 연구 / 길미령 2017  209
273 9 보건의료 우리나라 노인의 비의도적 손상에 관한 연구 / 차승현 2011  210
272 9 보건의료 사이버의료(Cybermedicine)의 정착과 활성화를 위한 방향 / 남윤삼 외 2015  210
271 9 보건의료 한국에서의 뇌사자 신장이식의 대기시간 분석; 단일기관연구 / 이수형 외 2012  211
270 9 보건의료 한·양방 의료 사이에서 신뢰의 원칙이 적용되는 경우에 관한 고찰/박철 2015  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