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869
발행년 : 2019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圓光法學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6105994 


인체의 치료 및 진단 방법 특허 보호에 대한 연구 

= Study of patent protection to the methods of human treatment and diagnosis


  • 저자[authors] 심미랑,윤여강,최재식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圓光法學

  • 권호사항[Volume/Issue] Vol.35No.1[2019]

  • 발행처[publisher]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25-150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9


다국어 초록[Multilingual Abstract] 

The methods of human treatment and human diagnosis should be considered to allow a certain degree of freedom to be used in order to protect the public health and life. There are three categories for not granting patent protection to the methods of human treatment and human diagnosis, that is (1) patent ineligible due to lack of ‘industrial applicability’ (2) unpatentable inventions, and (3) limitation of patent right. In Republic of Korea, the method of human treatment and diagnosis method is not protected due to lack of ‘industrial applicability.’ However even though medical industry is a very large industry, it is logically awkward not to grant a patent because the medical industry is not an industry. Also, recently a use invention having limitation of dosage and administration has been allowed by Korea Supreme Court en banc decision, there is possibility that a medical activity of doctor may be regarded as to the infringement of the use patent. There it is needs to concretely legislate that the scope of patent protection is limited to the medical activity of medical practitioner. There is three way to limit scope of patent protection; first one is to add the medical activity of medical practitioner to the Article 96 of Korean Patent Act, second one is to not allow the right of request  injunction according to Article 126 and that the right of compensation according Article 128 of Korean patent act, making impossible to legal action , and third one is to not allow the right of request injunction of Article 126, but, allow the right of compensation of Article 128. The big difference allowing right of the three ways is that whether it is possible to receive compensation for medical activity. We are of the opinion that the addition of medical activity of medical practitioner to Article 96 of Korean Patent Act is practical way in consideration of medical customer’s monetary burden. It is expected that the controversy as to whether the scope of rights of the use invention having limits of dosage and administration method is include the medical treatment of medical practitioner is expected to disappear when it is concretely legislated that the scope of patent protection is limited to the medical activity of medical practitioner.



국문 초록[abstracts] 

인체의 치료 및 진단방법은 일반 공중의 건강과 생명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정도 자유로운 사용이 허용되어야 한다. 그러나 인체의 치료 및 진단방법은 바이오·의료 산업과 밀접한 관계가 있어 바이오·의료 산업의 혁신촉진을 위해서는 특허로 보호할 필요가 있다는 견해도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인체의 치료 및 진단방법에 대하여 각국의 특허부여에 대한 방식은 크게 3가지의 형태로 나타난다. (1)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없다고 하여 특허의 보호대상에서 제외하거나, (2) 불특허 사유로 규정하거나, (3) 특허를 허용하되 일정한 경우 특허권의 효력이 제한되도록 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인체의 치료방법 및 의사의 임상적 판단을 포함하는 진단방법을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없는 것으로 보아 특허를 부여하고 있지 않다. 그러나 현재 의료산업이 매우 큰 산업임에도 의료산업은 산업이 아니라고 하여 특허를 허여하지 않는 것은 무리한 논리이다. 그리고 최근 한국에서 실질적으로 치료방법적 성질을 가지고 있는 의약품의 투여용법 및 투여용량에 대한 용도발명의 인정으로 의사의 치료행위가 특허권의 침해로 해석될 여지도 발생되고 있다. 따라서 보다 명확하게 의사의 의료행위에 대해서는 특허권의 효력이 제한된다고 하는 명문 규정을 신설하고 인체의 치료방법 및 진단방법에 대하여는 특허를 부여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특허권의 효력을 제한하는 방식에는 특허법 제96조에 특허권의 효력 제한 사유에 포함하는 방식과, 특허법 제126조에 따른 금지청구권과 특허법 제128조에 따른 손해배상청구권을 모두 인정해 주지 않아 소추를 할 수 없도록 하는 방안, 및 금지청구는 인정하지 않고 손해배상청구권만을 인정하는 방식을 고려해 볼 수 있다. 또한 의료인의 의료기술의 실시에 대해서는 실시권이 인정될 수 있도록 관련법령에 미리 규정하는 방안을 생각해 볼 수 있다. 구별의 실익은 의사 의료행위에 대해 보상금 또는 실시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할지 여부에 있다. 일반 수요자의 금전적인 부담의 증가를 고려했을 때 특허법 제96조에 특허권의 효력 제한사유에 인체의 치료방법 및 진단방법을 포함하는 것이 현실적인 방안으로 생각된다. 의사의 의료행위에 대하여 특허권의 효력제한 사유를 추가하는 경우, 인체에 대한 치료방법 및 진단방법에 대하여 특허를 부여하는 경우 예상되는 논란 및 투여방법 및 투여용량을 한정한 용도발명의 권리범위가 의사의 의료행위에 미치는지에 대한 논란을 잠재우고 바이오·의료산업 발전을 촉진할 수 있을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849 9 보건의료 장애관련 자료의 정보요구에 관한 연구 / 장우권 2016  38
848 9 보건의료 보건/의료산업 융합에 따른 의료정보화 시스템 연구 / 이동우 2014  38
847 9 보건의료 의료협동조합 의원을 이용하는 환자의 ‘일차의료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이미지 2016  38
846 9 보건의료 보건의료산업관련 입법영향요인 분석: 질적비교연구방법론을 이용하여 / 한승헌 외 2018  38
845 9 보건의료 바이오 및 제약산업의 글로벌 지식네트워크 구축방안 / 김형주 2010  39
844 9 보건의료 응급환자 전원에 관한 판례의 태도 - 대법원 2005. 6. 24. 선고 2005다16713 판 / 이재열 2009  39
843 9 보건의료 국민 중심 보건의료체계 구축을 위한 통계 생산 과제 /신정우 2017  39
842 9 보건의료 의료과실판단에서의 가이드라인의 역할-일본에서의 논의를 참고하여 / 송영민 2010  40
841 9 보건의료 Applying a Global Justice Lens to Health Systems Research Ethics: An Initial Exploration 2015  42
840 9 보건의료 사람의 생명·신체·건강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물질에 대한 법적 통제/조승현 2016  42
839 9 보건의료 학계 입장에서 바라본 정부의 보건의료정책에 대한 평가/장성인 2018  42
838 9 보건의료 의료정보의 2차 이용을 위한 국내 비식별화 대상 정보에 관한 연구 / 김철중 외 2016  43
837 9 보건의료 간호 인력 확보수준 구성이 병원 내 사망률에 미치는 영향의 병원 특성별 비교 / 윤경일 2017  43
836 9 보건의료 개원가 입장에서 바라본 정부의 보건의료정책에 대한 평가/최주현 2018  44
835 9 보건의료 인공지능 - 법과 의료 - = Artificial Intelligence - Law and Medicine - / 김기영 외 2018  45
834 9 보건의료 의약품 안전정보 관리방안 / 정영철 2005  46
833 9 보건의료 Promoting Justice and Autonomy in Public Policies to Reduce the Health Consequences of Obesity 2015  47
832 9 보건의료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건강보험 혁신 방향 / 신영석 2017  47
831 9 보건의료 규제에 대한 법경제학적 고찰 : 보건의료정보 보호와 이용의 정책방향 모색 / 정종구 2015  47
830 9 보건의료 인공지능기술 융합 및 협력패턴에 관한 연구 / 배영임 외 2016  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