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869
발행년 : 2011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 병원경영학과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2397536 

우리나라 노인의 비의도적 손상에 관한 연구


  • 기타서명 : Unintentional injuries among older man in Korea

  • 저자 : 차승현
  • 형태사항 : v, 32장 : 삽화 ; 26 cm
  • 일반주기 :

    지도교수: 손명세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 병원경영학과 2011.2
  • 발행국 : 서울
  • 언어 : 한국어
  • 출판년 : 2011
  • 주제어 : 비의도적 손상, 손상 발생률, 노인




초록 ( Abstract )

  • 선진국의 손상의 연구는 활발하여, 연령에 대한 손상발생과 사회경제적인 요인 간에 관계를 규명하여, 해결책을 모색하고 있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국가적으로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노...
  • 선진국의 손상의 연구는 활발하여, 연령에 대한 손상발생과 사회경제적인 요인 간에 관계를 규명하여, 해결책을 모색하고 있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국가적으로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노인 손상은 바로 사망 또는 사회활동을 불가능하게 하는 부상을 야기하는 비의도적인 손상에 대하여 예방 대책을 세우는 것이 사회의 경제적 손실 및 사회문제에 해결에 도움이 될 것이다.이 연구는 손상의 위험도가 높은 우리나라 보건환경에서 65세 이상 노인의 손상발생률과 관련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연구자의 가설은 다음과 같다.가설 1. 연령이 높은 그룹일수록, 여성 노인이 남성 노인보다 비의도적인 손상발생률이 더 높을 것이다.가설 2. 소재지, 소득, 교육수준에 따른 손상발생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가설 3. 비만, 음주, 걷는 문제 등 개인건강요인에 따른 손상발생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위 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연구 자료는 2005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이며, 65세 이상 노인을 추출하였고, 남성과 여성을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독립변수는 사회경제적 요인과 개인건강관련 요인이며, 사회경제적 요인은 연령, 주거형태, 소재지, 결혼상태, 직업, 가구소득이며, 개인건강 요인은 주관적 건강상태와 걷는 문제이었고, 종속변수는 지난 1년간 손상발생 여부이었으며 손상발생률과 손상관련 요인에 대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적용하였다.성별 손상 발생률은 남성이 63/1,000명이었고, 여성은 79/1,000명이었다.남성은 연령 65~69세 그룹과 직업에서 사무직 그룹이 각각 79/1,000명으로 가장 높은 손상발생률로 조사 되었고, 개인건강관련 변수에서는 체질량지수의 비만그룹과 평소음주여부에서 1번 이상 그룹이 각각 78/1,000명으로 가장 높았다. 연령변수에서 75세 이상 그룹에 비해 70~74그룹이 2.0배 높았고 65~69세 그룹이 2.8배 높았으며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개인건강요인에 따른 손상발생은 남성 노인에서 걷는 문제가 전혀 없는 그룹에 비해 조금 있는 그룹이 1.7배로 높았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여성은 소재지, 직업, 가구소득에서 통계적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특히 소득 200만원 이상 그룹에 비해 150~199만원 그룹이 2.1배 높은 손상발생률로 분석되었다.위 결과는 중국에서 2010년 제시된 손상발생률과 비교하여 2배가 되는 것으로 우리나라 노인의 손상발생이 적지 않다는 것을 암시한다. 또한 미국이나 스웨덴에서는 노인손상과 관련하여 원인에 대한 연구와 10년 이상 국가데이터로서 손상발생을 감시하는 체계를 갖추었고, 병원이용 데이터를 활용하여 보다 더 정확한 연구를 실시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는 노인손상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비용연구로 발전하여 국가적으로 예산을 투자하여 예방이 필요하다는 세부적인 데이터를 산출하고 있었다.외국에서 노인의 손상관련 연구내용을 비롯하여 가설을 제시하였으나, 일부분야에서는 상응한 결과로 분석되었으며, 우리나라도 세계적으로 시행하고 있는 외국의 손상예방에 대한 연구와 정책적 개입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며, 또한 우리나라는 세계 어느 나라보다 빠른 고령화 시대를 맞이하였고, 이에 대한 노인 건강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시기에서 노인 손상발생과 관련하여 이 연구에서 제시된 사회경제적 요인과 여성노인에 대하여는 특별한 대비가 필요함을 제시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289 9 보건의료 의료정보시스템이 병원의 내부요인과 성과에 미치는 정종덕 문재영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우리나라의 9개 병원을 중심으로 / 정종덕, 문재영 2013  203
    288 9 보건의료 도시와 시골지역에 거주하는 노인들의 응급의료서비스 이용실태 및 만족도 비교 2017  203
    287 9 보건의료 보건의료 빅데이터 연계 플랫폼 / 이경희, 조완섭 2017  203
    286 9 보건의료 바이오 기술을 통한 의약품 산업의 혁신 : 단클론항체 의약품을 중심으로 / 노현지 2019  203
    285 9 보건의료 국민의 보건권과 안전상비의약품 표시제도 / 손성구, 권경희 2014  204
    284 9 보건의료 질병재난보도에서 언론의 취재 및 보도 기준에 대한 기자들의 인식 연구 : 정부의 메르스 관련 정보제공 사례를 중심으로 / 김재영 2016  204
    283 9 보건의료 임상시험실시기관의 내부점검을 통한 임상시험 품질관리에 대한 고찰 / 조인선 2013  205
    282 9 보건의료 임상병리 진단검사에서 사물인터넷(IoT) 융합기술에 대한 최신지견 / 김진희 2017  206
    281 9 보건의료 보건의료관련 언론의 오보사례 분석 : 언론중재위원회 중재사례를 중심으로 / 김소윤 1999  207
    280 9 보건의료 스웨덴의 민영화와 보건의료법의 성격 / 홍세영 2017  207
    279 9 보건의료 지속 가능한 고령사회를 위한 미래 전략: - 질병관리에서 건강관리로의 패러다임 전환 - / 어호용 2018  207
    278 9 보건의료 위험사회와 관료책임 / 김병섭 외 2016  208
    277 9 보건의료 의료광고의 규제에 관한 연구 : 매체별 의료광고를 중심으로 / 원선애 2003  208
    276 9 보건의료 클라우드와 빅데이터를 이용한 헬스케어 서비스 플랫폼 디자인 : 사물 인터넷을 기반으로 / 이은혜 2014  208
    275 9 보건의료 메르스(MERS) 감염에 대해 일반대중이 경험한 두려움과 정서적 디스트레스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이동훈 2016  208
    274 9 보건의료 의료서비스 이용자의 국공립병원 선택요인에 관한 연구 / 길미령 2017  209
    » 9 보건의료 우리나라 노인의 비의도적 손상에 관한 연구 / 차승현 2011  210
    272 9 보건의료 사이버의료(Cybermedicine)의 정착과 활성화를 위한 방향 / 남윤삼 외 2015  210
    271 9 보건의료 한국에서의 뇌사자 신장이식의 대기시간 분석; 단일기관연구 / 이수형 외 2012  211
    270 9 보건의료 한·양방 의료 사이에서 신뢰의 원칙이 적용되는 경우에 관한 고찰/박철 2015  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