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869
발행년 : 2016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윤리학과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3991520 

좋은 죽음에 대한 윤리적 성찰과 모색 : 니체의 '운명애'와 레비나스의 '타자의 얼굴' 개념을 중심으로



기타서명 Ethical reflection and seeking for the good death : focused on Nietzsche's 'Amor fati' and Levinas's

              'face of the other'
저자 임지연
형태사항 iv, 69 p.; 26 cm.
일반주기 성신여자대학교
              지도교수:이경희
              권말에 참고문헌 및 영문초록 수록
              서지적 각주 수록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윤리학과 2016. 2
발행국 서울
언어 한국어
출판년 2016
소장기관 성신여자대학교 도서관


 
초록
현대인들은 수명이 길어진 만큼 좋은 삶을 살기위해 많은 시간과 노력을 투자한다. 그러나 죽음은 일상에서 분리되어 회피의 대상이 되었다. 죽음의 형태가 질병사, 사고사, 자살, 타살 중 어떤 것이든, 평온한 죽음이 될 수 없기 때문이다. 한 사회가 죽음을 어떻게 정의하느냐 하는 문제는 그 사회 구성원 모두에게 큰 영향을 미친다. 본 논문은 좋은 죽음 개념에 대한 윤리학적 성찰을 통해 죽음과 삶은 동떨어진 별개의 것이 아니라, 자신의 삶을 새롭게 인식하게 해주는 계기로서 좋은 죽음의 의미에 대해 재구성을 시도하려고 한다. 나의 삶과 죽음의 가치를 회복하고 나아가 타인에 대한 고려까지 확장시킨다면 죽음회피 현상과 참혹하게 마주하게 되는 죽음의 장면을 개선할 수 있을 것이라는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현대사회에 팽배한 죽음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긍정적으로 전환하고 삶의 가치를 찾아가려는 지점을 니체(Friedrich Nietzsche)의 ‘운명애’ 개념에서, 타인에 대한 윤리적 고려를 레비나스(Emmanuel L?vinas)의 ‘타자의 얼굴’ 개념에서 살펴본다. 니체에 따르면, 세계는 영원히 똑같이 반복되며 여기서 생기는 허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자신이 사랑할 수 있는 운명을 창조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인간은 위버멘쉬(?bermensch)가 되어야 한다. 한편, 레비나스는 타인의 존재를 ‘얼굴’로 표현하였다. ‘타인의 얼굴’을 통해 인간이 윤리적으로 행동하도록 호소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 처음으로 이 두 개념을 통합하여 생의 차원에서 좋은 죽음으로서의 ‘윤리적 죽음’의 의미를 도출하려고 시도한다. 결국 좋은 죽음이란 개인의 실존적 의미를 통해 자아실현하고 삶의 방식을 성찰하며, 타인에 대한 윤리적 고려를 포함하는 ‘윤리적 죽음’이다.
좋은 죽음은 곧 좋은 삶을 살았다는 결실이다. 따라서 좋은 죽음의 개념을 생의 차원에서 정립하고 ‘윤리적 죽음’으로 의미부여하는 것은 나의 삶에서 가치를 창조하고, 타인의 삶까지 고려하도록 만들고 나아가 인간성을 회복할 수 있게 해준다.

 
목차
논문개요
Ⅰ. 서론

Ⅱ. 좋은 죽음의 개념 정립을 위한 개관
1. 죽음에 대한 인식과 태도
2. 죽음의 의미와 특성

Ⅲ. ‘운명애’ 와 ‘타자의 얼굴’ 개념으로 본 죽음에 대한 이해
1. 니체의 ‘운명애’
1) 동일한 것에 대한 영원회귀
2) 자유로운 죽음
2. 레비나스의 ‘타자의 얼굴’
1) 자아와 타자의 관계
2) 타자에로의 열망

Ⅳ. 좋은 죽음으로서 ‘윤리적 죽음’
1. 손을 잡은 연대적 동료
2. 인간성 회복 과정으로서 죽음

Ⅴ. 결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129 9 보건의료 2018년 꼭 알아야 할 병의원 관련 개정세법 / 신진혜 2018  64
128 9 보건의료 중동호흡기증후군 대응 참여자의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전진아 외 2018  64
127 9 보건의료 의료정보정책 및 디지털헬스의 국제동향, 18.02.19~20, 호주 캔버라 - / 최솔지 외 2018  64
126 9 보건의료 의약품 관리정책과 소비자권익 확보방안 - 주사제 관리체계의 개선 - / 문상혁 2018  64
125 9 보건의료 의료행위의 정당화와 면책가능성 / 임상규 2019  64
124 9 보건의료 Evaluating the Legitimacy of Contemporary Legal Strategies for Obesity 2015  63
123 9 보건의료 바이오메디컬 데이터를 활용한 치매에 대한 총체적 이해 / 신현정 2016  63
122 9 보건의료 입원환자의 위급 상황 시 위치추적이 가능한 웨어러블 헬스케어 디바이스 디자인 개발 방향에 관한 연구 / 나한범, 장영주 2015  63
121 9 보건의료 고령사회에 대응한 보건의료체계 개편의 시급성 / 박은철 2018  63
120 9 보건의료 지능형 헬스케어 플랫폼 산업 및 국제 표준화 동향 / 김양중 2017  63
119 9 보건의료 공공보건의료체계 발전 방안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 분석 / 김유호 2018  63
118 9 보건의료 유방암 생존자의 정서 접근적 대처, 정서 억제, 내면의 힘에 따른 외상 후 성장 / 김미영 2019  63
117 9 보건의료 Applying a Global Justice Lens to Health Systems Research Ethics: An Initial Exploration 2015  62
116 9 보건의료 IoT 기반의 모바일 헬스케어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 저장 및 보호 모델/정윤수 2017  62
115 9 보건의료 중소병원 및 일차의료기관의 환자안전 현황과 정책 과제 / 서제희 2016  62
114 9 보건의료 정책이념과 정책수단 선택에 관한 연구: 보건의료정책입법안을 중심으로 / 김권식 2014  61
113 9 보건의료 일차의료 강화를 통한 효과적 만성질환 관리 방안 / 신호성 2012  61
112 9 보건의료 의료법학의 발전과 과제 / 김기영 2018  61
111 9 보건의료 의료분야에 있어 빅데이터의 활용 동향과 법적 제문제 - 일본의 논의를 참고로 / 김진영 2016  60
110 9 보건의료 장애아동과 비장애아동의 의료이용 및 질병특성 비교 / 김유진 2017  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