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869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정책과학학회보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1991806 

의료서비스 규제개혁을 위한 핵심 덩어리 규제의 식별
= Network Analysis for Identifying Core Regulations in Medical Service : A Preliminary Study


제어번호 101991806
저자명 김성준(SongJune Kim)  ,하선권(SunGwon Ha)
학술지명 한국정책과학학회보
권호사항 Vol.20 No.2 [2016] 
발행처 한국정책과학학회 
발행처URL http://www.kaps21.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45-68(24쪽)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6년
등재정보 KCI등재
판매처 (주)누리미디어

 
초록
이 논문은 2016년 3월 현재 규제정보포털에 등록된 411건의 의료서비스 관련 규제를 대상으로 네트워크분석을 활용하여 의료서비스 분야의 덩어리 규제와 핵심(core)규제를 식별하고, 이를 바탕으로 개혁의 우선순위를 제시하기 위한 시론적 연구이다. 연결중심성이 높은 규제는 덩어리 규제 내에서도 직접적인 연결 관계가 많아 다른 규제들에 미치는 영향력이 큰 규제이고, 매개중심성이 높은 규제는 두 개의 다른 규제가 관계를 맺기 위해 거쳐야 하는 빈도가 높은 규제로서 덩어리 규제를 분리하기에 용이하다. 분석결과, 연결중심성과 매개중심성이 높은 상위 다섯 개 규제 가운데 세 개가 서로 일치하였는데, 이 규제들은 의료서비스 제공자의 자격기준을 명시한 직업면허 규제인 것으로 나타났다. 상위 다섯 개 규제들 가운데 연결중심성만 높은 두 개의 규제는 의료기관 시설 기준을 규정한 투입요소기준규제이며, 매개중심성만 높은 두 개의 규제는 규제대상이 준수해야 할 행정절차를 규정한 행정적 규제이다. 의료서비스 분야의 규제는 몇 개의 규제를 중심으로 덩어리 규제가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의료서비스가 국민의 생명과 건강, 공공성과 관련이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직업면허를 통한 의료관광 활성화와 선
 진의료기술의 도입을 저해하는 ‘의료법 27조’, 투입요소기준규제로 인해 규제대상의 자유로운 의료기관 경영을 제약하는 ‘노인복지법 22조’, 복잡한 행정적 규제로 의료기관 개설 시 규제대상의 부담을 가중시키는 ‘의료법 시행규칙 27조’를 규제개혁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논의
Ⅲ. 의료서비스 규제
Ⅳ. 규제 네트워크분석
Ⅴ. 정책적 함의


주제어
의료서비스 규제  ,규제개혁  ,덩어리 규제  ,네트워크분석  ,Medical Service Regulation  ,Regulatory Reform  ,Bundled Regulation  ,Network Analysis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449 9 보건의료 건강보험과 의료급여 노인환자의 의료이용량 / 이용재 2017  145
448 9 보건의료 예외적 보건 위기와 위기 상황의 차단 - 프랑스 감염병 관리 및 위기 대응 체계를 중심으로/ 박혜미, 김대중 2017  145
447 9 보건의료 바이오시밀러 임상시험에서 주평가변수가 이분형인 경우 평가방법 비교 : Risk Difference와 Risk Ratio / 길하영 2018  145
446 9 보건의료 보건의료 빅데이터 활용에 관한 법·정책적 개선방안 연구 / 박미정 2018  145
445 9 보건의료 보건의료정보 관리자의 데이터 분석 능력 향상을 위한 색인 검색 프로그램 활용 방안 / 최준영 2018  145
444 9 보건의료 맞춤의료를 위한 체외진단다지표검사(IVDMIA)의료기기 평가기술 개발 연구 / 최준석 2015  144
443 9 보건의료 우리나라 영리병원 도입 시 재무적ㆍ경제적 효과 분석/김원식 2018  143
442 9 보건의료 체외진단용 제품의 의료기기 허가 관리에 대한 고찰 / 이원규 2015  142
441 9 보건의료 의료 빅데이터를 위한 생체 신호 저장소 구축에 관한 연구 / 이석훈 2016  142
440 9 보건의료 의료 분야에서의 개인정보보호 / 최계영 2016  142
439 9 보건의료 생체재료로서 적용을 위한 폴리케톤의 생물학적 안전성 평가 / 이미희 외 2016  142
438 9 보건의료 의학 기사를 중심으로 한 국내 뉴스 Linked Open Data 구축 / 장종선 2016  141
437 9 보건의료 환자중심의 가치실현을 위한 전략요인과 과정에 관한 실증적 연구 - 팀제 도입을 중심으로 / 유붕식, 유병남 2007  140
436 9 보건의료 감정노동과 직무소진과의 관계에서 조직지원인식과 자기위로능력의 매개효과 / 허수진 2017  140
» 9 보건의료 의료서비스 규제개혁을 위한 핵심 덩어리 규제의 식별 / 김성준 외 2016  139
434 9 보건의료 병원경영진단 사례연구-문제점과 개선안을 중심으로 / 정기선 1995  139
433 9 보건의료 디지털 헬스 케어산업 성장과 글로벌 보건 및 인력개발 / 최병목 2015  139
432 9 보건의료 주요국의 만성질환 관리를 위한 예방의료서비스 현황 조사 / 김계현 2017  139
431 9 보건의료 노인장기요양보험의 보험수리 모형에 관한 연구 / 김정아 2011  138
430 9 보건의료 현행 혈액관리법령의 쟁점 / 전현희 2003  1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