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869
발행년 : 201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法과 政策(Law & Policy Review)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425780 
환자와 의사간 원격의료제도 도입에 대한 비판적 고찰 -노인복지법을 중심으로-
= The Critical Study on the Physician-patient Telemedicine in Legal Systemic Aspect -Focused on the Welfare of The Aged Act-

                       

  • 저자명

    최현숙 ( Hyun Sook Choi ), 박규용 ( Kyu Yong Park )                                                            

  • 학술지명

    法과 政策(Law & Policy Review)               

  • 권호사항

    Vol.21 No.1 [2015]                       

  • 발행처

    제주대학교 법과정책연구소(Institute of Law & Policy Cheju National University)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297-324(28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5년                                                                                                                                        

  • 초록 (Abstract)
    • 원격의료 중에서도 환자와 의료인간의 원격의료의 도입에 대해서 찬반양론이 팽팽하게 맞서고 있는 가운데 양측에서 공통적으로 그 유효성을 인정하고 있는 부분이 오ㆍ벽지에 있는 자의 ...
  • 원격의료 중에서도 환자와 의료인간의 원격의료의 도입에 대해서 찬반양론이 팽팽하게 맞서고 있는 가운데 양측에서 공통적으로 그 유효성을 인정하고 있는 부분이 오ㆍ벽지에 있는 자의 의료권을 보장하기 위한 경우와 노령으로 인하여 만성질환을 앓고 있는 자들이 반복처방을 하게 되는 경우에는 원격의료의 실효성을 인정하고 있다. 하지만 진료를 받는 다는 것은 처방을 받아 약국에 내방하여 의약품을 받는 과정까지도 연계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문제를 포괄적으로 하여 원점에서 다시 한 번 고려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원격의료의 도입에 대해서 노인의 복지와 관련한 시대적 변화를 반영하여 논의할 필요가 있다. 과거 절대적 생존권 보장이 목적이었던 시대는 이미 지났고 현재는 국민의 개개인에게 적합한 높은 수준의 보편적 복지를 추구하고 있는 시점에서 원격진료를 단순한 생존의 문제에서 뿐만 아니라 변화된 시대를 반영하는 보건복지의 측면에서도 검토가 되어야 한다. 즉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를 충분히 보장받을 수 있도록 하는 측면에서 원격의료의 도입에 대해서 논의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원격의료는 이미 시대적 조류를 거스를 수 없을 정도로 세계적 움직임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고 우리나라에서도 원격의료를 활성화하기 위한 기술측면이 어느 정도의 수준에 이르렀으므로, 원격의료를 도입은 이제 더 이상 막을 수는 없다. 다만 그 근거가 오ㆍ벽지의 환자나 고령의 노인들을 위한 것이라는 점은 노인의 특성이나 노인복지의 이념 그리고 관련된 법적 문제들로 인하여 그 주된 근거로 제시하기에 적합하지 않으므로 원격의료를 도입하여 시행하게 되었을 때 실질적으로 이 제도를 많이 활용하게 될 것으로 예상되는 청ㆍ장년층을 중심으로 원격의료제도의 시행으로 인한 문제점을 찾아내고 그 해결방안을 논의하여야 할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589 9 보건의료 지속 가능한 고령사회를 위한 미래 전략: - 질병관리에서 건강관리로의 패러다임 전환 - / 어호용 2018  207
588 9 보건의료 임상병리 진단검사에서 사물인터넷(IoT) 융합기술에 대한 최신지견 / 김진희 2017  206
587 9 보건의료 임상시험실시기관의 내부점검을 통한 임상시험 품질관리에 대한 고찰 / 조인선 2013  205
586 9 보건의료 국민의 보건권과 안전상비의약품 표시제도 / 손성구, 권경희 2014  204
585 9 보건의료 질병재난보도에서 언론의 취재 및 보도 기준에 대한 기자들의 인식 연구 : 정부의 메르스 관련 정보제공 사례를 중심으로 / 김재영 2016  204
584 9 보건의료 응급의료의 법과 윤리 / 이석배, 배현아, 정중식, 김미란, 김지희 2009  203
583 9 보건의료 한의사의 의료기기 사용에 대한 판례의 입장 고찰 -의료법상 '면허된 의료행위' 해당 여부의 판단-/곽숙영 2014  203
582 9 보건의료 의료정보시스템이 병원의 내부요인과 성과에 미치는 정종덕 문재영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우리나라의 9개 병원을 중심으로 / 정종덕, 문재영 2013  203
581 9 보건의료 도시와 시골지역에 거주하는 노인들의 응급의료서비스 이용실태 및 만족도 비교 2017  203
580 9 보건의료 보건의료 빅데이터 연계 플랫폼 / 이경희, 조완섭 2017  203
579 9 보건의료 바이오 기술을 통한 의약품 산업의 혁신 : 단클론항체 의약품을 중심으로 / 노현지 2019  203
578 9 보건의료 형사상 의료과실 및 인과관계 인정과 관련된 대법원 판례분석/박영호 2014  202
577 9 보건의료 원격의료의 정착과 활성화를 위한 법적 정비 / 전유라 2017  202
576 9 보건의료 의료관련 일본어 용어에 관한 연구 :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 김정수 2016  201
575 9 보건의료 바이오시밀러 개발에 필요한 통계방법들에 대한 고찰 / 강승호 2012  200
574 9 보건의료 신약 접근성 개선 정책이 등재율 및 등재소요시간에 미치는 영향/김은숙 2017  200
573 9 보건의료 만성질환자의 일차의료 치료지속성이 응급실 방문에 미치는 영향 2017  200
572 9 보건의료 한국형 체외진단제품 품목 및 등급분류 체계 제안 / 임영애 2012  199
571 9 보건의료 고령화 사회를 대비한 보건의료정책 평가 / 백은혜 2017  199
570 9 보건의료 의료관광 서비스접점별 품질평가, 만족도 및 행동의도 관계 연구 / 김혜영 2018  1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