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869
발행년 : 2011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국가위기관리연구(Korean Journal of National Crisis and Emergency Management)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60159356 

한국의 응급의료서비스 행정체계에 관한 연구 :  재난응급의료체계의 현황을 중심으로

= The Reform of the Emergency Medical System Based on Disaster Occurrence in Korea

                                  

  • 저자명

    김유호                                             

  • 학술지명

    국가위기관리연구(Korean Journal of National Crisis and Emergency Management)                           

  • 권호사항

    Vol.5 No.2 [2011]                                                         

  • 발행처

    충북대학교 국가위기관리연구소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105-125(21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1년

  • 초록 (Abstract)
    • 재난 상황에서의 응급의료체계에 관한 논의는 거의 전무한 상황에 잇다. 이에 본 연구는 그간의 응급의료체계의 발전과정을 분석하여 응급의료체계의 발전방향을 제 시하는 한편, 응급의료...
    • 재난 상황에서의 응급의료체계에 관한 논의는 거의 전무한 상황에 잇다. 이에 본 연구는 그간의 응급의료체계의 발전과정을 분석하여 응급의료체계의 발전방향을 제 시하는 한편, 응급의료분야에 있어서 특별한 고려가 없었던 재난응급의료체계의 정비 가 이루어져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자하였다. 현재 재난응급의료체계는 병원 전 단계, 병원단계, 통신체계에 있어 여러 가지 취약점을 나타내고 있었다. 특히, 병원 전 단계 에 있어서는 현장응급의료센터를 중심으로 유관기관 간의 공조체계 및 현장조치, 이송 중 처치에 있어서 전문인력 및 재난 지역 및 재난 외 지역 병원들과의 협력체계의 구비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응급구조사는 119구급대원 등 병원 전 단계에 참여하는 전문인력의 업무범위와 전문성 제고의 필요성을 제시할 수 있다. 또한, 병원 단계에서는 재난 지역 내에 위치하는 병원들의 재난 시 대량 응급환자에 대한 적절 한 진료서비스 제공 능력, 병원간 정보공유 등에 대한 협력체계 정비가 필요한 것으 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통신체계에 있어서는 현장정보-응급환자정보-병원간 전산 정 보의 교류 및 통신체계 정비를 통한 응급환자의 중증도 분류 및 환자 유형에 따른 적절한 병원 후송 등에 대한 정비가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I. 서론
    • II. 응급의료체계와 재난응급의료체계에 관한 이론적 논의
    • 1. 응급의료체계의 정의
    • 2. 응급의료체계의 구성과 특성
    • 3. 재난응급의료체계의 구성과 특성
    • 4. 선행연구
    • III. 재난응급의료체계의 발전과 실태
    • 1. 응급의료체계의 발전과정
    • 2. 재난 사례를 통한 재난응급의료체계의 운영 실태: 대구지하철 화재참사를 중심으로
    • IV. 결론
    • 참고문헌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129 9 보건의료 국민건강보험의 노인의료비 지출추계 및 장기재정 전망 / 이수연 외 2018  341
    128 9 보건의료 개인정보보호법상 의료정보 적용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2016  344
    127 9 보건의료 의료 관련 감염의 예방과 치료 / 우준희, 장미수 2016  344
    126 9 보건의료 빅 데이터 기반 질병 키워드 추천 시스템 / 강희범 2017  346
    125 9 보건의료 건강보험 수가정책 현황과 발전방안 연구 / 백현영 2014  350
    124 9 보건의료 의약품부작용보고시스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졸피뎀 약물 유해반응 실마리 정보 검출 / 한준우 외 2018  350
    123 9 보건의료 노인장기요양보험이 노인의료비에 미치는 효과와 노인의료비 결정요인에 관한 분석 2017  352
    » 9 보건의료 한국의 응급의료서비스 행정체계에 관한 연구 : 재난응급의료체계의 현황을 중심으로 / 김유호 2011  353
    121 9 보건의료 현대의학의 '개별 맞춤 의학'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임영채 2012  355
    120 9 보건의료 보건의료 정책 / 전진한 2017  360
    119 9 보건의료 메르스 사태로 본 국가재난대응체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중대본·중수본 운영체계를 중심으로 / 배재현 2016  365
    118 9 보건의료 한국 치매 작업치료 가이드라인 개발 / 한대성 외 2018  366
    117 9 보건의료 세균, 바이러스 및 곰팡이에 대한 병원체 관련 수의학 용어의 우리말 표준화 / 류재면 외 2014  368
    116 9 보건의료 한국의 예술치료와 호스피스 완화의료 / 김창곤 2015  369
    115 9 보건의료 메르스관련 정부 위험소통의 한계에 대한 사회적 원인 분석 / 김은성 2015  372
    114 9 보건의료 의약품 사용에서의 성별차이에 대한 고찰 / 허정선 2009  376
    113 9 보건의료 태아치료를 위한 줄기세포의 활용전망 / 이시원 2017  376
    112 9 보건의료 메르스 사태를 경험한 지방의료원 간호사의 스트레스와 신종감염병환자 간호의도 / 오남희 2016  377
    111 9 보건의료 다기준의사결정(MCDA) 방법론을 이용한 신약개발과제의 평가 및 의사결정 연구 / 이상영 2017  379
    110 9 보건의료 병원정보시스템의 통합을 위한 데이터 표준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임상남 2016  3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