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869
발행년 : 201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글로벌사회복지연구(Global Social Welfare Review)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1747189 
디지털 헬스 케어산업 성장과 글로벌 보건 및 인력개발
= Global Health and Human Development with Growth of Digital Health Care Industry

                                    

  • 저자명

    최병목 ( Byoung Mohk Choi ), 김태림 ( Tae Rim Kim )                                              

  • 학술지명

    글로벌사회복지연구(Global Social Welfare Review)                           

  • 권호사항

    Vol.5 No.2 [2015]                                                         

  • 발행처

    극동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95-120(26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5년

초록 (Abstract)

  • 디지털 헬스케어는 헬스케어 산업과 ICT가 융합되어 개인 건강 및 질환을 관리하는 산업영역을 말한다. 디지털 헬스케어산업은 기존의 의료기기시장과 함께 헬스케어시장의 외연 확대를 촉...
  • 디지털 헬스케어는 헬스케어 산업과 ICT가 융합되어 개인 건강 및 질환을 관리하는 산업영역을 말한다. 디지털 헬스케어산업은 기존의 의료기기시장과 함께 헬스케어시장의 외연 확대를 촉진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리고 언제, 어디서나 건강관리 및 의료서비스의 제공이 기술적으로 가능하게 되었다. 네트워크 기술과 디지털 의료기기의 개발로 의료기관을 벗어난 곳에서 진단이 가능하다. 헬스케어 패러다임의 변화는 첫째, 기대수명이 늘어나면서 건강하게 오래 사는 게중요해짐. 둘째, 진단 및 치료 중심에서 사전진단 및 예방으로 패러다임 변화, 셋째, 일상생활에서의 건강관리 확대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사람들은 Well-Aging을 선호하게 되었다. 그리고 헬스케어 가치사슬의 변화를 가져왔다. 즉, [사전진단→ 사전치료→ 진단→ 치료→ 사후관리→ 건강유지]로 바뀌고 있다. 아울러 의료분야에도 Big Data 시대가 열렸다. 의료데이터가 벤처투자를 통한 제품혁신이 연계되면서 “의료혁신”이 가능해 지고 있다. 게놈 서열분석, 모바일, 센서 기술과 분석 소프트웨어 등의 발전으로 이제 개인의 체질과 주위 환경 등에 관한 방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것이 가능해졌기 때문이다. 첫째, 헬스케어산업의 패러다임은 질병치료의 시대에서 건강수명의 시대로 전환되고 있다.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헬스케어와 ICT 기술융합의 활용성이 증가되고 있다. 따라서 개인 맞춤형 헬스케어의 니즈가 확산되고 있다. 그리고 ICT 기술과 헬스케어 산업의 융합은 의료서비스의 공간적 제약을 극복하고 서비스 과정의 단순화로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헬스케어와 ICT 기술의 융합으로 digital health가 새롭게 부상하고 있다. 최근 스마트 기기, 웨어러블 컴퓨팅 기기들과 모바일 기기들이 헬스케어의 도구로서 활용되기 시작했다. 디지털 헬스는 이러한 도구들을 이용하여 개인의 건강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관리함으로서 맞춤형 건강관리 및 의료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해졌다. 셋째, 주요 IT기업들은 디지털 헬스 케어 생태계를 주도하기 위해 개인건강정보(PHI) 프랫폼 구축 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이들 기업은 애플, 구글, 등은 의료기관, EHR 시스템과의 연계 및 의료서비스와의 접목, 개인 피트니스데이터 활용 등을 시도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건강정보측정 디바이스 플랫폼 심밴드(SimBand)와 개인 건강관리 서비스 플랫폼 SAMI를 발표하였다. 넷째, 다섯째, 그러나 인체에 적용되는 제품의 특성상 의료기기의 규제가 적용될 경우 발 빠르게 변화하는 시장요구에 대처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어 변화하는 산업환경에 맞는 제도적 정비가 필요하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449 9 보건의료 한미 FTA 허가-특허연계제도의 바이오의약품 적용여부에 대한 고찰 / 김현철 2012  145
448 9 보건의료 예외적 보건 위기와 위기 상황의 차단 - 프랑스 감염병 관리 및 위기 대응 체계를 중심으로/ 박혜미, 김대중 2017  145
447 9 보건의료 바이오시밀러 임상시험에서 주평가변수가 이분형인 경우 평가방법 비교 : Risk Difference와 Risk Ratio / 길하영 2018  145
446 9 보건의료 보건의료 빅데이터 활용에 관한 법·정책적 개선방안 연구 / 박미정 2018  145
445 9 보건의료 보건의료정보 관리자의 데이터 분석 능력 향상을 위한 색인 검색 프로그램 활용 방안 / 최준영 2018  145
444 9 보건의료 맞춤의료를 위한 체외진단다지표검사(IVDMIA)의료기기 평가기술 개발 연구 / 최준석 2015  144
443 9 보건의료 생체재료로서 적용을 위한 폴리케톤의 생물학적 안전성 평가 / 이미희 외 2016  143
442 9 보건의료 우리나라 영리병원 도입 시 재무적ㆍ경제적 효과 분석/김원식 2018  143
441 9 보건의료 체외진단용 제품의 의료기기 허가 관리에 대한 고찰 / 이원규 2015  142
440 9 보건의료 의료 빅데이터를 위한 생체 신호 저장소 구축에 관한 연구 / 이석훈 2016  142
439 9 보건의료 의료 분야에서의 개인정보보호 / 최계영 2016  142
438 9 보건의료 의학 기사를 중심으로 한 국내 뉴스 Linked Open Data 구축 / 장종선 2016  141
437 9 보건의료 환자중심의 가치실현을 위한 전략요인과 과정에 관한 실증적 연구 - 팀제 도입을 중심으로 / 유붕식, 유병남 2007  140
436 9 보건의료 감정노동과 직무소진과의 관계에서 조직지원인식과 자기위로능력의 매개효과 / 허수진 2017  140
435 9 보건의료 의료서비스 규제개혁을 위한 핵심 덩어리 규제의 식별 / 김성준 외 2016  139
434 9 보건의료 병원경영진단 사례연구-문제점과 개선안을 중심으로 / 정기선 1995  139
» 9 보건의료 디지털 헬스 케어산업 성장과 글로벌 보건 및 인력개발 / 최병목 2015  139
432 9 보건의료 주요국의 만성질환 관리를 위한 예방의료서비스 현황 조사 / 김계현 2017  139
431 9 보건의료 노인장기요양보험의 보험수리 모형에 관한 연구 / 김정아 2011  138
430 9 보건의료 현행 혈액관리법령의 쟁점 / 전현희 2003  1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