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869
발행년 : 2016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170329 
의료광고를 바라보는 방향과 메시지 프레이밍이 소비자의 백신 예방 접종 의도에 미치는 효과

                           

  • 기타서명

    (The) effect of verticality(looking up and down) and message-framing on health preventive Behavior

  • 저자

    윤도연                                       

  • 형태사항

    4, 66장 : 삽화 ; 26 cm

  • 일반주기

    지도교수: 김재휘
    참고문헌수록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중앙대학교 대학원 : 심리학과 소비자 및 광고심리학전공 2016. 8

  • 발행국

    서울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16

초록 (Abstract)

  • 병원이란 공간은 진료 및 치료뿐만 아니라, 의료 및 의약품에 관련된 새로운 정보를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곳이기도 하다. 즉 다수의 의료광고들이 시행 되고 있는 지금, 실제로 병...
  • 병원이란 공간은 진료 및 치료뿐만 아니라, 의료 및 의약품에 관련된 새로운 정보를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곳이기도 하다. 즉 다수의 의료광고들이 시행 되고 있는 지금, 실제로 병원의 광고 상황에서는 의료광고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환경적 요인들이 간과하고 편의성에 의존하여 그저 잘 보이는 곳에 광고를 위치하는 실정이다. 이처럼, 편의성에 의존하여 위치되는 의료광고는 소비자로 하여금 의도하지 않은 광고 효과를 유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소비자는 광고를 바라보는 방향에 따라 소비자의 사고 및 해석수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즉 동일한 정보를 포함한 광고일지라도 이를 어떻게 바라보는지에 따라 초점을 두는 정보의 속성이 달라지며, 이로 인해 소비자가 지각하는 위험 정도와 건강 예방행동(백신 예방접종) 의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 가정하였다. 이름 검증하고자 연구1에서는 광고를 바라보는 방향에 따른 소비자의 예방 접종의도를 살펴본 결과, 광고를 위로 올려 볼 때 보다, 아래로 내려 볼 때 소비자의 예방 접종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영향력은 소비자의 위험 지각에 의해 매개됨을 확인하였다. 더 나아가, 연구2에서는 광고 내의 메시지에 초점을 맞추어 의료광고를 바라보는 방향에 적합한 메시지의 제시(메시지 프레이밍)를 통해 소비자의 예방 접종의도를 끌어낼 수 있을지를 검증하였다. 구체적으로 해석 수준 이론을 바탕으로, 광고를 아래로 내려 보는 조건에서는 (looking down) 손실-프레이밍이 효과적인 반면, 광고를 위로 보는 조건에서는(looking up) 이득-프레이밍이 효과적일 것이라 가정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2(광고 주시 방향: up vs. down) x 2(메시지 프레이밍: 이득 vs. 손실) 집단 간 설계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 광고를 아래로 내려 보는 조건에 서는 손실-프레이밍 메시지가 효과적인 반면, 광고를 위로 올려 보는 조건에서는 이득-프레이밍 메시지를 제시 했을 때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상호작용 효과). 결론적으로, 광고를 바라보는 방향에 따라 소비자의 사고 과정 및 의사결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광고내의 메시지 역시 위치에 적합한 수준으로 구성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Ⅱ. 이론적 배경 4
    • 1. 위험지각이 소비자의 예방 접종 의도에 미치는 영향 4
    • 2. 체화된 인지가 소비자의 사고와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 6
    • 3. 광고를 바라보는 방향에 따른 소비자의 사고과정의 변화 8
    • 4. 사고과정의 변화에 따른 위험 지각의 차이 10
    • Ⅲ. 연구1 13
    • 1. 연구 목적 및 가설 설정 13
    • 2. 연구 방법 및 절차 14
    • 3. 연구 결과 16
    • 4. 연구 논의 19
    • Ⅳ. 연구2 20
    • 1. 연구 문제 및 연구 목적 20
    • 2. 이론적 배경 21
    • 1) 메시지 프레이밍(Message framing) 21
    • 2) 해석 적합성 이론(Construal fit Theory)과 설득효과 24
    • 3. 가설 설정 25
    • 4. 연구 방법 및 절차 27
    • 5. 연구 결과 29
    • 6. 연구 논의 33
    • Ⅴ. 종합 논의 36
    • 참고문헌 39
    • 부 록 49
    • 국문초록 63
    • Abstract 65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0
    549 9 보건의료 보건의료 빅데이터의 연구목적 사용에 대한 법제 개선방안 / 박대웅 외 2016  185
    548 9 보건의료 포괄수가제 당연적용에 따른 의료서비스 감소에 관한 연구 : 비급여대상 의료서비스를 중심으로 / 윤희주 2016  184
    547 9 보건의료 4대 중증질환 보장성 정책이 환자의 의료이용과 재난적 의료비에 미친 영향 / 이현옥 2018  184
    546 9 보건의료 보건의료 빅데이터를 이용한 전문재활치료 건강보험수가 현황 분석 : ICF 모델을 중심으로 / 차유진 외 2017  183
    545 9 보건의료 건강보험수가 결정 체계 분석과 개선 방안 : 전문가의견 조사를 중심으로 / 정숙경 2011  183
    544 9 보건의료 기타 치매의 임상적 특징 / 전진숙 2000  183
    543 9 보건의료 보건의료 빅데이터의 이용과 한계 ― 대만판례 TAHR vs NHIA (2012) 분석을 중심으로 / 김은수 2017  182
    542 9 보건의료 한국 고령 환자 전환기 의료 관리체계 개선 방안 : 미국, 호주 비교법 제도 연구 / 백상숙 2018  182
    541 9 보건의료 노인의 임상시험 참여에 대한 현황과 향후 발전 방향 : 임상시험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분석 / 김선욱 외 2014  181
    540 9 보건의료 맞춤의약품 관련 규정 및 보험급여 현황의 국가별 비교 : 미국, 유럽, 한국의 맞춤의약품 비교연구를 바탕으로 / 허윤정 2014  180
    539 9 보건의료 산업화된 의료, 상품화된 건강과 마르크스주의 / 이상윤 2018  180
    538 9 보건의료 메르스 확산에 따른 정부의 위기 대응 메시지 언어 네트워크 분석 / 이미나 외 2016  179
    537 9 보건의료 우리나라 공공후견제도의 현황 및 향후 개선 과제 / 송영신 2017  178
    536 9 보건의료 종합병원 의료종사자의 의료기관인증제 인식, 표준주의 인지도 및 수행도 / 노정화 2019  178
    535 9 보건의료 바이오의약품 산업의 강소기업 성장사례(이스라엘 Teva社) 분석 및 시사점 / 송용주 2016  177
    534 9 보건의료 감염환자 검사자의 안전권,건강권,의료환경권 / 박상웅 2017  177
    533 9 보건의료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정책이 의료비에 미치는 영향 : 임신 출산 진료비 지원정책 중심으로 / 오혜진 2018  176
    532 9 보건의료 근거기반 요양병원 감염관리 가이드라인 수용개작 및 적용효과 / 김유정 2019  176
    531 9 보건의료 에이즈(AIDS) 환자의 인권에 대한 한국교회 지도자의 윤리의식연구 : 생명의료윤리 입장에서 / 이용석 1999  175
    » 9 보건의료 의료광고를 바라보는 방향과 메시지 프레이밍이 소비자의 백신 예방 접종 의도에 미치는 효과 / 윤도연 2016  1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