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869
발행년 : 2012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2810849 
인터넷신문 치과 의료광고의 의료법 위반 실태에 관한 연구

                           

  • 기타서명

    Dental advertisings' violations of medical law in internet newspapers

  • 저자

    이상헌                                       

  • 형태사항

    44장 : 삽화 ; 26 cm

  • 일반주기

    참고문헌 수록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 치의학과 2012. 2

  • DDC

    617.6 22

  • 발행국

    서울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12

초록 (Abstract)

  • 1. 목 적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인터넷신문에 게재되는 치과 의료광고의 의료법 위반 실태를 분석함으로써 광고가 어떤 측면에서 의료법을 어기고 있는지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허위 및 ...
  • 1. 목 적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인터넷신문에 게재되는 치과 의료광고의 의료법 위반 실태를 분석함으로써 광고가 어떤 측면에서 의료법을 어기고 있는지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허위 및 과장 광고 등으로 인한 시민들의 피해를 막기 위해 관련 법률을 어떻게 개선해야 할 것인지 알아보는 것이다. 2. 방 법 본 연구는 포털 사이트 네이버의 메인 페이지에 직접 연결된 92개 국내 인터넷신문에 게재된 치과 의원ㆍ병원ㆍ법인 배너 광고 및 이와 연결된 광고 페이지(랜딩 페이지)를 모두 찾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조사 기간은 2011년 9월 20일에서 26일까지 7일 간이었으며, 여러 인터넷신문에 중복 게재되어 동일 랜딩 페이지로 연결되는 배너 광고는 1건으로 처리하였다. 그 결과 총 20건의 배너 광고 및 이와 연결된 20건의 랜딩 페이지를 확보하였다. 현행 의료법의 광고 관련 조항들을 내용별로 나누어서 ①의료광고의 주체 ②의료기관의 명칭 ③진료과목의 표시 ④의료광고 사전심의 관련 ⑤신의료기술에 대한 광고 ⑥소비자 현혹 및 치료 효과 보장 ⑦치료경험담 및 6개월 이하의 임상 경력을 이용한 광고 ⑧비교 광고 및 비방 광고 ⑨환부의 치료 전ㆍ후 비교 사진 ⑩부작용 등 중요 정보를 누락한 광고 ⑪허위 및 과장된 내용의 광고 ⑫환자 유인 및 알선 등 총 12개의 기준 항목을 설정하고, 이에 대해 각 배너 광고 및 랜딩 페이지의 위반 여부를 판단하였다. 3. 결 과 배너 광고 1건 당 평균 3.8개(최소 3, 최대 6)의 기준 항목을 위반하고 있었으며, 랜딩 페이지 1건 당 평균 5.15개(최소 3, 최대 8)의 기준 항목을 위반하고 있었다. 배너 광고와 랜딩 페이지의 기준 항목 위반 횟수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p<0.05) 기준 항목별로 고려해 보면, 배너 광고가 많이 위반한 상위 5개 항목은 의료광고 사전심의 관련 문제(100%), 부작용 등 중요 정보의 누락(100%), 진료과목 표시(100%), 허위 및 과장된 내용의 광고(55%), 신의료기술에 대한 광고(15%) 순이었다. 반면 랜딩 페이지가 많이 위반한 상위 5개 항목은 의료광고 사전심의 관련 문제(100.0%), 부작용 등 중요 정보의 누락(100.0%), 진료과목 표시(90%), 의료기관의 명칭(65%), 신의료기술에 대한 광고(65%) 순이었다. 조사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배너 광고와 연결된 광고 페이지(랜딩 페이지)를 의료법상 사전심의 대상에 포함시키는 것을 명문화할 것. 둘째, 의료법상 광고에 금지되는 내용을 더 자세하게 규정할 것. 셋째, 의료법상 광고 관련 조항들을 어겼을 때 처벌을 강화할 것. 넷째, 사회적으로 용인할 수 있는 사항에 대해 의료법 및 의료광고 심의기준 등 관련 규정을 완화할 것.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769 9 보건의료 결핵예방법의 격리명령의 실행과 한계에 관하여/김장한 2015  404
768 9 보건의료 메르스 사태의 지리학과 생명권력의 정치 / 최병두 2015  404
767 9 보건의료 우리나라 치매관리 현황과 치매국가책임제 / 곽경필 2018  404
766 9 보건의료 현재 사용되고 있는 화학적 면역억제제에 대한 고찰 / 고진곤 2017  400
765 9 보건의료 한국 성인 HIV 감염인구 추계와 역학적 특성 / 김민우 2016  396
764 9 보건의료 재사용가능의료기기의 평가 가이드라인 개발 연구 / 신승우 외 2018  395
763 9 보건의료 독일 의료제도개혁에 관한 소고 / 백승흠 2017  390
762 9 보건의료 정부의 위험 커뮤니케이션 전략에 관한 연구 : 메르스 확산 사례를 중심으로 / 이승아 2016  386
761 9 보건의료 한국형 의료기관 중심 작업치료기록 표준용어 개발 / 송영진 2016  384
760 9 보건의료 병원정보시스템의 통합을 위한 데이터 표준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임상남 2016  381
759 9 보건의료 다기준의사결정(MCDA) 방법론을 이용한 신약개발과제의 평가 및 의사결정 연구 / 이상영 2017  378
758 9 보건의료 메르스 사태를 경험한 지방의료원 간호사의 스트레스와 신종감염병환자 간호의도 / 오남희 2016  377
757 9 보건의료 태아치료를 위한 줄기세포의 활용전망 / 이시원 2017  376
756 9 보건의료 의약품 사용에서의 성별차이에 대한 고찰 / 허정선 2009  373
755 9 보건의료 메르스관련 정부 위험소통의 한계에 대한 사회적 원인 분석 / 김은성 2015  372
754 9 보건의료 세균, 바이러스 및 곰팡이에 대한 병원체 관련 수의학 용어의 우리말 표준화 / 류재면 외 2014  368
753 9 보건의료 한국의 예술치료와 호스피스 완화의료 / 김창곤 2015  366
752 9 보건의료 한국 치매 작업치료 가이드라인 개발 / 한대성 외 2018  366
751 9 보건의료 메르스 사태로 본 국가재난대응체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중대본·중수본 운영체계를 중심으로 / 배재현 2016  365
750 9 보건의료 보건의료 정책 / 전진한 2017  3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