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869
발행년 : 2009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1806700 
의료광고가 의료기관 선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저자

    변성진

  • 형태사항

    vii, 46 p. ; 26cm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부산가톨릭대학교 생명과학대학원 : 병원경영학과 2009. 8

  • 발행국

    부산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09

초록 (Abstract)

  • 국문초록 의료광고가 의료기관 선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병원경영학과 변 성 진 지 도 교 수 임 복 희 본 연구의 목적은 의료광고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도와 선호도를 ...
  • 국문초록

    의료광고가 의료기관 선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병원경영학과 변 성 진

    지 도 교 수 임 복 희

    본 연구의 목적은 의료광고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도와 선호도를 조사하여 의료광고가 의료기관 선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의료광고의 방향을 모색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부산 지역 소재 병원, 종합병원 중 의료광고를 시행하고 있는 8개 병원과 6개 종합병원의 내원환자를 대상으로 내과, 외과, 산부인과, 소아청소년과 외래환자와 입원환자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의 구성은 조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의료광고에 대한 선호도 조사, 의료광고와 의료기관 선택에 관한 문항으로 구성하였고, 2009년 05월 05일부터 05월 19일까지 총 1930부를 배부하고 1341부를 회수하여 신뢰도가 떨어지는 185부를 제외한 1156부를 본 연구에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의료광고에 대한 의료소비자의 관심도는 보통인 것으로 나타났는데, 사무직, 전문직, 서비스직, 판매직에서, 40대와 50대에서 관심도가 높게 나타났다.
    의료광고 매체에 대한 인지도에서는 대중매체(TV, 라디오, 신문)에 대한 인지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연령층이 낮을수록 그리고 학력이 높을수록 대중매체에 대한 의존도가 낮고 인터넷매체에 대한 인지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200병상미만의 의료기관과 소아청소년과에서 인터넷매체에 대한 인지도가 다른 매체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의료광고에 대한 선호도를 조사한 결과 대중매체 광고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병상규모가 작고 외래진료에서 그리고 산부인과와 소아청소년과에서 인터넷 광고에 대한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병상규모가 크고 입원진료에서 그리고 내과와 외과에서 대중매체 특히 신문광고에 대한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반면, 광고전단은 가장 선호도가 낮게 나타났다.
    의료광고에 대한 관심도가 높게 나타난 40대와 50대가 의료광고를 접하고 의료기관을 선택하는 경향을 보였다. 의료기관 선택에 있어서는 대중매체 광고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고 있는 반면, 정기·부정기 간행물, 단행본, 광고전단 등의 대중매체 외 지면광고의 영향을 가장 적게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의료소비자들의 인지도와 선호도가 대중매체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실제 의료기관을 선택하는데 있어서도 대중매체 광고에 가장 영향을 많이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의료광고가 보다 효과적으로 소비자에게 작용하기 위해서는 현행법에서의 일부 대중매체를 통한 의료기관 광고에 대한 규제를 완화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의료광고의 대상에 따라 실제 그들이 인지하고 선호하는 광고매체와 방법을 적절히 이용한다면 보다 효과적인 의료광고가 될 수 있을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