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869
발행년 : 2017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401316 

질환 중심 의료 데이터 융합 모델을 통한 템플릿 기반 의료 정보 제공 기법

= Template-driven Medical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by Disease-centric Convergence Model of Heterogeneous Medical Data

                                         

  • 저자

    박예슬                                       

  • 형태사항

    59 ; 26 cm

  • 일반주기

    지도교수: 이정원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아주대학교 : 전자공학과 2017.2

  • 발행국

    경기도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17                                                                                                                                                                                     

  • 초록 (Abstract)
    • 최근 빅데이터에 대한 관심이 급증함에 따라 방대한 양의 데이터 관리에 대한 필요성이 늘고 있다. 특히, 의료 분야에서는 다양한 조직(기관, 과)의 전문가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의료 임상 ...
  • 최근 빅데이터에 대한 관심이 급증함에 따라 방대한 양의 데이터 관리에 대한 필요성이 늘고 있다. 특히, 의료 분야에서는 다양한 조직(기관, 과)의 전문가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의료 임상 자료가 방대하게 생성되고 있기 때문에 의료 데이터 관리에 대해 더욱 관심이 높은 상황이다. 그 중에서도 골든타임내의 신속한 진단과 처치가 환자의 생명에 직결되는 응급 질환의 경우, 임상 자료의 효과적인 관리에 기반한 빠른 의료 정보 제공은 더욱 중요하다. 그러나 현재의 병원정보시스템(HIS)에서는 의료 정보가 여러 시스템에 분산되어 있어 빠른 진단과 처치를 수행하기에 다음과 같은 한계점들이 존재한다. 첫째, 현재의 의료정보시스템은 의료 임상 자료를 파일 단위로 관리하고 있어, 질환의 진단을 내리기 위해 필요한 임상 자료의 종류를 확인할 수 없다. 질환의 진단에 필요한 임상 자료를 선택하여 확인하는 과정은 의사의 사고과정을 통해서만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둘째, 현재의 의료정보시스템은 하나의 임상 자료 내에 존재할 수 있는 데이터 항목에 대해서도 질환에 따른 중요성이나 연관성이 고려되고 있지 않는 상황이다. 마지막으로 셋째, 현재의 의료 시스템에서는 의료 임상 자료를 탐색하기 위한 화면이 임상 자료에 내재된 의미적 정보를 확인할 수 없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이와 같은 한계점은 의료 영상 정보를 획득하는데 더욱 심화되는데, 의료 영상의 경우 영상에 내재된 아나토미(해부학적 구조) 정보를 탐색 화면에서는 확인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그러나 질환이 발생하는 위치에 대한 아나토미 정보를 보유한 대표 이미지(템플릿)를 기반으로, 영상에서 확인되는 아나토미 정보를 표기하여 임상 자료를 나타내준다면 영상에 내재된 의미적 정보가 표면화 되어 직관적이고 압축적인 의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응급 상황에서 자주 발생하는 대표적인 응급 사례질환을 2가지(급성심근경색, 허혈성 뇌졸중)를 선정하여, 질환의 진단을 내리기 위해 필요한 의료 정보를 융합하여 제공할 수 있는 질환 중심의 통합 모델과 템플릿 기반의 의료 정보 제공 기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제안하는 2개의 질환 중심의 의료 정보 융합 모델과 템플릿 기반 의료 정보 제공 기법을 기반으로, 본 연구에서는 웹(WEB) 기반의 UI(User Interface)를 구현하였으며 기존의 의료 정보 제공 시스템에 비해 훨씬 압축적이고, 직관적으로 의료 정보 제공이 가능해짐을 확인할 수 있다.
  •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 2. 관련연구
  • 2.1. 의료 정보 제공 기법
  • 2.2.1. 전자의무기록(EMR)
  • 2.2.2. 의료영상저장시스템(PACS)
  • 2.2. 의료 데이터 모델링
  • 3. 질환 중심 의료 데이터 융합 모델링
  • 3.1. 질환 중심 의료 데이터 융합 모델링 프로세스
  • 3.2. 질환 사례1 - 급성심근경색
  • 3.2.1. 도메인 개념화
  • 3.2.2. 의미적 특징 및 연관성 도출
  • 3.2.3. 데이터 융합 모델링
  • 3.3. 질환 사례2 – 허혈성 뇌졸중
  • 3.3.1. 도메인 개념화
  • 3.3.2. 의미적 특징 및 연관성 도출
  • 3.3.3. 데이터 융합 모델링
  • 3.4. 질환 독립적 정보 및 의존적 정보의 분할
  • 4. 템플릿 기반 질환 중심 의료 정보 제공
  • 4.1. 템플릿 기반 질환 중심 의료 정보 제공 기법
  • 4.2. 질환 사례1 - 급성심근경색
  • 4.2.1. 템플릿 선정
  • 4.2.2. 템플릿 기반 관상동맥 아나토미 대응 연관성
  • 4.3. 질환 사례2 – 허혈성 뇌졸중
  • 4.3.1. 템플릿 선정
  • 4.3.2. 템플릿 기반 뇌 아나토미 대응 연관성
  • 4.4. 구현
  • 4.4.1. 구현 아키텍처 설계
  • 4.4.2. 동작 시나리오 분석
  • 5. 결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9
89 9 보건의료 소아환자의 얼굴인식을 통한 맞춤형 치료정보 제공 서비스 연구 / 양준모 채옥삼 2018  57
» 9 보건의료 질환 중심 의료 데이터 융합 모델을 통한 템플릿 기반 의료 정보 제공 기법 / 박예슬 2017  56
87 9 보건의료 의료정보 표준에 관한 연구 : 표준화 분석 및 전망 / 김창수 2008  56
86 9 보건의료 한·중 자유무역협정(FTA)에서 「中國侵权责任法」상 의료손해 책임에 관한 연구 / 방성환 2017  56
85 9 보건의료 응급실기반 자살시도자의 사후관리 사업 동의의 결과와 동의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연구 / 김호중 외 2018  56
84 9 보건의료 주요 선진국에서의 보건의료 지출 현황 비교 / 조민우 2018  56
83 9 보건의료 개인의 복지태도가 공적 의료보장 강화정책 동의에 미치는 영향/김도영 2018  56
82 9 보건의료 새 정부에 바라는 보건의료와 건강정책 / 우석균 2017  56
81 9 보건의료 한국노년학의 보건ㆍ의료ㆍ건강영역 연구동향 / 김현숙 외 2018  56
80 9 보건의료 에이즈관련 의료차별방지를 위한 법적 제문제 / 강선주 2017  56
79 9 보건의료 원격의료의 활성화를 위한 보험제도의 개선과제 / 김범준 2016  55
78 9 보건의료 의료광고에 근거한 의료기관 선택에 관한 연구 / 신혜원 2011  55
77 9 보건의료 의료기관 종별에 따른 의료광고 수행특성 / 이동우 2015  55
76 9 보건의료 의료기술평가를 이용한 근거중심 의사결정제도 / 안정훈 2017  55
75 9 보건의료 일차 의료 기관에서의 체계적 천식 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교육 효과 및 임상적 유용성 / 김이형 2015  55
74 9 보건의료 진료비와 책임제한 / 배병일 2017  55
73 9 보건의료 호주 뉴사우스웨일스의 의사결정능력 장애인과 의사결정지원 / 말콤 샤이벤스 2018  55
72 9 보건의료 의료행위 개념의 법제화 시론 / 박정연 2018  55
71 9 보건의료 의료 빅데이터를 활용한 연구지원시스템 모델 개발 / 장광수 2013  54
70 9 보건의료 의약품 시판허가심사에 있어 정보공개 영향요인에 관한 비교연구 / 김나경 2018  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