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869
발행년 : 2009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77001373 
한국 바이오의약 산업과 발전방향

                       

  • 저자명

    김성천                                            

  • 학술지명

    한국생물공학회 학술대회                           

  • 권호사항

    Vol.2009 No.1 [2009]                                                        

  • 발행처

    한국생물공학회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73-73(1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09년

  • KDC

    629

  • 초록 (Abstract)
    • 세계 의약산업은 연구개발 생산성 저하, 블럭버스터 품목의 특허 만료, 각국의 의료비 절감 방안 등으로 성장률이 점차 둔화되고 있다. 그러나, 중국을 비롯한 인도, 브라질, 러시아, 터키 등...
  • 세계 의약산업은 연구개발 생산성 저하, 블럭버스터 품목의 특허 만료, 각국의 의료비 절감 방안 등으로 성장률이 점차 둔화되고 있다. 그러나, 중국을 비롯한 인도, 브라질, 러시아, 터키 등 신흥 시장의 부상과 바이오 의약품 시장의 약진 등으로 새로운 사업 기회도 펼쳐지고 있다. 한국의 의약산업은 세계 12 위 권이며 규모로는 세계 시장의 1.4%에 불과하다. 특허를 통한 사업 기회 보호가 그어느 산업보다 뛰어난 의약산업은 신약이라는 연구개발 성과가 주요 성공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그러나 신약개발은 성공확률이 낮고, 개발 기간이 길며, 개발 비용이 높아서 한국은 국내 시장 위주의 제네릭 의약산업에 치중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바이오시밀러를 비롯한 바이오의약 산업이 새로운 사업기회로 부상하고 있다. 바이오의약품은 합성신약의 제네릭에 비해 가격, 설비 및 기술적인 측면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진입장벽을 유지하고 있어 일부 다국적 제약사들도 꾸준한 관심을 보이고 있다. 한국 의약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에는 바이오시밀러를 포함하는 바이오의약 산업이 그 대안이 될 수 있다. 합성의약품에 비해 상대적으로 성공확률이 높을 뿐만 아니라 생산설비 등의 진입장벽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한국 바이오의약 산업의 현주소를 조명하고 최근의 연구개발성과를 살펴 봄으로써 발전 전략을 모색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509 9 보건의료 상처 입을 가능성(vulnerability)과 의학에서의 주체화 / 황임경 2018  116
508 9 보건의료 헬스커뮤니케이션 연구 동향 : 커뮤니케이션 분야와 공중보건·의약학 분야의 비교 / 이선정, 이수범 2016  117
507 9 보건의료 u-Health 환경을 위한 의료 검사 데이터 통합 전송 및 웹 서비스 구축 / 신현덕 2011  117
506 9 보건의료 사물인터넷(IoT) 헬스케어 서비스 법제도 개선 방향 / 주지홍 2017  117
505 9 보건의료 의료정보서비스 접근성 향상을 위한 개방형 서비스플랫폼 구축방안 연구 / 이현직 2016  117
504 9 보건의료 희귀의약품의 공급 중단 실태와 정책과제 / 박실비아 2015  117
503 9 보건의료 지역별 특성, 질병과 의료비에 관한 연구 2016  117
502 9 보건의료 개인의 유전정보를 이용한 건강관리 / 김종주 2017  117
501 9 보건의료 중증 질환자의 삶의 질 개선을 위한 맞춤형 건강관리 시스템 개발 연구 / 편도현 2017  117
500 9 보건의료 의료광고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연구 / 우예순 2008  118
499 9 보건의료 외국의 사례를 통한 국내 아동 성범죄자 약물치료의 실효적 운영 방향 / 양현호 2018  118
498 9 보건의료 임상시험 대상자 관리를 위한 모바일 웹 개발 / 고진경 2018  118
497 9 보건의료 무면허의료행위에 대한 형사법적 쟁점 - 한의사의 초음파기기 사용을 중심으로 -/장준혁 2014  119
496 9 보건의료 연구간호사의 연구중심병원사업 인지도가 연구성과에 미치는 영향 : 연구역량 및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조경미, 김양균 2015  119
495 9 보건의료 의료광고의 표현범위에 관한 연구 : 의사와 소비자의 태도조사를 중심으로 / 최선호 2004  119
» 9 보건의료 한국 바이오의약 산업과 발전방향 / 김성천 2009  119
493 9 보건의료 위암 한약제제 임상시험 가이드라인 개발을 위한 한약제제 무작위배정 대조군 임상시험 고찰 / 한가진 외 2017  119
492 9 보건의료 의약품 정의와 재분류에 대한 법적 연구 / 2012  120
491 9 보건의료 의료용 케어로봇과 환자 간의 서사와 공감 관계의 가능성 / 송선영 2017  120
490 9 보건의료 건강보험 비급여 의료행위에 대한 의료기관별 가격과 제공량의 관련요인 분석 / 박정훈 2017  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