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869
발행년 : 2010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정책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749608 
해외 전문 인력을 활용한 한국 바이오 및 제약 산업의 글로벌 지식 네트워크 구축 방안

                       

  • 저자명

    김형주, 김석현, 김석관, 이정협, 박소현                        

  • 학술지명

    정책연구

  • 권호사항

    Vol.- No.- [2010]                                                          

  • 발행처

    과학기술정책연구원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1-215(215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0년                                                                      

  • 초록 (Abstract)
    • 혁신 창출의 새로운 돌파구로서 글로벌 지식 네트워크- 지식기반 경제에서 혁신 창출을 위한 지식이 중요해지고 새로운 지식의 공급을 위하여 글로벌 네트워크의 중요성이 증가하는 추세임...
  • 혁신 창출의 새로운 돌파구로서 글로벌 지식 네트워크- 지식기반 경제에서 혁신 창출을 위한 지식이 중요해지고 새로운 지식의 공급을 위하여 글로벌 네트워크의 중요성이 증가하는 추세임 - 특히 바이오 및 제약 산업의 경우 세계적인 글로벌 분업 구조의 형성으로 연구개발 기능이 확산됨에 따라 각국에서 바이오 및 제약 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글로벌 지식 네트워크에 전략적인 연계가 중요해짐 - 한편 최근 국제이주자들이 모국과 거주국간 지식 네트워크의 형성을 촉진하고 이로 인해 모국의 산업발전과 경제성장에 기여하는 두뇌순환(brain circulation) 모델이 이론적 논의와 정책 측면에서 주목을 받고 있음 - 국내에서는 고급인력, 특히 고급과학기술인력의 두뇌유출(brain drain)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으며 이에 유출을 방지하고 귀국을 장려하는 방안에 정책적 관심이 모아지고 있으나, 단순히 귀국을 장려하는 방안에서 벗어나 타이완이나 인도와 같이 해외 인력을 활용하여 효과적으로 글로벌 지식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두뇌 순환 방안의 가능성이 논의되고 있음 - 본 보고서에서는 글로벌 지식 네트워크의 구축을 위한 두뇌순환 전략을 국내 거점 구축(In), 해외 거점 구축(Out), 교량 확보(Bridge)의 세 가지 측면에서 파악하고, 이를 한국 바이오 및 제약 분야에 적용하여 그 필요성과 형성 가능성 및 한계를 진단하고 정책점 및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함 한국 바이오 및 제약 산업의 글로벌 지식 네트워크· 글로벌 지식 네트워크의 필요성- 한국 바이오 및 제약 산업은 협소한 국내 시장과 연구개발 자원의 한계로 선진국과 격차는 계속 유지되고 있으며 중국, 인도 등 신흥국 제약기업들이 세계 시장에서 약진하고 있는데 비해 뒤처지고 있음. 이에 따라 글로벌 지식 네트워크의 구축이 시급한 실정임 · 글로벌 지식 네트워크의 형성 가능성 및 한계- 해외 선진 시스템의 국내 유치 및 해외 제약회사와의 기술제휴와 투자 유치가 일부 이루어지고 있으나 아직 시작 단계이며 그 효과는 제한적임- 국내 기업이나 연구기관이 글로벌 지식 네트워크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개별적으로 해외에 진출한 시도가 있었으나 아직은 소수이며 해외 거점의 기능 역시 제한적임- 최근 해외에서 바이오 및 제약 분야 전문가 협회들이 자생적으로 형성되고 일부 한인 전문가들이 귀국하여 글로벌 지식 네트워크 구축에 기여하고 있으나 중국이나 인도에 비해 해외 인력풀이 상대적으로 작은 편이며 귀국한 전문가들도 개별적인 유치에 그침- 기업과 공공부문에서 제한적으로 전개되는 지식 네트워크 구축은 속도와 임계치 형성에서 한계가 분명하므로 공공부문의 선도가 필요함 정책 과제· 정부 주도의 집중적인 국내 거점 구축(In) 전략- 해외 유수의 연구소를 유치- 공공부문의 신약개발지원조직의 구성원을 글로벌 인재에서 선정- 선진국의 벤처자금과 공동으로 바이오벤처 투자하는 펀드의 조성 · 해외 거점 구축(Out) 전략- 연구와 컨설팅 기능의 선진국 거점(outpost) 구축 · 전면적이고 체계적인 교량(Bridge) 확보 전략- 한국의 벤처기업과 선진국의 바이오 및 제약 회사가 공동 투자하는 연구개발 사업- 자생적인 해외 한인 협회와의 체계적인 네트워킹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809 9 보건의료 성년후견제도의 도입에 관한 논의에서 의료행위와 관련한 과제 / 김민중 2009  55
808 9 보건의료 의료보험체계에서 이념의 갈등과 조화 : 의료보험에서 경쟁의 억제와 유인/김나경 2009  85
807 9 보건의료 병원 전 심정지로 응급실에 내원한 환자에서 소생술 중단 기준 결정을 위한 분석 / 강현주, 정진희, 어은경, 배현아 2010  341
806 9 보건의료 DNR에 대한 응급의료종사자들의 인식과 윤리적 태도 / 박학영 2010  1061
805 9 보건의료 독일법상 의약품의“허가사항외 사용 (Off-Label-Use)” / 김기영 2010  192
804 9 보건의료 의료전문직의 이윤추구 동기가 의료재정정책과정에 미치는 영향 / 최희경 2010  95
803 9 보건의료 의료수가결정과 변화에 대한 사이버네틱스 접근방법에 의한 연구 / 김주환 2010  59
802 9 보건의료 의료과실판단에서의 가이드라인의 역할-일본에서의 논의를 참고하여 / 송영민 2010  40
801 9 보건의료 의료광고 규제가 소비자 병원 선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정택준 2010  166
800 9 보건의료 바이오테크 기업의 기술영역 변화와 제약회사와의 전략적 제휴 / 윤우진 2010  94
799 9 보건의료 바이오 및 제약산업의 글로벌 지식네트워크 구축방안 / 김형주 2010  39
» 9 보건의료 해외 전문 인력을 활용한 한국 바이오 및 제약 산업의 글로벌 지식 네트워크 구축 방안 / 김형주 2010  53
797 9 보건의료 희귀의약품 보험약가결정: 문제점과 시사점 / 권혜영 2010  258
796 9 보건의료 의료서비스대상자의 통합사례관리 방안 연구 : 지방자치단체 총괄 방식의 '행정관리 모델' 중심으로 / 황미경 2010  31
795 9 보건의료 의료데이터 공유 및 활용 서비스를 위한 보안/프라이버시 요구사항 2010  37
794 9 보건의료 임상시험에서의 통계 활용 / 안흥엽 2010  172
793 9 보건의료 말기암환자 정보시스템을 이용한 우리나라 암환자 완화의료기관의 이용현황 / 신동욱 외 2010  59
792 9 보건의료 제조방법 변경에 따른 의약품동등성시험 가이드라인 연구 / 조일영 외 2010  287
791 9 보건의료 우리나라 노인의 비의도적 손상에 관한 연구 / 차승현 2011  210
790 9 보건의료 건강보험수가 결정 체계 분석과 개선 방안 : 전문가의견 조사를 중심으로 / 정숙경 2011  1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