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869
발행년 : 2017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 보건정책및병원관리학과 2017. 8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549140 

국민건강증진기금 활용 우선순위 설정에 관한 연구


  • 저자

    이미선

  • 형태사항

    ⅷ, 46p ; 26 cm

  • 일반주기

    지도교수: 윤석준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 보건정책및병원관리학과 2017. 8

  • 발행국

    서울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17

  • 주제어

    국민건강증진기금


  • 초록 (Abstract)
    • 목적 : 본 연구는 국민건강증진기금 사업 현황을 살펴보고, 기존 선행연구를 통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또한 국민건강증진기금 활용 우선순위를 설정하기 위하여 전문가들의 경험적 지식을 바탕으로 사업 간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향후 중장기 발전방향 수립을 위한 정책적 근거자료로 제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방법 : 지난 10년(2007~2016) 간의 국민건강증진기금 사업 수행 현황과 기존 문헌을 통하여 문제점을 도출한 후 국민건강증진기금의 사업 간 우선순위를 분류하고 예산 배분 원칙을 수립하기 위하여 국내 기금관련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항목은 사업 간 상대적 중요도를 추출하기 위하여 AHP 분석 기법을 통해 요인들의 우선순위를 정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으며, 설문조사 항목은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보건복지부 예산 및 기금운용계획 및 기존 진행되었던 연구의 설문지 등을 참고하여 작성하였다. 결과 : 건강증진사업 상위요인의 상대적 우선순위는 ‘보건의료분야’, ‘건강보험재정지원’ 순으로 나타났다. 보건의료분야 하위요인의 우선순위는 ‘공공보건의료확충’, ‘취약계층 지원’, ‘보육·가족 및 여성’, ‘보건의료부문’, ‘노인 등’, ‘사회복지일반’ 순으로 상대적 중요도가 측정되었다. 보건의료부문의 세부요소에 대한 우선순위는 ‘질병예방관리’, ‘취약계층 의료비지원’, ‘정신질환관리’, ‘국민건강생활실천(금연이외)’, ‘금연지원사업’, ‘보건의료R&D 및 보건산업육성’ 순으로 측정되었다. 기금 예산배분을 위한 상대적 우선순위는 ‘지원타당성’, ‘시의성/긴급성’, ‘사업성과’, ‘정합성’ 순으로 나타났다. 기금의 중장기 활용을 위한 인식도를 조사한 결과 현재 기금 운용 관련 가장 시급한 문제는 기금 목적에 적합하지 않은 사업의 수행으로 나타났으며, 건강증진사업은 전체 기금 예산의 50% 내외로 편성되는 것이 필요하다고 나타났다. 또한 건강증진기금에서 건강보험재정을 지원하는 것에서는 적합하지 않다는 의견이 81.8%이상으로 나타났다. 향후 건강증진사업과 관련하여 우선 진행해야하는 분야는 건강에 위해를 주는 행동을 하지 않도록 사전적으로 조기에 예방하는 사업으로 나타났다. 결론 : 국민건강증진기금은 재원의 한계에 의하여 제약을 받으므로 재원의 범위 내에서 사회적인 후생을 극대화 할 수 있도록 최선의 지출 구성이 필요하다. 따라서 정책결정자는 한정된 기금 예산의 범위 내에서 객관적이고 보편타당한 우선순위를 설정하여 사업을 편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국민건강증진기금의 재원이 흡연자의 담배 소비를 통한 재원조달의 제한성을 극복하기 위하여 설탕세, 주세 등 재원의 다양화를 통한 기금 확충 및 안정화를 도모하여야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84
589 9 보건의료 보건의료 빅데이터의 연계 데이터셋 추출 기법 / 박다정 2017  168
588 9 보건의료 개인 정보를 보호하는 보건의료 빅데이터 연계 및 표준화 프로세스 / 김현준 2017  114
587 9 보건의료 의료용 케어로봇과 환자 간의 서사와 공감 관계의 가능성 / 송선영 2017  126
586 9 보건의료 암 환자의 재활치료 활성화를 위한 수가 개발 방안에 관한 연구 / 김준성 2017  256
585 9 보건의료 의료 산업 Bio 3D Printing 활용사례 개발에 관한 연구 / 천경원 2017  168
584 9 보건의료 항생제 내성의 극복: 질환별 항생제의 올바른 선택 / 이미숙 2017  167
583 9 보건의료 의약품 디자인 분쟁사례를 통한 시사점 도출 및 보호방안 연구 / 박해림 2017  311
582 9 보건의료 주요 외국의 희귀의약품과 항암제 별도 기금 제도 고찰 및 시사점 / 정승연 2017  127
581 9 보건의료 기능손상 노인을 돌보는 주보호자의 자기 돌봄 활동이 자신의 신체·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 김정은 2017  130
580 9 보건의료 건강관련정보(data concerning health)의 활용과 문제점 / 최규진,김병수 2017  78
579 9 보건의료 국민건강보험 빅데이터 기반의 질병트렌드에 따른 지역 군집화 방법론 개발 / 이택호 2017  114
578 9 보건의료 IoT 기반의 동물 헬스케어를 위한 예찰 시스템 설계 / 김정국 2017  95
577 9 보건의료 디지털헬스케어 분야에서의 빅데이터 활용 동향 / 박길하 2017  133
576 9 보건의료 국내 헬스케어 빅데이터 현황과 신규 연구 방향 / 신수용 2017  148
575 9 보건의료 빅데이터 기반 헬스케어 관리 통합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이동희 2017  98
574 9 보건의료 신약 접근성 개선 정책이 등재율 및 등재소요시간에 미치는 영향/김은숙 2017  208
573 9 보건의료 의약품 자료 보호 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박현정 2017  276
» 9 보건의료 국민건강증진기금 활용 우선순위 설정에 관한 연구 2017  176
571 9 보건의료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 관한 정책적 개선방안 2017  3588
570 9 보건의료 만성질환자의 일차의료 치료지속성이 응급실 방문에 미치는 영향 2017  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