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869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임상간호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3366662 

메르스 감염 유행 후 상급종합병원 간호사의 외상 후 스트레스 영향요인 = Factors Affecting Post-Traumatic Stress of General Hospital Nurses after the Epidemic of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Infection


저자김현진,박호란
학술지명임상간호연구(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권호사항Vol.23No.2[2017]

발행처병원간호사회
자료유형학술저널

수록면179-188
언어Korean
발행년도2017
KDC512
주제어메르스,간호사,외상 후 스트레스,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Nurses,Stress Disorders,Post-Traumatic
초록Purpose: This study examined post-traumatic stress (PTS) and the factors affecting it among general hospital nurses after the MERS(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epidemic.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170 nurses who worked at general hospitals since the first reported MERS outbreak. The IES-R-K assessed PTS.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Results: The mean PTS level was 7.80 points (range: 0~88); 7.1% of the participants were at a high risk. Nurses who had been in contact with patients suspected or diagnosed with MERS had high post-traumatic levels; those who had been quarantined during the MERS outbreak had relatively higher PTS levels. Shift-work nurses had higher PTS levels than those with fixed working hours. Above charge’ nurses stress levels were higher than staff nurses’ stress levels. The results showed that factors including contact with an MERS-suspected or diagnosed patient, position at work, and working status of MERS-affected nurses explained 16% of the PTS. Among the main variables, nurses’ above charge position was the greatest factor affecting PTS. Discuss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intervention studies and programs considering these variables. Furthermor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differentiated programs should be done considering the position of above charge nurses.
초록목적: 본 연구는 메르스 감염 유행 후 상급종합병원 간호사의 외상 후 스트레스를 파악하고 이에 영향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이다. 방법: 자료수집은 메르스 첫 발견일 이후 상급종합병원에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 17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외상 후 스트레스는 IES-R-K 로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간호사의 외상 후 스트레스 점수는 평균 7.80점 (범위 0~88점)이었고, 고위험군이 7.1 %이었다. 간호사의 외상 후 스트레스는 메르스 의심 또는 확진 환자를 만난 경험이 있는 간호사가 높았으며, 메르스 발생시 병원격리를 경험한 간호사가 외상 후 스트레스가 높았다. 근무형태가 교대근무인 경우 전일제 근무보다 높았으며, 책임간호사 이상이 일반간호사 보다 높았다. 간호사의 외상 후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메르스 의심 또는 확진 환자를 만난 경험, 직위, 근무형태이며 외상 후 스트레스를 16.0% 설명하였다. 주요 요인중 책임간호사 이상의 직위가 외상 후 스트레스의 가장 큰 요인이었다. 논의: 그러므로 이들 변인을 고려한 중재 연구 및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고 사료되며 또한, 책임간호사 이상의 직위를 고려한 차별성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 및 중재가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4

9 보건의료 장애아동과 비장애아동의 의료이용 및 질병특성 비교 / 김유진

발행년 2017 

  • 조회 수 61

9 보건의료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건강보험 혁신 방향 / 신영석

발행년 2017 

  • 조회 수 48

9 보건의료 정밀의료와 디지털 헬스케어, 의료서비스의 혁신 패러다임 / 김종원

발행년 2017 

  • 조회 수 71

9 보건의료 A.I. 아바타를 활용한 개인맞춤형 건강관리 콘텐츠디자인에 관한 연구 : PHAVATAR 앱 개발을 중심으로 / 김태원

발행년 2017 

  • 조회 수 114

9 보건의료 고령사회를 위한 사물인터넷 융합 디지털 헬스케어 사용자 경험 디자인 연구 / 엄주희

발행년 2017 

  • 조회 수 111

9 보건의료 메르스 대유행 시 코호트 격리된 병원 간호사의 이직의도 / 정희자 외

발행년 2017 

  • 조회 수 265

9 보건의료 메르스 양성 진단자와 접촉한 대상자의 재택격리 경험 / 하주영, 반선화

발행년 2017 

  • 조회 수 100

9 보건의료 메르스 감염 유행 후 상급종합병원 간호사의 외상 후 스트레스 영향요인 / 김현진, 박호란

발행년 2017 

  • 조회 수 276

9 보건의료 다기준의사결정(MCDA) 방법론을 이용한 신약개발과제의 평가 및 의사결정 연구 / 이상영

발행년 2017 

  • 조회 수 380

9 보건의료 의료소비자권리와 공유의사결정에 대한 연구 / 고은경

발행년 2017 

  • 조회 수 114

9 보건의료 외래환자의 의료기관 내원경로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구자영

발행년 2017 

  • 조회 수 787

9 보건의료 의료서비스 이용자의 국공립병원 선택요인에 관한 연구 / 길미령

발행년 2017 

  • 조회 수 209

9 보건의료 보건의료 빅데이터 연계 플랫폼 / 이경희, 조완섭

발행년 2017 

  • 조회 수 203

9 보건의료 건강보험 비급여 의료행위에 대한 의료기관별 가격과 제공량의 관련요인 분석 / 박정훈

발행년 2017 

  • 조회 수 121

9 보건의료 건강보험과 의료급여 노인환자의 의료이용량 / 이용재

발행년 2017 

  • 조회 수 146

9 보건의료 비급여, 실손보험, 그리고 올바른 의료제도의 정착을 위한 의료전달체계 / 서인석

발행년 2017 

  • 조회 수 99

9 보건의료 건강보험 한방급여의 문제점 / 성종호

발행년 2017 

  • 조회 수 95

9 보건의료 건강보험급여구조와 비급여 관리 / 지영건 외

발행년 2017 

  • 조회 수 157

9 보건의료 국민의 적정 부담을 위한 비급여 관리 방향 / 공진선

발행년 2017 

  • 조회 수 127

9 보건의료 의료급여환자의 요양병원 이용에 관한 연구 / 이용재

발행년 2017 

  • 조회 수 1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