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869
발행년 : 201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1720713 


 일차 의료 기관에서의 체계적 천식 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교육 효과 및 임상적 유용성


저자김이형, 유광하, 염호기, 박용범, 이진국, 김덕겸, 윤형규, 박이내, 정재우, 류연주, 김영삼, 김태형, 이성순, 박주헌, 김은경, 황용일, 정성수, 이기만, 최강현, 신경철, 김기욱, 김현국, 엄수정, 박성주, 임성철, 김상하, 김우진, 이재천
학술지명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권호사항Vol.120No.-[2015]

발행처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자료유형학술저널

수록면195-195
언어Korean
발행년도2015
초록목적: 개인병원을 방문하는 천식환자에게 체계화된 교육을 실시하고 그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총 3 회 (첫 방문 시, 2주 차, 4주 차)에 걸쳐 동영상이 포함된 체계화된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그 효과를 설문 조사를 통해 평가하였다. 조사 내용은 다음과 같다: 동반질환, 기 사용 흡입제 종류, 과거 교육 경험 정도(2문항), 천식 조절 점수(5문항), 질환에 대한 이해와 흡입제 사용(6문항), 교육 만족도(3문항). 결과: 28개의 개인병원, 144명의 환자가 등록되었다. 평균 나이는 56.7세로 59%가 여성이었다. 각각 1.7±1.1 과 1.96±1.2회/년의 질환 교육과 흡입제 사용에 대한 교육을 받았고, 교육 전 천식 조절 점수는 16.58±4.6점이었으며 20점 이상의 환자는 45명(33.3%)에 불과하였다. 체계적 교육을 통해 질환에 대한 이해와 흡입제 사용에 대한 조사에서 6개 문항 모두에서 1점 이상의 개선이 확인되었다 (p<0.001). 천식조절 점수는 16.58±4.6에서 19.99±3.9로 호전되었고 (p<0.001), 20점 이상의 환자도 93명(65.3%)로 증가하였다 (p<0.001). 이는 성별, 나이, 동반질환의 수, 흡입제의 종류, 과거 교육 횟수와 관계가 없었다. 교육 이후에 전체 환자의 95.8%(138/144)가 체계적 교육의 필요성을 인지하였고, 81.9%(118/144)가 교육에 대한 추가 비용의 지불 의사가 있었다. 결론: 체계적 천식 교육은 질환에 대한 이해도, 흡입제의 필요성과 사용법의 정확도를 높임으로써 천식 조절 정도를 호전시켰다. 이는 추가비용 지불 의사와 더불어 체계적인 교육이 의료 급여 항목으로 인정 받을 수 있는 근거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 9 보건의료 일차 의료 기관에서의 체계적 천식 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교육 효과 및 임상적 유용성 / 김이형 2015  56
788 9 보건의료 한·중 자유무역협정(FTA)에서 「中國侵权责任法」상 의료손해 책임에 관한 연구 / 방성환 2017  56
787 9 보건의료 주요 선진국에서의 보건의료 지출 현황 비교 / 조민우 2018  56
786 9 보건의료 새 정부에 바라는 보건의료와 건강정책 / 우석균 2017  56
785 9 보건의료 한국노년학의 보건ㆍ의료ㆍ건강영역 연구동향 / 김현숙 외 2018  56
784 9 보건의료 4대 중증질환 보장성 강화 정책이 의료비에 미친 영향: 본인부담금을 중심으로 / 김관옥 2017  57
783 9 보건의료 응급실기반 자살시도자의 사후관리 사업 동의의 결과와 동의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연구 / 김호중 외 2018  57
782 9 보건의료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 기술 적용 의료기기의 허가심사 방안 / 손승호 외 2018  57
781 9 보건의료 개인의 복지태도가 공적 의료보장 강화정책 동의에 미치는 영향/김도영 2018  57
780 9 보건의료 유방암 치료에 대한 한의 임상 가이드라인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 이남헌 외 2016  57
779 9 보건의료 에이즈관련 의료차별방지를 위한 법적 제문제 / 강선주 2017  57
778 9 보건의료 보건의료 빅데이타 추진 방향의 몇 가지 문제들 / 변혜진 2017  57
777 9 보건의료 소아환자의 얼굴인식을 통한 맞춤형 치료정보 제공 서비스 연구 / 양준모 채옥삼 2018  57
776 9 보건의료 의료 빅데이터 구현을 위한 문제 중심의 시계열 EHR 아키텍처에 관한 연구 / 김종호 2017  58
775 9 보건의료 보건사업의 바람직한 방향/이무식 2018  58
774 9 보건의료 재난적 의료비와 삶의 질 결정요인에 관한 패널분석 / 김선제 외 2017  58
773 9 보건의료 윤리적 쟁점을 중심으로 한 보건의료정책 변화의 고찰 / 이동현 외 2018  58
772 9 보건의료 미래의료와 환자안전 / 김소윤 2018  58
771 9 보건의료 의료수가결정과 변화에 대한 사이버네틱스 접근방법에 의한 연구 / 김주환 2010  59
770 9 보건의료 대사증후군기반 의료 빅데이터 표준화 시스템의 설계 / 김지언 2017  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