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869
발행년 : 2015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 보건정책및병원관리학과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3692585 


노인 고혈압 환자의 외래진료와 복약 지속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Continuty of ambulatory care

and taking drugs among elderly patients with hypertension and its associated factors in korea



저자서화영
발행사항서울 :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2015
형태사항vii, 41 p. :  도표 ; 26 cm
일반주기명지도교수: 윤석준,단면인쇄임,부록수록,참고문헌: p 34-37
학위논문사항학위논문(석사)--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 보건정책및병원관리학과 2015. 2
발행국서울
언어한국어
출판년2015
주제어고혈압
소장기관고려대학교 도서관 (211009),고려대학교 의학도서관 (211092)
초록목적 : 건강보험 청구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 인구에 대한 외래진료 지속성을 다양한 지표를 적용하여 측정하고, 환자특성에 따른 외래진료 지속성의 차이를 파악해 봄으로써 의료서비스의 질 향상과 의료비의 효율적 지출을 유도할 수 있는 질병관리정책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방법 : 2011 2013년 청구자료를 활용한 단면연구로 대상기간내 혈압강하제를 7일이상 처방받고 외래를 4회이상내원한 환자중 사망자를 제외한 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인구학적변수와 의료이용 및 중증도 변수로 구분하여 환자특성에 따른 외래 진료지속성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T-test와 ANOVA를 시행하였으며, 진료 지속성변수인 (MMCI, MFPC, COC)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을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고 회귀분석의 적합도 검정을 위해 adjusted R-square 값을 산출하였고 통계패키지로 SAS EG 4.3 version 을 사용하였다.
 



결과 : 2011년-2013년 노인 고혈압 환자의 외래 진료지속성 수준은 MMCI
  0.988±0.023 MFPC 0.917±0.159 COC 0.889±0.203, 복약지속성 수준은 76.373±26.826으로 높은 수준이었다. 외래진료지속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 연령, 의료보장 유형별, 외래방문횟수, 주 이용 의료기관 종별, 동반상병, 지역형태로 나타났다. 또한 복약지속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 연령, 의료보장 유형별, 의료 제공자의 수, 외래방문횟수, 주 이용 의료기관 종별, 동반상병형태, 지역형태로 나타났다.



결론 : 고혈압과 같은 만성질환의 경우, 질병 발생 전 예방활동만큼 질병 발생 이후의 지속적인 관리가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 환자의 외래진료의 지속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국가차원의 활동이 마련되어야 한다. 더불어 고혈압 환자들은 주로 고령자로, 당뇨, 고지혈증 등 다양한 만성질환을 동반상병으로 가지고 있을 확률이 높기 때문에 운동 프로그램이나 올바른 식단 제공 등과 같은 환자의 생활습관을 개선할 수 있는 보건소 및 지역사회 차원의 노력이 필요할 것이라 사료된다. 본 연구는 고혈압 질환의 진료지속성을 연구함으로써 만성질환관리제의 대상 질환 확대 및 만성질환 평가대상 선정의 근거를 제공하였다. 이러한 근거기반 정책 개발을 통해 만성질환의 진료지속성을 높일 수 있는 의료환경을 조성하고, 의료제공자 간 협력체계 구축을 통해 정책 실효성을 높인다면 만성질환자의 건강악화를 예방하여 불필요한 의료비 지출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주제어 : 진료 지속성, 고혈압, 일차의료, 만성질환, 건강보험청구자료
목차   



Abstract i



Ⅰ. 서론 1

  1. 연구배경 및 필요성 1

  2. 이론적 배경 4

  3. 연구목적 11



Ⅱ. 연구대상 및 방법 12

  1. 자료원 12

  2. 연구대상자 12

  3. 연구설계 12

  4. 연구의 변수 및 측정지표 선정 13

  5. 분석방법 16



Ⅲ. 연구결과 17

  1. 연구대상 17

  2. 일반적 특성 18

  3. 연구대상자 특성에 따른 외래진료 지속성 20

  4. 외래 진료지속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2

  5. 환자특성과 복약지속성 수준 24

 6. 복약 지속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6



Ⅳ. 고찰 28



Ⅴ. 결론 31

   참고문헌 34

       록 40

   국문요약 38

   감사의 글 41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9 보건의료 NFC 기술 기반 병원의료정보 서비스 / 문용일

발행년 2016 

  • 조회 수 113

9 보건의료 한국, 호주, 캐나다, 영국의 항암제 및 희귀의약품의 접근성에 대한 고찰 / 배그린

발행년 2014 

  • 조회 수 113

9 보건의료 노인 고혈압 환자의 외래진료와 복약 지속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서화영

발행년 2015 

  • 조회 수 113

9 보건의료 전문의약품 선택의 결정요인 / 이성경, 최지호

발행년 2017 

  • 조회 수 113

9 보건의료 혼인상태에 따른 의료이용 행태 분석 / 이웅

발행년 2018 

  • 조회 수 113

9 보건의료 한국의 고령화와 의료산업 / 윤재중

발행년 2018 

  • 조회 수 113

9 보건의료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뇌전증 치료제 연구동향에 관한 연구 / 권상조

발행년 2018 

  • 조회 수 112

9 보건의료 의료기관인증제를 경험한 간호사의 의료기관인증제 인식, 감염관리 인지도 및 수행도

발행년 2015 

  • 조회 수 112

9 보건의료 보험수가 결정과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대책 / 김영삼

발행년 2018 

  • 조회 수 111

9 보건의료 한국 의료서비스 이용과 제공의 공간적 특성 / 양호민

발행년 2018 

  • 조회 수 111

9 보건의료 국내 바이오의약품 기업체의 연구사업 수요 조사 및 분석 / 박기대

발행년 2011 

  • 조회 수 111

9 보건의료 국민건강보험 빅데이터 기반의 질병트렌드에 따른 지역 군집화 방법론 개발 / 이택호

발행년 2017 

  • 조회 수 111

9 보건의료 A.I. 아바타를 활용한 개인맞춤형 건강관리 콘텐츠디자인에 관한 연구 : PHAVATAR 앱 개발을 중심으로 / 김태원

발행년 2017 

  • 조회 수 111

9 보건의료 고령사회를 위한 사물인터넷 융합 디지털 헬스케어 사용자 경험 디자인 연구 / 엄주희

발행년 2017 

  • 조회 수 111

9 보건의료 생체정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에 관한 연구 / 김현철

발행년 2006 

  • 조회 수 111

9 보건의료 응급실에서 간과하기 쉬운 의료사고 유형 / 이인재

발행년 2018 

  • 조회 수 111

9 보건의료 “헬스케어 분야의 우버”를 통한 왕진(on-demand doctor house call) 서비스 최근 동향 / 임지연

발행년 2019 

  • 조회 수 111

9 보건의료 의료광고가 의료기관 선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변성진

발행년 2009 

  • 조회 수 110

9 보건의료 우리나라 건강보험의 위험분담제도가 재정 및 환자접근성에 미친 영향/이종혁, 방준석

발행년 2018 

  • 조회 수 110

9 보건의료 의료기관의 빅데이터 활용방안에 대한 연구 / 김성수

발행년 2014 

  • 조회 수 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