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869
발행년 : 2015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 보건정책및병원관리학과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3692585 


노인 고혈압 환자의 외래진료와 복약 지속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Continuty of ambulatory care

and taking drugs among elderly patients with hypertension and its associated factors in korea



저자서화영
발행사항서울 :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2015
형태사항vii, 41 p. :  도표 ; 26 cm
일반주기명지도교수: 윤석준,단면인쇄임,부록수록,참고문헌: p 34-37
학위논문사항학위논문(석사)--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 보건정책및병원관리학과 2015. 2
발행국서울
언어한국어
출판년2015
주제어고혈압
소장기관고려대학교 도서관 (211009),고려대학교 의학도서관 (211092)
초록목적 : 건강보험 청구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 인구에 대한 외래진료 지속성을 다양한 지표를 적용하여 측정하고, 환자특성에 따른 외래진료 지속성의 차이를 파악해 봄으로써 의료서비스의 질 향상과 의료비의 효율적 지출을 유도할 수 있는 질병관리정책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방법 : 2011 2013년 청구자료를 활용한 단면연구로 대상기간내 혈압강하제를 7일이상 처방받고 외래를 4회이상내원한 환자중 사망자를 제외한 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인구학적변수와 의료이용 및 중증도 변수로 구분하여 환자특성에 따른 외래 진료지속성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T-test와 ANOVA를 시행하였으며, 진료 지속성변수인 (MMCI, MFPC, COC)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을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고 회귀분석의 적합도 검정을 위해 adjusted R-square 값을 산출하였고 통계패키지로 SAS EG 4.3 version 을 사용하였다.
 



결과 : 2011년-2013년 노인 고혈압 환자의 외래 진료지속성 수준은 MMCI
  0.988±0.023 MFPC 0.917±0.159 COC 0.889±0.203, 복약지속성 수준은 76.373±26.826으로 높은 수준이었다. 외래진료지속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 연령, 의료보장 유형별, 외래방문횟수, 주 이용 의료기관 종별, 동반상병, 지역형태로 나타났다. 또한 복약지속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 연령, 의료보장 유형별, 의료 제공자의 수, 외래방문횟수, 주 이용 의료기관 종별, 동반상병형태, 지역형태로 나타났다.



결론 : 고혈압과 같은 만성질환의 경우, 질병 발생 전 예방활동만큼 질병 발생 이후의 지속적인 관리가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 환자의 외래진료의 지속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국가차원의 활동이 마련되어야 한다. 더불어 고혈압 환자들은 주로 고령자로, 당뇨, 고지혈증 등 다양한 만성질환을 동반상병으로 가지고 있을 확률이 높기 때문에 운동 프로그램이나 올바른 식단 제공 등과 같은 환자의 생활습관을 개선할 수 있는 보건소 및 지역사회 차원의 노력이 필요할 것이라 사료된다. 본 연구는 고혈압 질환의 진료지속성을 연구함으로써 만성질환관리제의 대상 질환 확대 및 만성질환 평가대상 선정의 근거를 제공하였다. 이러한 근거기반 정책 개발을 통해 만성질환의 진료지속성을 높일 수 있는 의료환경을 조성하고, 의료제공자 간 협력체계 구축을 통해 정책 실효성을 높인다면 만성질환자의 건강악화를 예방하여 불필요한 의료비 지출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주제어 : 진료 지속성, 고혈압, 일차의료, 만성질환, 건강보험청구자료
목차   



Abstract i



Ⅰ. 서론 1

  1. 연구배경 및 필요성 1

  2. 이론적 배경 4

  3. 연구목적 11



Ⅱ. 연구대상 및 방법 12

  1. 자료원 12

  2. 연구대상자 12

  3. 연구설계 12

  4. 연구의 변수 및 측정지표 선정 13

  5. 분석방법 16



Ⅲ. 연구결과 17

  1. 연구대상 17

  2. 일반적 특성 18

  3. 연구대상자 특성에 따른 외래진료 지속성 20

  4. 외래 진료지속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2

  5. 환자특성과 복약지속성 수준 24

 6. 복약 지속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6



Ⅳ. 고찰 28



Ⅴ. 결론 31

   참고문헌 34

       록 40

   국문요약 38

   감사의 글 41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749 9 보건의료 현대의학의 '개별 맞춤 의학'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임영채 2012  355
748 9 보건의료 한국의 응급의료서비스 행정체계에 관한 연구 : 재난응급의료체계의 현황을 중심으로 / 김유호 2011  352
747 9 보건의료 노인장기요양보험이 노인의료비에 미치는 효과와 노인의료비 결정요인에 관한 분석 2017  352
746 9 보건의료 건강보험 수가정책 현황과 발전방안 연구 / 백현영 2014  350
745 9 보건의료 의약품부작용보고시스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졸피뎀 약물 유해반응 실마리 정보 검출 / 한준우 외 2018  350
744 9 보건의료 빅 데이터 기반 질병 키워드 추천 시스템 / 강희범 2017  346
743 9 보건의료 개인정보보호법상 의료정보 적용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2016  344
742 9 보건의료 의료 관련 감염의 예방과 치료 / 우준희, 장미수 2016  344
741 9 보건의료 병원 전 심정지로 응급실에 내원한 환자에서 소생술 중단 기준 결정을 위한 분석 / 강현주, 정진희, 어은경, 배현아 2010  341
740 9 보건의료 시험을 위한 실시의 특허 침해 예외 범위 : 제네릭 의약품의 허가를 위한 실험을 중심으로 검토 / 김학선 2007  341
739 9 보건의료 국민건강보험의 노인의료비 지출추계 및 장기재정 전망 / 이수연 외 2018  341
738 9 보건의료 의약품 리베이트 쌍벌제의 타당성 고찰 : 합헌성에 관한 검토를 중심으로 / 이산해 2014  337
737 9 보건의료 생후 90일 이하의 영아에서 호흡기 바이러스 검출과 관련된 위험인자 / 임연주 외 2014  332
736 9 보건의료 진단서의 증명력 : 상해진단서를 중심으로 / 이동진 2017  332
735 9 보건의료 병원 공간과 이해관계자들의 상호작용에 따른 의료서비스의 특성 연구 / 허지나, 이수진 2014  331
734 9 보건의료 4차 산업 혁명시대의 의료 환경 변화와 웰니스의 전망 / 이희주 2017  327
733 9 보건의료 [외국정책 사례] 노인돌봄 서비스를 중심으로 / 손동기 2019  327
732 9 보건의료 유교의 관점에서 본 노년의 사회적 의미와 양로의 정치학적 함의 / 홍성민 2014  325
731 9 보건의료 일본의 의약품 및 의료기기 부작용에 대한 피해구제제도와 시사점 / 최철호 2016  325
730 9 보건의료 병원 전 응급의료체계에서 의료지도와 무면허의료행위 / 배현아 2009  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