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869
발행년 : 2016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 보건학과 보건정책관리학 전공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067906 


의료협동조합 의원을 이용하는 환자의 ‘일차의료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기타서명Factors that affect the experience of primary care in health care co-operatives' patients
저자이미지
발행사항서울 :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2016
형태사항vii, 80 p. : 삽화, 표 ; 26 cm
일반주기명참고문헌 수록
학위논문사항학위논문(석사)--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 보건학과 보건정책관리학 전공 2016. 2
DDC614 22
발행국서울
언어한국어
출판년2016
주제어의료협동조합,일차의료,환자 경험,조합원,참여활동,영향요인
소장기관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211032)
초록일차의료는 보건의료체계의 효율성과 형평성에 크게 기여하여 한 사회의 건강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알려져 왔다. 그러나 한국에서는 왜곡된 의료전달 시스템과 치료 중심의 보수지불제도, 민간 우위의 의료공급체계와 환자의 제한되지 않은 의료기관 선택의 자유 등 여러 가지 제도적 요인으로 인해 일차의료가 점점 더 약해져가고 있다. 취약한 일차의료의 현실 속에서, 지역사회 중심 일차의료를 꾸준히 실천해오고 있는 의료협동조합은 바람직한 일차의료기관의 모델로 학계의 관심을 받아왔다. 의료협동조합은 조합원이 공동으로 소유하고 민주적으로 운영하는 사회적 협동조합으로, 지역사회 주민과 조합원, 의료인이 협동하여 그들의 건강과 의료 관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교육 및 참여활동’은 의료협동조합을 민간개인의원과 구분하게 하는 가장 두드러지는 특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일개 의료협동조합의 일차의료 수행성을 환자의 관점에서 평가하고, 조합원 및 참여활동 여부에 따라 응답자들을 비조합원, 비참여조합원, 참여조합원으로 분류하여, 세 군 사이에 일차의료 경험의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환자의 일차의료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중, 의료이용 요인이 조합원 및 참여활동 여부에 따른 환자의 일차의료 경험에 대하여 매개효과를 나타내는지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설립 4년차인 의료협동조합 일차의료기관을 이용하는 환자 및 보호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연구자가 직접 작성하였고, 환자의 의료서비스 이용 경험을 측정하여 의료제공자의 일차의료 수행성을 평가하는 도구인 한국 일차의료 평가도구(K-PCAT)와, 환자의 일차의료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측정하기 위한 문항들을 포함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의원에 내원한 환자 및 보호자들 중 의사에게 진료를 받기 시작한 지 6개월 이상 경과하고, 6회 이상 방문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설문조사요원이 대기실에서 환자들에게 연구 목적을 설명하고 구두 동의를 얻은 후 자기 기입 방식으로 설문지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총 236부의 설문지에 대하여 통계분석을 진행하였고, chi-square 검정과 Kruskal-Wallis H 검정,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비조합원은 74명, 비참여조합원은 76명, 참여조합원은 86명이었다. 환자 관점에서 평가한 연구대상 의료협동조합의 일차의료 수행성 총괄평균점수는 86.0±11.50점이었고, 참여조합원, 비참여조합원, 비조합원 순으로 평균의 중앙값이 높아서 세 군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92.9(88-97.8)점 vs. 87.5(79.65-95.35)점 vs. 81.6(73.45-89.75)점, p<0.001). 환자의 일차의료 경험을 사회 인구학적 변수 및 내원 기간, 의원까지의 거리와 같은 변수들로 통제하여 분석했을 때에도, 조합원이 비조합원보다 더 좋은 일차의료 경험을 보고할 가능성이 더 높았고, 조합원 중에서도 참여활동의 여부에 따라 그 차이는 더 컸다. 이러한 결과는 총괄평균점수, 최초접촉 이용성 영역, 포괄성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조합원 및 참여활동 여부(모델1), 통제변수(모델2), 의료이용 변수(모델 3,4,5)를 단계적으로 투입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의료이용 변수에 따라 90점을 초과하는 좋은 일차의료경험을 할 승산은 의원 내원 기간이 2년 이상인 경우 3.088배, 진료 후 정기 건강검진 수검에 변화가 있는 경우 2.972배, 문자/전화 안내 및 상담을 받은 적이 있는 경우 1.936배 높았으며, 모델 3,4,5에서 의료이용 변수를 추가로 투입한 후에는 참여조합원이 비조합원보다 좋은 일차의료경험을 할 교차비를 모델 2에서의 교차비보다 감소시켰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의료협동조합 의원을 상용치료원으로 이용하고 있는 환자들의 일차의료 경험은 조합원 여부 뿐 아니라 참여활동 여부에 따라서도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의료이용 변수는 조합원 및 참여활동 여부에 따른 환자의 전반적인 일차의료 경험에 대해 부분적인 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비참여조합원과 달리 참여조합원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일개 의료협동조합에 대한 연구로 일반화에 한계가 있고, 단면연구이므로 변수들 사이에 선후관계 및 인과관계가 있다고 결론을 내릴 수 없다는 제한점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의료협동조합에서 이루어지는 ‘교육 및 참여활동’의 참여 여부와 환자의 일차의료 경험의 연관성을 밝힌 첫 연구로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향후 이러한 연관성을 반복적으로 확인하고, 변수들 사이의 인과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목차제1장 서론 1 
 제 1절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제 2절 연구의 목적 3 
 
제 2장 이론적 고찰과 선행연구 4 
 제 1절 의료협동조합과 교육 및 참여활동 4 
  1. 의료협동조합과 일차의료 4 
  2. 의료협동조합의 교육 및 참여활동 9 
 제 2절 환자의 일차의료 경험 17 
  1. 환자 중심성과 환자 경험 측정 17 
  2. 환자 경험 측정을 통한 일차의료의 질 평가 20 
 제 3절 조합원 및 참여활동 여부에 따른 의료이용과 환자의 일차의료 경험에 관한 연구 23 
  1. 조합원 및 참여활동 여부와 환자의 일차의료 경험 23 
  2. 조합원 및 참여활동 여부와 의료이용 24 
  3. 의료이용과 환자의 일차의료 경험 25 
  4. 환자의 일차의료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기타 요인 26 
 
제 3장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31 
 제 1절 연구모형 및 연구의 가설 31 
  1. 연구모형 31 
  2. 연구의 가설 32 
 제 2절 변수의 정의 및 조사 도구 33 
  1. 변수의 정의 및 측정방법 33 
  2. 조사 도구의 구성 37 
 제 3절 자료수집과 분석방법 38 
  1. 조사대상자의 선정과 자료수집 38 
  2. 자료의 분석방법 39 
 
제 4장 연구결과 40 
 제 1절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내원 동기 40 
 제 2절 조합원 및 참여활동 여부와 환자의 일차의료 경험 44 
 제 3절 조합원 및 참여활동 여부와 의료이용 48 
 제 4절 의료이용과 환자의 일차의료 경험 50 
 제 5절 환자의 전반적인 일차의료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52 
 
제 5장 고찰 57 
 제 1절 연구결과에 대한 고찰 57 
 제 2절 연구의 한계와 의의 61 
제 6장 결론 및 제언 63 
 
참고문헌 65 
 
Abstract 70 
 
설문지 74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29 9 보건의료 mHealth 도입요인의 우선순위 분석에 관한 연구 -국내 종합병원을 중심으로- / 강신영, 오재인 2019  1109
28 9 보건의료 의료급여환자의 의료이용행태에 관한 질적 분석 / 박영희, 이용재 2017  1134
27 9 보건의료 알츠하이머 치매 약물치료의 현황과 미래 / 김성윤 2018  1146
26 9 보건의료 의약품 중 금속불순물 관리의 국제조화 : ICH Q3D 가이드라인 / 김은경 2015  1154
25 9 보건의료 국내 제약 기업 신약 파이프라인의 임상시험 단계별 개발 기간 분석 / 김잔디 2018  1163
24 9 보건의료 신종인수공통전염병의 출현 전망과 대응 전략 / 김우주 2016  1174
23 9 보건의료 대학병원 의료종사자의 감염예방 표준주의 인지도와 수행도 / 이소리 2018  1200
22 9 보건의료 원격의료의 규제 현황 및 개선방안 연구/ 김홍광, 이미숙 2019  1200
21 9 보건의료 국민건강보험법상 보험료부과체계에 관한 법적 고찰 -지역가입자 생활수준 및 경제활동 참가율 부과기준 중 성과 연령을 중심으로 -/송기민, 정정일 2014  1349
20 9 보건의료 고위험신생아 치료중단에 대한 윤리적인 의사결정에 관한 연구 / 전효숙 2002  1377
19 9 보건의료 원격의료의 법적 정당성과 미국 각 주의 원격의료제도의헌법적 근거에 관한 연구 / 최용전 2019  1501
18 9 보건의료 국민건강보험법상 임의비급여의 개선방안 연구 / 이인영 2016  1557
17 9 보건의료 병원윤리위원회 역할의 활성화 방안 탐색 연구 / 엄영란 2003  1630
16 9 보건의료 병원윤리위원회의 기대 역할에 기반 한 윤리 딜레마 해결 모형 / 안유정 2002  1675
15 9 보건의료 병원윤리위원회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강현희 2012  1755
14 9 보건의료 보건의료현장의 윤리적 문제해결에 관한 연구 : 윤리 자문가를 중심으로 / 전효숙 2006  1960
13 9 보건의료 의약품제조 기술이전 가이드라인 비교연구 / 진장한 2016  2014
12 9 보건의료 병원윤리위원회 조직과 기능 및 활성화 방안 연구 / 김중호, 한성숙, 엄영란, 구인회, 서철, 홍석영 2004  2207
11 9 보건의료 정부 건강보험 보장성 확대방안의 쟁점과 과제/김계현, 김한나 2018  2745
10 9 보건의료 중환자실 간호사가 경험하는 윤리적 딜레마 / 여성희 2007  28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