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53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페미니즘 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3691268 


성역할 인식의 영향요인과 정책적 함의 

= Antecedents of Gender Role Stereotypes and Its Policy Implications : Focusing on Maternal Ideology and Male Breadwinner Ideology



  • 저자[authors] 원숙연(Won, Sook-Yeon),김예슬(Kim, Ye-Seul)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페미니즘 연구

  • 권호사항[Volume/Issue] Vol.17No.2[2017]

  • 발행처[publisher] 한국여성연구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269-311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7

  • 주제어[descriptor] 모성 이데올로기,남성부양자이데올로기,일-가족 양립정책,한국-미국-스웨덴,ISSP,maternal ideology,male breadwinner ideology,work-family balance policies,Korea-US-Sweden



초록[abstracts]


[본 연구는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와 그에 따른 일-가족 양립 정책이슈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 모성 이데올로기와 남성부양자 이데올로기에 대한 인식의 구조와 영향요인을 실증적으로 밝힌다. 특히 우리나라의 현실을 미국, 스웨덴과 상대적으로 비교하는 국제비교를 시도한다. 이를 위해 국제사회조사 자료(International Social Survey Program: ISSP) 중 “가족과 변화하는 성역할(Family and Changing Gender Roles: FGR)”자료를 바탕으로 다음의 질문에 답을 구하고자 하였다. 우리나라에서 모성 이데올로기와 남성부양자 이데올로기에 대한 인식은 어떤 구조를 갖는가? 각각의 인식에 따라 작용하는 영향요인이 달라지는가? 국가(한국, 미국, 스웨덴)에 따라 영향요인의 차이가 존재하는가? 만일 차이가 존재한다면 그것은 어떻게 해석될 수 있으며 어떤 의미가 있는가? 이상의 결과가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 및 일-가정 양립 정책에 주는 함의는 무엇인가?    이러한 문제의식에 기초하여 실시한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한국을 포함한 비교대상 국가 모두에서 모성 이데올로기가 남성부양자 이데올로기에 비해 더 전통적으로 나타났다. 국가에 따라 정도차이는 있지만 ‘모성’에 부여된 사회적 압력을 가늠하게 하는 결과이다. 다음으로 모성 이데올로기의 경우 첫째, 미국과 스웨덴과 달리 한국에서는 연령의 영향력만이 발견되었다. 이와 함께, 한국은 미국이나 스웨덴과는 달리 여성이 모성 이데올로기에 대하여 전근대적 인식을 가질 가능성을 보였다. 셋째, 스웨덴은 30대가 모성에 대하여 가장 근대적인 인식을 보인데 반해 한국에서의 30대는 60대와 동질적인 인식을 보였다. 다음으로 남성부양자이데올로기의 경우 첫째, 한국에서 연령만이 영향을 미친 모성 이데올로기에 비하여 남성부양자 이데올로기는 성별, 연령, 학력, 가구소득 등 보다 다양한 요인이 작용하였다. 둘째,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비교대상 국가 모두에서 여성이 남성보다 남성부양자이데올로기에 대하여 근대적 인식을 보였다. 셋째, 국가 간 영향요인의 차이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남성부양자 이데올로기에 대한 인식은 모성 이데올로기에 비해 대상국가간 인식의 유사성이 발견된다. 이상의 결과가 갖는 의미를 심층적으로 해석하고 일-가족 양립정책에 갖는 함의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plores the perceptual structure and antecedents of maternal ideology and male breadwinner ideology, which are closely related to female labor force participation and work-family balance. In particular, this study attempts an international comparison among Korea, the United States, and Sweden. For the purpose, this study uses “Family and Changing Gender Roles (FGR)” data from International Social Survey Program (ISSP).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maternal deprivation ideology is more conservative than male breadwinner ideology in all the countries. This finding proves the strength of social pressure given to ‘motherhood’, regardless of country. In terms of maternal ideology, unlike the United States and Sweden, the only significant factor is age in Korea. Second, different from the United States or Sweden, the possibility that Korean women retain considerably conservative perception on maternal ideology is shown. Third, in Sweden, the 30s shows the most liberal perception toward maternal ideology which is different from the Korean counterparts that show the similar perception as the 60s. Regarding male breadwinner ideology, unlike maternal ideology that age alone has significant impact, male breadwinner ideology is affected by various factors such as gender, educational background, and household income as well as age. Second, in all of the countries compared, women have more liberal perception on male breadwinner ideology than men, with some variations in degree. Third, albert different by country, structure of the perception on male breadwinner ideology is similar to that of maternal ideology. The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for policy of work-family balance are discussed in depth.]


목차[Table of content] 

국문초록  1. 문제제기와 연구목적  2. 이론적 배경  3. 실증연구  4. 분석 및 논의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9
33 10 성/젠더 여성주의 윤리학적 시각에서 본 싱글 여성의 생식권 문제 / 닝멍 2019  206
32 10 성/젠더 불임의 시대, 생명상실에 대한 징후의 서사 / 송은정 2018  214
31 10 성/젠더 성적 자기결정권에 대한 심리학 연구 / 이은진 2015  224
30 10 성/젠더 영화 「안토니아스 라인」 에 제시된 생태여성주의적 인간 공동체 연구 / 이영은 2019  225
29 10 성/젠더 페미니즘 다큐멘터리와 가부장적 성장치로서 가족, 신체, 시장 / 고정갑희 2016  229
28 10 성/젠더 ‘기울어진 운동장’으로서의 한국 영화와 성평등 영화정책에 대한 시론 / 주유신 2019  229
27 10 성/젠더 프랑스 동성결혼법 - 모두를 위한 ‘어떤’ 결혼인가? / 채형복 2018  260
26 10 성/젠더 한국사회의 젠더와 건강 불평등 연구(Ⅰ) / 김동식 외 2017  264
25 10 성/젠더 자유주의 성윤리의 수정 / 김은희 2013  272
24 10 성/젠더 페미니즘과 가톨릭 생명문화/이연숙 2016  276
23 10 성/젠더 의약품 접근권과 특허권의 충돌 문제에서 나타나는 건강권의 비용과 법적 고찰 / 정민수 2015  292
22 10 성/젠더 남성의 돌봄 참여 경험을 통한 성역할 규범의 변화 가능성과 한계 / 홍예슬 2018  296
21 10 성/젠더 청소년 미혼모의 모성경험에 관한 연구 / 임승미 2017  302
20 10 성/젠더 난자 : 생명기술의 시선과 여성 몸 체험의 정치성 / 조주현 2007  314
19 10 성/젠더 탈북여성의 북한, 중국, 한국에서의 결혼생활을 통해본 인권침해와 정체성 변화과정 / 이화진 2010  331
18 10 성/젠더 칸트 성윤리의 구조와 재구성 / 김은희 2018  349
17 10 성/젠더 위해 의료사건 예방을 위한 의료감정의 계량적 접근 / 윤성철 2016  359
16 10 성/젠더 생명정치, 벌거벗은 생명, 페미니스트 윤리 / 조주현 2008  366
15 10 성/젠더 성인여성의 모성 형성 과정에서 나타난 인식전환 단계에 대한 연구 / 최은아 2015  370
14 10 성/젠더 미성년 미혼모와 그 자에 대한 권리보호 - 미성년 미혼모의 성년의제와 그 자에 대한 친권대행 문제를 중심으로 - / 조은희 2018  3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