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144
발행년 : 2007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 도덕.윤리교육전공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1192860 

임신중절의 핵심쟁점과 윤리적 논쟁들에 관한 연구


  • 기타서명 : (A)Study on the core issues and ethical controversies of artificial abortion

  • 저자 : 문수례
  • 형태사항 : iv, 51장 ; 26 cm.
  • 일반주기 :

    참고문헌: p. 47-49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 도덕.윤리교육전공 2007
  • KDC : 510.19 4
  • 발행국 : 부산
  • 언어 : 한국어
  • 출판년 : 2007
  • 주제어 : 임신중절, 생명권, 자율권, 탐슨, 공리주의, 의무론, 덕 윤리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다른 생명의료윤리의 교두보와 같은 역할을 하게 된 임신중절의 핵심쟁점과 그에 따른 윤리적 접근방법을 고찰하고 있다. 임신중절에 대한 가장 근본적인 문제는 임신중절의 정당화에 있다. 임신중절의 도덕적 정당화에 대한 논의에는 기본 쟁점이 되는 두 가지 문제가 있다. 첫째, 태아가 생명권을 지닌 인간인지 여부에 관한 문제이다. 태아가 생명권을 지닌 인간이라면 생명의 시작점은 어느 시점으로 보아야 하는지 따른 답변을 제시함에 있어 자유주의, 보수주의, 절충주의의 입장을 살펴보고자 한다. 둘째, 태아의 생명권과 임신부의 자율권의 상충에 관한 문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 문제에 있어 탐슨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그녀는 처음부터 태아에게 성인과 동등한 생명권을 인정함에도 불구하고 자유로운 임신중절의 결정이라는 결론에 이른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임신중절의 도덕성에 관한 논쟁점들을 검토하고, 공리주의, 의무론 그리고 덕 윤리에 근거하여 고찰하고자 하였다. 다시 말해, 임신중절의 문제를 다른 오늘날 규범 윤리학을 주도하고 있는 이론 즉, 권리나 지위에 바탕을 둔 접근 방식인 공리주의적 관점과 의무론적 관점 그리고 덕 윤리적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공리주의적 관점에서 특정한 임신중절 행위가 도덕적으로 허용될 수 있기 위해서는 그것이 욕구의 만족을 극대화 하는 결과를 가져와야 한다. 의무론적 분석은 태아의 발달에 있어 비교적 초기 단계에서부터 임신중절은 도덕적으로 거의 허용될 수 없는 것이라는 결론을 내리게 된다. 덕 윤리에 근거하여 임신중절의 도덕성을 논하고자 할 때 우리에게 필요한 물음은 이 문제를 유덕한 사람은 어떠한 실천적 추론, 행위와 가정, 사고와 반응을 통해 해결하는가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Ⅱ. 임신중절의 핵심쟁점 4

    1. 태아의 생명권 4

    2. 생명의 시작점 5

    1) 여러 학파의 입장 5

    2) 보수주의적 입장 9

    3) 자유주의적 입장 11

    4) 절충주의적 입장 12

    3. 임신부의 권리 13

    Ⅲ. 임신중절에 대한 공리주의적 접근 18

    1. 공리주의적 분석의 기초 18

    2. 공리주의에서 본 임신중절의 도덕성 23

    Ⅳ. 임신중절에 대한 의무론적 접근 27

    1. 의무론적 분석의 기초 27

    2. 의무론에서 본 임신중절의 도덕성 32

    Ⅴ. 임신중절에 대한 덕 윤리적 접근 36

    1. 덕 윤리적 분석의 기초 36

    2. 덕 윤리에서 본 임신중절의 도덕성 39

    Ⅵ. 결론 44

    참고문헌 47

    Abstract 50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0
    24 12 낙태 대학생의 낙태, 자살, 안락사에 대한 인식 조사 / 박진영 2014  665
    23 12 낙태 연구논문 : 낙태 법제에 대한 이론적 고찰 / 윤진숙 2012  678
    22 12 낙태 한국사회 낙태담론에 대한 여성주의적 분석 : 재생산권을 중심으로 / 홍지수 2011  680
    21 12 낙태 성적 시민권의 부재와 사회적 고통 : 한국의 낙태 논쟁에서 여성 경험의 재현과 전문성의 정치 문제 / 백영경 2013  735
    20 12 낙태 낙태죄 관련 규정의 합리적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송근화 2015  738
    19 12 낙태 독일과의 비교를 통해 본 한국의 낙태문제 / 메르베지벨렉 2018  759
    18 12 낙태 생명존중의 관점에서 본 낙태의 윤리적문제 고찰 / 류인자 2010  769
    17 12 낙태 낙태죄로 인한 여성의 안전한 임신중단권과 건강권 침해 실태와 정책과제 / 김동식 2017  805
    16 12 낙태 임신중절에 대한 생명의료윤리학적 고찰 / 박소연 2004  852
    15 12 낙태 논문 : 낙태 비범죄화론 / 조국 2013  871
    14 12 낙태 낙태죄와 임신중절의 문제 / 조홍석 2018  972
    13 12 낙태 합리적인 낙태규제 방안 : 낙태는 자유인가 살인인가? / 김재윤 2013  974
    12 12 낙태 낙태의 윤리적 문제 / 구인회 2018  1010
    11 12 낙태 낙태 문제에 대한 조셉 플레처(Joseph Fletcher)의 상황윤리(Situation Ethics) 관점에서 본 이해와 비판 / 지장규 2008  1199
    10 12 낙태 피터 싱어의 공리주의적 인간관에 대한 기독교적 입장에서의 비판 : 낙태문제(Abortion)를 중심으로 / 차영도 2011  1320
    9 12 낙태 이슬람세계의 낙태문화에 대한 이해 - MENA 지역을 중심으로 / 김종도 2018  1542
    8 12 낙태 낙태문제 해결을 위한 대안의 제시 / 성중탁 2014  1648
    7 12 낙태 연구논문 : 낙태에 대한 태도와 종교: 한국, 일본, 미국, 필리핀 국제비교분석 / 김상욱 외 2015  1837
    6 12 낙태 피터 싱어의 생명윤리 관점에서 본 임신 중절의 문제 / 이미경 2011  2818
    5 12 낙태 ‘미혼모’의 인권제고를 위한 법제개선방안 비교법적 연구 / 신옥주 2016  37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