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144
발행년 : 2001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대동철학 Vol.15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82652811 

14일 이전 배아의 도덕적 지위 = The Moral Status of an Embryo


  • 제어번호 : 82652811
  • 저자명 : 유호종
  • 학술지명 : 大同哲學(Journal of the DaePhilosophical Association) dong
  • 권호사항 : Vol.15 No.- [2001]
  • 발행처 : 대동철학회
  • 발행처 URL : http://ddpa98.org
  • 자료유형 : 학술저널
  • 수록면 : 317-336(20쪽)
  • 언어 : Korean
  • 발행년도 : 2001년
  • KDC : 100
  • 등재정보 : KCI등재
  • 주제어 : 배아 ,생명권 ,쌍둥이 가능성 ,가능적 존재자 ,Right to Life ,Possibility of ※ Twin. Possible entity


초록 (Abstract)

  • 오늘날 쟁점이 되고 있는 ‘배아의 연구나 이용은 정당화될 수 있는가’라는 물음에 답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배아에게 생명권이 있는가를 따져 보아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인간 성인을 살펴 그 생명권의 근거는 무엇인지 밝힌 다음 이 근거를 배아도 가지고 있는가 확인해 보면 된다.
    성인을 죽이면 주변의 사람들은 극심한 불안과 공포를 느끼게 되므로 이런 해악을 방지하기 위해 성인에게 파생적으로 생명권이 부여된다. 하지만 배아의 죽음은 주변에 극심한 불안과 공포를 불러 일으키지 않으므로 이런 근거에서는 생명권이 있다고 할 수 없다.
    성인을 죽이는 것은 또한 그로부터 정신적인 고차원의 삶을 박탈하므로 성인은 이런 해악을 입지 않을 생명권을 갖게 된다. 배아는 만약 그것이 그로부터 자라날 성인과 동일한 존재라면 같은 근거에서 생명권을 갖겠지만 아직 쌍둥이 가능성이 있어서 그렇게 볼 수 없다. 실제로 배아가 죽임을 당할 때 빼앗기는 것은 십수일의 무의식적인 삶으로 생명권의 근거가 되기에는 미흡하다. 그렇다고 배아로 부터 자라날 성인의 ‘존재할 권리’에서 배아의 생명권이 파생된다고 볼 수도 없다. 이렇게 어떤 근거에 비추어 보아도 배아에게 생명권이 있다고 인정하기는 힘들어 보인다.



  •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문
  • 1. ‘14일 이전 배아1)의 도덕적 지위’에 대해 답할 필요성

    2. 이 물음에 답하기 위한 방법

    3. 죽임이 가하는 고통

    가. 죽는 자 자신이 느끼는 고통

    나. 주변인들이 느끼는 불안과 공포

    다. 배아의 경우

    4. 죽임이 박탈하는 삶

    가. 성인의 경우

    나. 배아의 경우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0
    24 12 낙태 대학생의 낙태, 자살, 안락사에 대한 인식 조사 / 박진영 2014  665
    23 12 낙태 연구논문 : 낙태 법제에 대한 이론적 고찰 / 윤진숙 2012  678
    22 12 낙태 한국사회 낙태담론에 대한 여성주의적 분석 : 재생산권을 중심으로 / 홍지수 2011  680
    21 12 낙태 성적 시민권의 부재와 사회적 고통 : 한국의 낙태 논쟁에서 여성 경험의 재현과 전문성의 정치 문제 / 백영경 2013  735
    20 12 낙태 낙태죄 관련 규정의 합리적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송근화 2015  738
    19 12 낙태 독일과의 비교를 통해 본 한국의 낙태문제 / 메르베지벨렉 2018  759
    18 12 낙태 생명존중의 관점에서 본 낙태의 윤리적문제 고찰 / 류인자 2010  769
    17 12 낙태 낙태죄로 인한 여성의 안전한 임신중단권과 건강권 침해 실태와 정책과제 / 김동식 2017  805
    16 12 낙태 임신중절에 대한 생명의료윤리학적 고찰 / 박소연 2004  852
    15 12 낙태 논문 : 낙태 비범죄화론 / 조국 2013  871
    14 12 낙태 낙태죄와 임신중절의 문제 / 조홍석 2018  972
    13 12 낙태 합리적인 낙태규제 방안 : 낙태는 자유인가 살인인가? / 김재윤 2013  974
    12 12 낙태 낙태의 윤리적 문제 / 구인회 2018  1010
    11 12 낙태 낙태 문제에 대한 조셉 플레처(Joseph Fletcher)의 상황윤리(Situation Ethics) 관점에서 본 이해와 비판 / 지장규 2008  1199
    10 12 낙태 피터 싱어의 공리주의적 인간관에 대한 기독교적 입장에서의 비판 : 낙태문제(Abortion)를 중심으로 / 차영도 2011  1320
    9 12 낙태 이슬람세계의 낙태문화에 대한 이해 - MENA 지역을 중심으로 / 김종도 2018  1542
    8 12 낙태 낙태문제 해결을 위한 대안의 제시 / 성중탁 2014  1648
    7 12 낙태 연구논문 : 낙태에 대한 태도와 종교: 한국, 일본, 미국, 필리핀 국제비교분석 / 김상욱 외 2015  1837
    6 12 낙태 피터 싱어의 생명윤리 관점에서 본 임신 중절의 문제 / 이미경 2011  2818
    5 12 낙태 ‘미혼모’의 인권제고를 위한 법제개선방안 비교법적 연구 / 신옥주 2016  3704